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삽화 자료의 분석 연구

Title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삽화 자료의 분석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analysis on illustrated materials of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 in the 7th curriculum -Focusing on Chinese history part-
Authors
우민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인영
Abstract
역사 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그 기반 위에서 탐구력, 자료 처리 능력 등의 역사적 사고력과 태도, 올바른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실천적 인간상을 기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 학습 교재의 활용이 중요시 되는데 이 가운데 교과서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역사 교과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문자에 의한 본문 서술과 시각 자료의 성격을 가지는 삽화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삽화 자료는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를 주고 관심을 증대시켜 역사적 이해와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역사적 사고력을 육성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삽화 자료의 중요성을 생각할 때 교과서 개발자와 현장 교사 모두에게 적절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교과서 삽화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욱이 국사 교과서에 비해 세계사 교과서 삽화 자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삽화 자료의 활용도, 삽화 자료의 다양성, 균형성, 교육과정의 반영 실태와 중·고 교과서간의 계열성 문제 등을 살펴보고 삽화 자료가 본문 내용과 관련하여 지니는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교과서 삽화 자료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과서는 6차 교과서의 경우보다 본문 분량은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삽화 자료의 수록 분량은 훨씬 증가하였다. 이는 본문의 분량을 줄이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려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삽화 자료의 영역별 분량 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정치영역에 치중되어 있어 중·고 교과서 삽화 자료의 수록에 있어 계열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의 역사교육과정이 정치사 중심의 학습 내용을 강조하고 고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이 사상.문화와 사회.경제사를 종합한 문화사를 강조한다고 볼 때 중학교 교과서는 정치 영역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교과서는 사회·경제·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삽화 자료를 수록하여 중·고등학교 교과서간에 차별화가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삽화 자료의 유형별 분량 분석 결과 7차 교과서는 6차 교과서에 비해 역사지도의 비중이 가장 많이 줄고, 사료와 도표 자료의 비중이 늘어난 편이며 특정 삽화 자료에의 치중을 지양하고 다양한 삽화 자료를 균형있게 게재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삽화 자료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가 삽화 자료의 활용에 있어 교사들에게 적절한 지도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한 삽화 자료의 선정.게재와 함께 현장 교사들이 이를 학습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삽화 자료의 의미를 분석하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대한 지도서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삽화 자료의 개선점을 분석한 결과 7차 교과서의 삽화 자료는 설명과 해설이 보강됨으로써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는데 적절하며, 유형별로 과거에 지적되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삽화 자료의 정확성과 적절성에서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요컨대 7차 교과서 삽화 자료의 분석 결과 삽화 자료의 활용도 및 다양성, 균형성의 면에서는 바람직한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삽화 자료의 계열성에 있어서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그리고 삽화 자료에 대한 해설과 설명은 보강되었으나 삽화 자료의 정확성과 적절성에 있어서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교과서 삽화 자료가 역사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 자료가 되기 위해서 앞으로 계속적인 보완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장 교사들이 교과서 삽화 자료를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지도서 등이 개발.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One of the main purposes of history education is to have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n historical facts. It is also aimed to foster historical thinking power, proper attitude and historical awareness such as investigation power and data management. They will all lead to nurture practical human beings who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history in general. Therefore, making the most of history teaching references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From this point of view, textbook deserves special emphasis as a basic learning material. History textbooks consist of forms of descriptions (reading materials) and illustrations (visual materials). Illustrated materials are expected to increase motivation to students, to inspire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enthusiasm in learning, and to promote historical thinking power. In terms of these importances,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illustrated materials in textbooks that provide appropriate suggestions for both textbook developers and teachers. Moreover, more study on illustrations in world history textbooks is required than Korean history textbooks. Accordingly, this study targets o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First, I looked at use of illustrated materials, their types, proportion, current condition of their use in the curriculum, and link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 then analysed underlying meanings in relation with text contents. I went on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llustrated materials. I reached a following conclusion from the above analysis. First of all, illustrated materials in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have increased a lot more than those in the 6th curriculum. This fact coincides with the revision direction of the 7th curriculum that encourages the use of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the reduction of text contents. Second, illustrated materials have poor balance in terms of proportional inclusion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since they lay excessive stresses on political sections. History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emphasizes political history, while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s emphasizes cultural history that combines abstraction?culture and society?economy. Viewed in this light, it will be appropriate to improve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hird,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have drastic reduction in historical maps and increase in historical documents and tables. They have also tried to sublate specific illustrated materials and to insert diverse materials. Four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potential to provide a proper guide for teachers who want to apply those materials. Conducting more studies and developing guidebooks in this area should be accomplished for teachers as well as selecting and inserting appropriate materials. Fifth, materials of the 7th curriculum have reinforced explanations and commentaries in order to help learners' understanding. However, problems have still been found in terms of accuracy and propriety. In short, whereas positive improvement has been achieved in case of application, variety and balanc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 case of proportional inclusion. Explanations and commentaries about illustrated materials are reinforced, meanwhile, problems have been found in terms of accuracy and propriety. In conclusion, continuous supplement and improvement on illustrated materials should be made to achieve objectives of history subject. In addition, guide books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to history teachers so that they can perform effective instr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