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9 Download: 0

오디 음악 활동을 통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어머니간의 상호작용 증진에 관한 사례 연구

Title
오디 음악 활동을 통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어머니간의 상호작용 증진에 관한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Increase of Between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Their Mothers Throuth Audie Music Activity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egree
Master
Abstract
An infant’s relationship occurs mainly with the mother, whom the infant first encounters when he/she is bor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has a great effect on the infant’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e infant forms attachment from the mother’s sensitive and immediate attention, and when the infant experiences difficulties in the interactions with the mother is prone to have problems in forming attachment.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is a social function disorder caused by pathological nurturing, and its basic symptom is the defection in the interactions with other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re similar with those of autistic children, but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an be recovered by re-experiencing attachment with the mother. Joo-Hee Noh first introduced Audie music activity in Korea on the foundation of Gordon’s theory, and it has been adapted to be more suitable for Korean environment. The Audie music activity has the following fundamental principles; activities directed with voice, mother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ctivities run as play and sensitive interactions. These principles can provide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to re-experience attachment.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changes in the increase of interaction by providing Audie music activities to the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their mothers. Total of 10 Audie music activity sessions were held for two children diagnosed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their mothers. Social maturity test was used to see the changes in the children’s social quality scale. Fagot’s interaction sale was used to see th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free play.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music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udie music activity increases social quality of children, and that it brings out positive results in the change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in free play and music situation. The social quality scale of the children showed changes from minimum of 13.3 to maximum of 15.0. In the context code, interactive code and reaction code of free play situation, where Fagot’s interaction scale was used, all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context code, the case one child showed increase in music activities from 16 to 51 and in social play and interaction from 11 to 23. The child showed decrease in no activity from 23 to 7. The case two child showed increase in music activities from 23 to 37 and in social play and interaction from 3 to 32. The child showed decrease in no activity from 18 to 8. In the interaction code, the case one child showed increase in the number of looking at the mother from 7 to 25 and in laughing and smiling from 4 to 31. The child showed decrease in no interaction from 43 to 4 and in child’s ignoring from 6 to none. The case two child showed increase in the number of looking at the mother from 10 to 25, in normal play from 7 to 32 and in normal physical actions from 0 to 15. The child showed decrease in making non-communicative sound from 7 to none, no interaction with other from 41 to 5 and in child’s ignoring from 8 to none. In reaction code, the case one mother showed increase in positive reactions from 3 to 11, in lingual interactions from 7 to 22, in joined activities from 3 to 18 and in trying new activities from 5 to 12. She showed decrease in ordering from 10 to 1 and in just looking at the child from 36 to 9. The case two mother showed increase in positive reactions from 2 to 12, in affectionate physical reactions from none to 17 and in joined activities from none to 21. She showed decrease in ordering from 7 to none, in just looking at the child from 28 to 4 and instructing activities from 7 to 0.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n the case one child and case two child’s music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case one mother’s behavioral and linguistic interactions and case two mother’s behavioral interactions are as followings: The case one child showed increase of singing and dancing to the rhythm and tempo of the music with the mother in musical interactions, and the motion of clapping with the mother and listening to the mother’s singing were observed. Also, as the sessions progress, the child’s physical and eye contact with the mother increased in interactive session. The case two child, in the musical interaction, showed rocking motion and sound making by banging the instruments to the music along with the mother. As for behavioral changes, the child showed decrease in the number of leaving the place and increase in looking at the mother and smiling. The case one mother in behavioral interaction showed increase in getting close to the child and in the number of affectionate physical contacts as the sessions progressed. As for linguistic interaction, she rarely tried in early sessions, but since the third session she started to show the effort, and near the end of the sessions, she held her child and tried linguistic interactions frequently. The case two mother did not show much of affectionate physical contacts in the behavioral interaction, but from the sixth session, she showed increase in positive physical contacts such as kissing and stroking the child’s head. The Audie music activit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increas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their mothers. A longer-term study with more subjects should follow to generalize the findings. A study with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ttachment disorder to find out more about the effect on the increase of social quality with peers should also follow this study.;영아가 맺는 관계는 주로 태어나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어머니와 이루어진다. 어머니와의 관계는 영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영아는 어머니의 민감하고 즉각적인 보살핌으로 인해 애착을 형성하게 되는데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은 아동은 애착 형성에 문제를 갖게 된다. 반응성 애착 장애는 부적절한 양육 형태로 인해 생겨나는 사회성 기능 장애로써 가장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결함이다. 반응성 애착 장애아동의 행동 특징은 자폐와 유사하지만 환경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면 회복이 가능하다. 오디 음악 활동은 Gordon의 이론을 바탕으로 노주희가 처음 국내에 도입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게 고안되어진 프로그램이다. 오디 음악 활동은 육성을 통한 진행, 어머니와 함께 하는 수업, 놀이를 통한 진행, 민감한 상호작용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점은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에게 애착 재경험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오디 음악 활동을 실시하여 상호작용 증진에 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반응성 애착 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과 어머니 2쌍을 대상으로 총 10회의 오디 음악 활동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사회성 지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사회성숙도 검사를, 자유놀이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Fagot의 상호작용 척도를, 음악 상황 안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질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오디 음악 활동은 활동 전후 아동의 사회성 지수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자유놀이 및 음악 상황 안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변화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사회성 지수는 최소 13.3에서 15.0까지의 변화를 보였으며 Fagot의 상호작용 척도를 이용한 자유놀이 상황에서는 맥락 코드, 상호작용 코드, 반응코드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맥락코드에서 사례 1 아동은 음악활동이 16회에서 51회, 사회적 놀이와 상호작용이 11회에서 23회로 증가하였으며, 활동 없음은 23회에서 7회까지 감소하였다. 사례 2 아동은 음악활동이 23회에서 37회, 사회적 놀이나 상호작용은 3회에서 32회로 증가하였으며 활동 없음은 18회에서 8회로 감소하였다. 상호작용 코드에서 사례 1 아동은 어머니를 바라보는 횟수가 7에서 25회, 웃기와 미소짓기는 4회에서 31회로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 없음은 43회에서 4회, 아동의 무시하기는 6회에서 없음으로 감소하였다. 사례 2 아동은 어머니를 바라보는 횟수가 10회에서 25회, 정상적인 놀이가 7회에서 32회, 정적인 신체 사용이 없음에서 15회로 증가하였으며, 비의사소통적 소리가 7회에서 0회, 타인과 상호작용이 없는 횟수가 41회에서 5회, 아동의 무시하기가 8회에서 없음으로 감소하였다. 반응자 코드에서 사례 1 어머니는 우호적인 반응이 3회에서 11회, 언어적 상호작용이 7회에서 22회, 연합활동이 3회에서 18회, 새로운 활동 시도하기가 5회에서 12회로 증가하였고, 지시하기가 10회에서 1회, 아동을 바라만 보기가 36회에서 9회로 감소하였다. 사례 2 어머니는 우호적인 반응이 2회에서 12회, 정적인 신체 반응은 없음에서 17회, 연합활동은 없음에서 21회로 증가하였고 지시하기가 7회에서 없음, 아동을 바라만 보기가 28회에서 4회, 가르치는 활동이 7회에서 0회로 감소하였다. 치료 과정 내에서 사례 1 아동과 사례 2 아동은 음악적,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사례 1 어머니는 행동적,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사례 2 어머니는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변화를 보였다. 사례 1 아동은 음악적인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와 음악의 리듬이나 빠르기에 맞추어 주고받으며 노래를 하거나 율동을 하는 모습이 늘어났으며 어머니와 같이 박수를 치거나 어머니의 노래를 듣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행동적 상호작용에서는 회기가 진행될수록 어머니와의 신체 접촉과 눈마주침이 늘어남을 볼 수 있었다. 사례 2 아동은 음악적인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와 노래에 맞추어 몸을 흔들면서 노래를 하거나 노래에 맞추어 어머니와 악기를 부딪혀 소리를 내는 등의 모습이 관찰되었고 행동적 변화는 자리 이탈이 감소하였고 어머니를 바라보며 웃는 횟수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사례 1 어머니의 행동적 상호작용으로는 회기가 진행될수록 아동에게 다가가 정적인 신체 접촉을 많이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초기에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약 3회기부터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회기의 후반부에서는 아동을 안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많이 시도함을 볼 수 있었다. 사례 2 어머니의 행동적 상호작용에서는 정적인 신체 사용이 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약 6회기부터 어머니는 아동에게 스스로 뽀뽀를 하거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등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많이 하였다. 오디의 음악 활동은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어머니간의 상호작용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추후 연구로는 다수의 아동과 장기간의 활동이 요구되어지며 애착 장애 아동과 또래 일반 아동이 함께 참여하여 또래와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연구도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