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

Title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truct Validity for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uthors
권순교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constructing validity for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scribed as belows: 1. What is the factors and the questions constructed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2. Are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construct validity ? 3. Are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reliable ? The research process were as followings: First, through literature survey, the researcher analyzed and identified essential factors to measur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fter the literature survey, a questionnaires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were made. The research question 1 and 2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survey research for 171 teachers among 10 public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randomly sampled in Seoul. The research question 2 and 3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survey research for 272 teachers among 15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 α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were obtain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The factors were named as 'respecting teachers', 'vision presentation', 'raising specificity' and 'making the school culture'.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e previous reports. 'Respecting teachers' was a major factor and it constructed the faith and the ment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rincipals, which would be the prerequisite for the teachers' achievement over expectation and the change of the school organism. Especially a factor presented as ‘intellectual stimulation' was demonstrated as 'raising specificity', and it was related to the specficity of teachers. Second,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 loading of four factors are higher than 0.40.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t was proved that the scale was profit fo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The value of x2/df, RMR, AGFI, NFI, CFI were higher than standard point. Moreover, it revealed that there was a relation among four factors. This means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had to be considered in every side of factors. Third,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had a high Cronbach α value(higher than 0.80), which indicated that it is reliable. In conclusi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was composed of four interrelated factors. Twice factor analysis imparted the validity for the sca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구성하는 요인과 요인 내 문항은 어떠한가? 2.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3.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지도성의 개념, 지도성 이론의 발달, 변혁적 지도성 이론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배경이론에 근거하여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 요인별 문항을 작성한 후 설문지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높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총 10학교에 재직하는 171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SPSS 11.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번과 3번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총 15학교에 재직하는 272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AMOS 4.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및 SPSS 11.0을 이용하여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를 요인분석 한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밝혀졌다. 각 요인은 교사존중, 비전제시, 전문성 제고, 학교풍토 조성으로 명명되었으며 요인별 하위 문항은 8문항, 7문항, 6문항, 6문항으로 각각 구성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첫 번째 4개의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요인부하량이 .40 이상의 값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x2/df, RMR, GFI, AGFI, NFI, CFI의 값은 GFI를 제외한 다른 지수들이 권고치 이상이므로 측정 도구의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측정 도구의 경로 모형을 통하여 각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알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구한 결과, .80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신뢰도의 척도인 Cronbach's α값은 정해진 기준이 없지만 .60 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보며 .50 이상이면 분석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존중, 비전제시, 전문성 제고, 학교풍토 조성의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별로 살펴보면, 개인적인 배려를 포함하는 더욱 포괄적인 의미의 교사존중이 변혁적 지도성을 구성하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Bass와 Avolio의 인간적 배려, Tichy와 Devanna의 인간에 대한 신뢰, Podsakoff의 인간적 지원과 관련을 가지는 개념이다. 주로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온정적 관계를 중시했던 Halpin과 Winer의 인화나 노종희의 개인적 배려보다는 훨씬 더 광범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비전제시, 전문성 제고 그리고 학교풍토 조성이 그 뒤를 따랐다. 이러한 요인은 교사들에게 힘을 주고 새로운 비전, 업무에 대한 몰입 그리고 학교조직의 재구조화를 가능하게 하는 변혁적 지도성을 설명하는 본질이 된다. 기존 연구에서 지적 자극으로 표현되었던 구성요인을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 제고라 명명하였는데 이는 교직의 전문화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직업이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적으로 갖춰줘야 하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지적 지식을 뛰어넘는 전문성을 겸비해야 한다. 1966년 UNESCO에서는 교직을 전문직이라 선언하였고,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을 교육하는 지식과 방법에 있어 다른 직종보다 월등히 힘이 들고 우수해야 한다고 하였다(이병진, 1999). 이러한 맥락에서 교직의 전문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를 위하여 개인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조직적인 측면에서 교직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서 학교장의 역할은 중요시 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이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 결과, 첫 번째 요인분석의 경우 각 요인별 요인부하량이 기준 이상의 값을 보임으로써 도구의 타당도를 밝혀주었다. 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였느냐에 관한 문제이고 이는 검사도구의 목적에 대한 적합성을 의미한다(성태제, 2005). 즉 본 연구를 통하여 확정된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는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들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구인과 관련된 타당도의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도구의 모형이 여러 지수들의 값을 통해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고 지도성의 하위 요인 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구성하는 요인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타당화 과정을 거친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이는 측정의 객관성이 확보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정된 측정 도구는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교사들이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학교장의 지도성을 육성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있는 초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측정하는 도구의 타당화 연구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여러 지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전체 443명의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은 본 조사 1의 경우 10명, 본 조사 2의 경우 15명으로 비교적 적은 숫자이다. 학교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학교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의 타당화를 위하여 주로 양적인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좀 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이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