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김주영-
dc.creator김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89-
dc.description.abstractDifficulties in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serious prevailing conditions that continue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ir development and these conditions are prominently evident in the scene of inclusive educatio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in which one is able to facilitat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reduce negative social behaviors an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on setting. This was to be accomplished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by improving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ncourage mutual social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 music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in which both groups of students jointly participated as the test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examining and comparing the behavior of the group prior to, during and subsequent to the therapy sessions. The participating group attended the program 2 sessions per week for a total of 15 therapy sessions. A 40-minute free time was given to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each session consisted of 10 minutes of interaction time and 40 minutes of activitie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program, an observation checklist was created for behavior prior to, during, and subsequent to the program. In addition, the changes in behavior of the students were evaluated and observed according to the proper time frame.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 and development in the behavior of students were then report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mutual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ositive interaction increased and negative social interaction decreased among the test group, showing that positive attitude of students will be maintained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This indicates that by learning interaction skills, social exchange between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an be enhanced. As supplemental study for the reform of music therapy that can improve social inclusion, research on the positive social effect of music therapy and its effect o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re needed. In addition, to mak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norm of our society, further research must be conducted in order to create and design an appropriate music therapy program, in whic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jointly participate.;장애학생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발달초기부터 보여지는 심각하고 근본적인 현상 중 하나이며 통합교육 현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긍정적으로 상호교류하고, 장애학생의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을 줄이며,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험집단의 중재전과 중재, 중재 후의 설계를 통해 중재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집단은 주2회, 전체 15회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기간은 40분간의 자유놀이 시간을 가졌고, 중재 기간은 프로그램 시작 전 10분간의 자유놀이 시간과 40분간의 활동시간으로 나누어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결과 분석을 위해 사전과 중재, 사후로 나누어 관찰목록을 준거로 하여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반응행동의 변화를 측정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았으며 각 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변화내용을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시작 전과 비교하여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부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줄어들고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사후에도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크게 떨어지지 않고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상호교류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힘으로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 과제로, 음악치료 놀이극의 시연을 통한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음악치료 놀이극의 적용이 장애학생이나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및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중재효과의 일반화를 위해 분리된 환경이 아닌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일반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상황에 적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통합교육의 및 현황 = 5 B. 발달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 9 C. 음악치료와 사회적 상호작용 = 12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설계 및 절차 = 20 C. 프로그램 개발 절차 = 21 D. 프로그램의 실제 = 27 E. 프로그램 검증 절차 = 34 Ⅳ. 연구결과 = 36 A.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 36 Ⅴ. 결론 및 제언 = 46 A. 결론 = 46 B. 결과의 시사점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49 부록 = 55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297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통합교육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im, Ju-Young-
dc.format.pagev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