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한지현-
dc.creator한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87-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공격성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타악기 중심의 음악활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사례연구를 통해서 알아보고 그 치료적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타악기 중심의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7주에 걸쳐 총 21회 소그룹 세션을 실시하였고 각 세션은 30분으로 구성하였다. 공격성 아동의 선정은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곽금주(1992)가 다소 수정하여 만든 교사평정용 공격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공격성 점수가 높은 아동 3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에게 조해연(2001)과 이주식(2003)이 사용한 척도를 수정 보완한 16문항의 자기 질문식 충동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충동성 검사도 함께 사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례아동의 공격성과 충동성 측정 도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와 함께 음악활동 개입 후 치료 초기(1~3회기)와 후기(19~21회기)의 공격적 행동발생 변화를 데이터화하여 비교 분석 하는 양적인 연구와 타악기 연주활동이 아동에게 미친 반응을 관찰 기록하는 질적인 연구를 동시에 하였다. 음악활동 개입 후 아동의 공격적 행동발생의 변화를 보기 위해 비디오카메라를 사용하여 음악치료 전체 세션을 녹화하였다. 목표행동으로는 음악치료 시 악기를 때리거나 던지는 충동적인 행동과 동료와 신체적 접촉을 부적합하게 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음악활동 개입 후 목표행동 발생의 측정은 비디오 녹화자료를 통해 관찰자와 함께 빈도 기록법으로 측정하였다. 음악활동 개입 후 질적 관찰내용은 음악활동 안에서의 자기표현 내용을 바탕으로 사례아동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격성 측정도구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례아동 A는 19점에서 16점으로, 사례아동 B는 23점에서 19점으로, 사례아동 C는 21점에서 18점으로 낮아졌으며 충동성 측정도구의 사후검사 점수도 사례아동 3명 모두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또한 목표행동 발생 빈도수의 변화도 음악치료 초기보다 후기로 갈수록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례아동의 질적 연구결과는 타악기 연주활동 후 자기표현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라는 감정상태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양적 · 질적 분석의 결과들은 타악기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사례아동에게 공격성 감소라는 치료적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타악기가 공격성 아동을 위해 유용한 치료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초등학교 실제 교육현장에서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위해 교육적 측면으로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아동의 공격성을 위해 현장에서 실습하는 치료사들에게 유용한 치료적 접근법을 제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 of musical activities on children's aggressiveness using percussion playing through case studies and to present the therapeutic programs. Musical activities using percussion playing were organized for three aggressive children. Twenty-one small group sessions were conducted over seven weeks with 30 minutes given each session. Fourth-grade children involved in using Aggressiveness Measuring Tool for Teachers-revised by Gwak Geum-Joo(1992) was selected for case studies. Children’s impulsiveness was also tested through self-test measuring tool for impulsiveness-revision of 16 questions used by Cho Hae Yeon (2001) and Lee Joo Shik (2003). As quantitative method,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using measuring tools for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of children as well as between aggressive behaviors occurring in the initial stage of the first three sessions and in the latter stage of the last three sessions. Qualitative method was used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ussion playing on children. All sessions were videotaped to examine the changes i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after the music intervention. Measured target behaviors were children's impulsive beating and throwing the musical instruments, and inappropriate physical contacts with their peers. Target behaviors after intervention was measured by recording the frequency of the target behaviors through reviewing the videotaped sessions with another observer.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children's emotional states and changes were analyzed by self-descriptions of the children in the musical activities. After the musical activities, child A showed reduced Aggressive Measuring Tool scores from 19 to 18, with child B from 23 to 19 and child C from 21 to 18. The results show that occurrence of aggressive behaviors were lowered in the post test. Impulsiveness Measuring Tool scores in the post test were decreased as well in all three children. During the music therapy program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frequency of the target behaviors in all three children has reduced more in the latter stage than the initial stage of music therapy. The qualitati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ildren experienced releasing stress through self-expression after percussion play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using on percussion playing in reducing aggressiveness of children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percussion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aggressive children. These results can be adapted and reapplied by teachers in primary schools to approach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and can present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to therapists practicing in clinical environ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아동의 공격성 = 7 1. 공격성의 개념 = 8 2. 아동의 공격성 발달형태 = 11 3. 아동의 기질과 공격성 특성 = 14 4. 아동의 공격성 감소를 위한 치료적 전략 = 17 B. 공격성 아동을 위한 음악 치료적 접근 = 19 1. 공격성 아동과 치료적 매개체로서의 음악 = 19 2. 아동의 공격성을 위한 타악기 연주활동의 치료적 효과 = 22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설계 = 30 C. 연구절차 = 31 D. 측정도구 = 32 E. 연구자료 분석 = 34 F. 음악활동 프로그램 구성 = 35 Ⅳ. 연구결과 = 52 A. 양적 분석결과 = 52 1. 공격성과 충동성 측정도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 52 2. 목표행동 발생빈도의 결과 = 56 B. 질적 분석결과 = 63 Ⅴ. 결론 및 제언 = 77 A. 결론 = 77 B. 연구의 제한점 = 78 C. 후속 연구로의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 = 90 Abstract =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59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공격성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rapeutic use of percussion instruments for children with aggressive behaviors -- Case studie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
dc.creator.othernameHan, Jee Hyun-
dc.format.pageⅵ,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