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Dictogloss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Dictogloss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ctoglos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spects
Authors
조미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세계화의 물결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도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이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왔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대방의 말을 이해함과 동시에 이해에 근거하여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듣기 이해 없이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에서 듣기 능력은 원활한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가장 기본적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듣기 과정이 단순히 발화를 인지하는 수동적인 과정이 아니라, 청자가 언어 및 비언어적 지식을 사용하여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추측해내는 능동적인 과정(Littlewood, 1981) 이라는 점에서 듣기 이해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교수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듣기 과정이 눈으로 관찰되기 힘들다는 제약으로 인해, 듣기에 대한 연구가 다른 언어 기능에 대한 연구만큼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Rubin, 1994), 이러한 이유로 듣기를 위한 교수방법 또한 단순히 지문을 듣고 문제를 푸는 수동적인 학습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어 듣기 활동의 한 유형으로서 dictogloss 활동을 고등학교 교실 수업에 적용하여 듣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Dictogloss는 지문을 듣고 주요 단어와 표현을 받아 적은 후,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의미의 협상 과정을 통해 지문과 유사한 의미로 문장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듣기 뿐 아니라 어휘, 문법, 쓰기학습에 도움이 되는 통합적 학습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11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실험 집단에게는 dictogloss 활동을, 통제 집단에게는 지문을 듣고 문제를 푸는 전통적 듣기 수업을 실시하여 영어 듣기 능력과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집단간 듣기 능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전ㆍ사후 검사와 실험 집단의 듣기 능력 변화를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한 회상과제,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ctogloss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 후 dictogloss 활동이 이루어진 실험 집단의 영어 듣기 점수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통제 집단과의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이는 듣기 능력의 향상이 장기간의 학습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볼 때, 본 실험의 실험 기간(7차시)이 짧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장기간의 실험 연구가 이루어질 경우 본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 수준별 영어 듣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하위 학습자보다 상위 학습자의 듣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하여, dictogloss 활동이 상위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임을 알 수가 있다. 영어 듣기 능력을 구체적으로 상향식, 하향식 듣기 능력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상ㆍ하위 학습자 모두 상향식, 하향식 듣기 점수가 실험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으나, 통제 집단과의 차이에서는 상위 학습자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dictogloss 활동이 상위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위 학습자의 경우 하향식 문항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점에서, dictogloss 활동이 상위 학습자의 상향식, 하향식 듣기 능력 중, 전체적인 분위기나 주제를 파악하는 하향식 듣기 능력 향상에 보다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듣기 과정 중 상향식 듣기 혹은 하향식 듣기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대상자들의 dictogloss 결과물의 질적 분석 결과, 7차시의 실험을 통해 학습자들의 상향식, 하향식 듣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 집단의 상위 정보 회상 비율이 처음에 비해 14.62% 향상됨으로써, 하위 정보 회상 비율의 향상도(4.5%)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dictogloss 활동이 전체적 분위기나 주제를 파악하는 하향식 듣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dictogloss가 상위 학습자들의 하향식 듣기 능력에 효과가 있다는 양적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dictogloss 활동을 통한 듣기 수업이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점수가 향상됨으로써 dictogloss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위 수준별 태도 변화에 있어서도 상위 집단, 하위 집단 모두 실험 집단이 사전ㆍ사후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통제 집단과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ictogloss 활동이 상위· 하위 학습자의 영어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넷째, dictogloss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된 설문 조사 결과, dictogloss 활동을 한 학습자들의 과반수 이상이 본 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활동을 하면서 전반적인 듣기 능력, 집중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듣기와 더불어 쓰기, 문법, 그리고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활동의 단점으로서 조별활동으로 인한 수업의 산만함과 전체 학습자들의 참여 미비를 지적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dictogloss 활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조별 구성원들의 역할 분담과 함께 영어 듣기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쉽고 흥미로운 자료의 제시, 그리고 비슷한 수준의 구성원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본다. 결과적으로 dictogloss 활동은 하위 학습자들보다는 상위 학습자들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과 함께 상·하위 학습자 모두의 영어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교실에서 dictogloss 활동을 듣기 수업의 한 부분으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하위 학습자들의 보다 자발적인 참여와 수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에 적용시킨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ictogloss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dictogloss 활동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 뿐 아니라 어휘 및 쓰기 능력에도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에서는 dictogloss 활동이 다른 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도 아울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Listening comprehension was regarded as the basic and important language skill in achie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echnological advances in global communication have made listening by EFL learners even more crucial. Since the task characteristics itself could affect listening comprehension(Rubin, 1994), various listen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skil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ctoglos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attitude. Dictogloss is an output-focused task which consists of asking learners to reconstruct a dictated text so as to capture as much as possible of its information content in as accurate and acceptable a linguistic form as possible(Wajnryb, 1990). For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seven sessions with 118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dictogloss as a group activity,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istening instruc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ctogloss, a pre and post tes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Futhermor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students just after each pre and post test to confirm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in learning attitudes of English.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that for upper-leve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ment scores of listening comprehens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is implies that dictogloss is effective especially for high level students in improving listening skill.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improvement in both bottom-up and top-down listening skills for high-level students. Second, the results of three recall tasks completed b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score of each task increased over the whole period of experiment. Students recalled more high information units than low information units, which implies that dictogloss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top-down skill than bottom-up skill. Third, analyzing further questionnaires in both groups, there was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s reveals that dictoglo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motivation and confidence of learning English. Majority of experimental group reported that dictogloss was an effective task in improving overall listening skill, writing skill, grammar and vocabulary. However, some students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the task, and uneven participation of the group work as disadvantages of dictoglo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dictogloss is effective in improving high-level students' listening skill and learning attitude of English. However, for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dictogloss in the classroom, easier and more interesting material should be chosen to induce whole participation during the task.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ictogloss in other language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