View : 664 Download: 0

정치참여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Title
정치참여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ACTIVATION OF POLITIC PARTICIPATION EDUCATION -Laying stress on actual analysis about politic participation in youth generation-
Authors
김솔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어수영
Abstract
한국사회는 1987년 민주화이후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다. 과거 군부독재 정치로부터 벗어나 민중의 힘으로 민주주의를 달성함으로서 절차적 민주주의를 이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민주주의를 국가 이념으로 삼으면서 시민 사회 건설의 출발점을 마련하였지만, 최근에서야 국민들의 참여에 의한 민주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정치참여의 형태가 나타났는데 선거, 정부 기관에의 청원, 신문.잡지.인터넷 등의 투고, 집회나 시위, 서명운동 등 개인 및 단체에서 참여가 그것이다. 그러나 많은 젊은 세대들은 정치적인 무관심과 정치적 불신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참여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젊은 세대의 정치참여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젊은 세대의 정치참여가 어떤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를 분석하고, 참여증대를 위한 정치참여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치참여를 넓은 의미로 파악하여 정치참여를 「정부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모든 행동」이라고 정의했다. 다양한 정치참여 유형을 분석해야 하지만 여건상 16대 대통령 선거의 투표여부와 대중집회 참여 경험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정치참여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모형과 정치참여와의 분석에 있어서는 첫째, 남녀간에 투표참여에는 차이가 없지만, 대중집회 참여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 투표참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30대보다 20대의 투표참여율이 저조했다. 또한 대중집회 참여에 있어서는 20대의 참여율이 높았다. 사회생활을 막 시작하는 연령대인 20대 후반이 가장 많은 대중집회 참여율은 나타냈는데 이것은 그만큼 사회적인 요구가 많고, 자신과 직접적으로 연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셋째, 학력에 따라 투표참여와 대중집회 참여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대중집회 참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정치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정치적 이슈들을 많이 알고 있기 때문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직업에 따라 투표참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집회에 가장 많이 참여한 직업은 공무원과 학생이었는데 사회제도나 사회이슈에 직접적으로 접해있는 공무원들이 대중집회 참여에 보다 적극적이었고,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그 뒤를 이었다. 정치적 관심이 높을수록, 현재 교육을 받고 있는 사람일수록 정치에 보다 적극적이라는 분석을 내릴 수 있다. 다섯째, 소득과 투표참여, 그리고 대중집회참여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지역에 따라 투표와 대중집회 참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치태도 모형과 정치참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이념적 성향에 따라 대중집회 참여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진보적인 사람은 대중집회 참여율이 높았고, 보수적인 사람은 참여율이 낮았다. 둘째, 정치적 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투표참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투표에 많이 참여했다. 셋째, 정치신뢰도와 투표참여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정치에 신뢰할수록 투표에 많이 참여한다. 넷째, 정치관심도와 투표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에 관심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투표 참여율이 높아진다. 지금까지 20~30대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정치참여조사를 통해 정치참여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예측할 수 있었다. 중.고등학교의 교육 과정속에서 참여교육을 활성화 시켜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며 사회에 진출하는 20~30대가 되어서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 능동적인 참여시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시민교육에 있어서 참여교육이 활성화 되어야한다. 시민교육에서 입체적인 참여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것은 공동체 안에서의 상호작용이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참여교육 방안이다. 5단계의 입체적 참여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계적인 지적활동이 될 수 있다. 정치에 무조건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왜 참여해야 하는지 동기를 분명히 가지고, 자신의 주관을 확고히 할 수 있는 참여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참여 능력을 키우는 방안으로서 정치적 관심을 높여야 한다.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원동력은 공동체 안에서 활발히 진행 될 수 있다. 이것을 '탐구공동체' 라는 개념으로 참여 능력를 고양시키는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정치참여교육을 위한 탐구공동체의 목표는 정치문화의 지향이다. 자연스럽게 정치문화를 형성하고 그 속에서 탐구공동체가 활성화된다면 학생들로 하여금 '공감'과 '자발성'을 심어주어 정치적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정치문화 탐구공동체의 활성화와 관심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탐구공동체 방안을 제시했다. 인터넷은 학생들의 정치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에서 정치관련 정보를 습득하고, 토론하고, 커뮤니티 안에서 정치참여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탐구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Korean society have been experienced since democratization in 1987. He has been achieved procedural democracy owing to gaining as peoples's power getting out of military autocratic politic. Although our country had prepared the start point of civilians' society construction as democracy set out as national ideal after glorious restoration. the democracy participating in peoples has become serious lately. Moreover, on that appears various politic participation types participating as person or group such as selection, petition for governmental offices, contribution to newspapers·magazine· internet, meeting or demonstration, sign movement etc. But a lot of youth generations show political indifference and political distrust until now. This study will analyze what to effect for political participation of youth generation on under some conditions through the actual research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youth generation as a alternative for participation education and represent betterment alternative of politic participation education for participation increase. This study defines politic participation as ' all actions for effecting on policy-decision of governmen' as a wide meaning. I ought to analyze various politic participation types but under a given condition, analyzed politic participation as a sud-conditions whether participates in the 16th president vote or not and whether experiences public-meeting or not. In the analyzation of social·economical position model and politic participation, the first, it appeared that had no difference in vote particip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but had a effect on public-meeting participation. The second, it appeared that had a difference in vote-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ge but was lower in the 20s than in the 30s. Futhermore, participation-rate in public-meeting was higher in the 20s. The late youth in the 20th who were about to making a social life appeared as the most public-meeting participation-rate but I analyzed because they had many requests as the same and was related to the self directly. The third, it appeared that had a difference in vote-participation and public meeting according to school-career. They says that the higher he had school-career, the higher the public-meeting participated. It is why those who have high school-career are high interested in politic and have the condition to take part in the politic positively owing to knowing lots of politic issues. The fourth, it appeared that had a difference in vote-participation according to job. The jobs which participates in the most public meeting were public officers and students. But the public officers who come in tack with social system and issues took part in public-meeting positively and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education positioned as a second. I analyzed that the more they are interested in politic and the more they receives the education now, the more positive they are. The fifth, it appeared that wasn't interested in income, vote-participation public-meeting participation. The sixth, it appeared that had no difference in vote and public-meet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local. I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 model of politic attitude and the politic participation. The first, it appeared that had a relation to public-meet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ideal inclination. Very progressive people were higher in public-meeting participation-rate but conservative people were lower. The second, it appeared that had a difference in vote-participation according to politic effective feeling. The higher politic effective feeling is, the more vote-participation is. The third, it appeared that had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 trust degree and vote-participation. In general, the more the trust in politic is, the more vote-participation is. The fourth, it appeared that had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 interest degree and vote-participation. The more the interest in politic is, the higher vote-participation is. I was able to forecast what important to educate the politic-participation through the politic participation research as the object of youth generation in the 20s and 30s until now. If we could upgrade the interest on politic as the activ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middle-high school education, They will be able to decide their opinions for oneself and do active participation civilians who have an ability as a democratic civilian in the 20s and 30s taking part in social life. we must activate civil education as a alternative to this. I represented the concrete alternative on solid participation education in civil education. It is a alternative on solid participation education as a basis on reciprocal action of reflective thought' process. Moreover, it not only raises the intelligent interest for students through the 5steps solid participation education and but also can be the intelligent action. Finally, it is not positive participation in politic but has the momentum of why we participate in the politic and will be able to be a participation education alternative which has a all self-viewpoint. Futherover, we must upgrade the politic interest as a alternative to enlarge the participation ability. The motive power which have public-feeling and participate in the for oneself can progress actively in public society. I choiced as a how to upgrade the participation ability with a notion " research public society". The aim of research public society for politic participation education is toward to the politic culture. If politic culture is made naturally and research public society activated in that, we will be able to encourage students to make "public feeling" and "spontaneity" and have a politic interest. I represented as a alternative research public society making use of internet for increasing the activation and interest of research public society on politic culture. Internet has a various latency to upgrade politic participation. We can attain politic-related informations, discuss through and make the research public society which shares opinions on politic participation in community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