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초등 미술과 특기 · 적성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Title
초등 미술과 특기 · 적성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Other Titles
Survey of Teachers' Cognition on Education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Authors
김안나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초등학교에서의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은 소질과 적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시지각을 길러주며 개성과 창의성을 자극하고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현재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경기 지역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현직 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문항구성은 초등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운영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과 미술과 특기·적성 지도 및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교사들은 학교시설이 미비하고 우수강사확보가 어려워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강사조직 운영에 대해 교사들은 대부분 외부강사에게 교육을 위임하고자 했으며 직접 교육을 담당하거나 학교 자체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어 담당교사의 보다 많은 관심과 책임의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수업운영은 교사들의 미술과에 대한 이해부족과 입시위주의 교과중심 수업운영으로 인해 학기별로 원활하게 운영되지 못했다. 넷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 환경에 대해 교사들은 미술과의 특성을 살려 수업할 수 있는 교구나 시설기반이 갖추어져 있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에 대해 교사들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술과 특기·적성 지도에 대해 교사들은 흥미위주의 수업진행과 담당강사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 수업지도가 각 영역별로 연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일곱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 평가에 대해 교사들은 수업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매학기 마다 수업의 질에 대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강사 및 프로그램 은행’을 개설·운영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양화는 물론 외부강사 수급상의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담당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수기회와 추가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에 필요한 각종 기자재나 교구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사교육 위주의 미술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발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재학생 등 예비교사들의 특기 함양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이와 함께 현직교사들의 미술과에 대한 이해와 지도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국가적 차원의 근본적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의 현장여건을 간접적인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서만 연구하였고, 설문대상이 서울·경기지역 초등학교 교사 240명으로 국한되었음으로, 본 연구 결과는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도로 일반화 하는데 제한점이 따르며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in fine arts ha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helps find one's qualities and aptitude early, raise visual perception and stimulate and develop personality and originality. Thu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fine arts and surveying teachers' cognition on that,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which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fine arts go further and provide basic data to carry it out effectively. To achieve this ai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iming at 240 in-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ere education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in fine arts is implemented. Item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ones for investigating cogni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fine arts and ones for cognition on teaching and assessment of th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the following: First,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in fine arts, teachers recognized that school facilities were deficient and it was too difficult to secure excellent lecturers and establish diverse programs. Second, in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of lecturers in charge of the education, most teachers wanted to entrust independent lecturers with the education. In addition, they felt a burden in taking charge of the education and providing training programs of schools' own, so the result showed that teachers in charge of those subjects should have more interest and responsibility. Third, as to the operation of instructions of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fine arts, teachers were lacking in understanding of fine arts subject and instruction was operated according to subject matters for entrance examin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 was not operated harmoniously by term. Fourth, regarding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in fine art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schools were not furnished with manipulatives or facilities to help apply characteristics of fine arts subject in lessons. Fifth, teachers perceived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fine arts was needed, whil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short of cognition and interest in the education. Sixth, as to instruction in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in fine art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shortage of instructors' speciality prevented instruction from being operated with connection between each domain. Seventh, in respect to assessment of the education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in fine arts, teachers perceived its importance and they thought that fair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he instruction should be performed every term. Based on the above-stated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rawn. First, to efficiently operate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fine arts, the operation of "the bank of instructors and programs" can support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s and independent lecturers. Along with this, constant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additional education have to be provided to secure specialty of instructors in charge of the education. Second, to solve difficulty in securing various materials and manipulative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and to arouse participation of students who are taught fine arts personally, financial support must be provided at the national level. Third, to increas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disciplinary education for special쇼 of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 universities or colleges of education. Moreover, to improve in-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al faculty for fine arts, training programs must be prepared. Fourth,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must change the 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specialty-aptitude education of fine arts above all, and fundamental plans for activating the education have to be made. This study surveyed the field status of the education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in fine arts indirectl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240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cognition of overall teachers. Thus more in-depth studies must be condu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