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 Download: 0

정서경 서사의 여성 인물 연구

Title
정서경 서사의 여성 인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arratives of Jeong Seo-kyung : Focusing on Becoming Nomadic Subjects
Authors
조예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디어예술인문학협동과정
Keywords
유목적 주체성, 가면성, 체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도훈
Abstract
본고는 정서경 작가의 서사 속 여성들의 유목적 주체-되기에 주목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해당 연구는 여성의 ‘여성성’은 어디에서 오는지, 사회화와 젠더 권력으로 인한 ‘성차’의 존재는 여성을 어떤 주체로 만드는지, 여성들은 이를 기계적으로 ‘반영’하는지, 그것이 아니라면 행위 주체로서 여성의 가능성은 ‘욕망’에 있는 것이고, 이에 따른 여성의 선택적인 ‘가면성’과 ‘유목적인 주체-되기’의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서, 육체적 페미니즘에 입각해 오늘날 다층적 경계 위에 존재하는 유동적인 여성들을 명명하기 위한 로지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되기’를 중심으로 다룬다. 그는 들뢰즈의 ‘되기’ 이론과 ‘성차 접근법’에 기반해 ‘여성-되기’로서의 주체화를 논한다. 이때의 체현적 실재로서 여성 주체는 복잡다단한 현장에서 작용하는 신체를 지닌, 분산적이고 파편적인 과정 위의 존재이다. 또한 능동적인 변용을 실행할 수 있는 횡단적인 존재이기도 하다. 분석 대상이 되는 텍스트는 최근 영화와 드라마를 오가며 활발히 활동하고, 작품성마저 인정받고 있는 시나리오 작가 정서경의 작품들로, 〈친절한 금자씨〉(2005), 〈싸이보그지만 괜찮아〉(2006), 〈박쥐〉(2009), 〈비밀은 없다〉(2016), 〈아가씨〉(2016), 〈헤어질 결심〉(2022)까지 영화 6편과 〈마더〉(2018)와 〈작은 아씨들〉(2022)까지 드라마 2편이다. 숨 쉴 틈 없이 진행되는 그의 빽빽한 문장들에서 읽히는 전복적인 주인공 여성들이 본 논문의 주된 소재이다. 본론은 일련의 카르토그라피로서 각 장에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도식화와 함께, 분석 내용과 관련한 작품의 각본 및 영상 중 몇 개의 장면들로 구성된다. 먼저, II장에서는 버틀러 이론을 참고하여 여성에게 주어졌던 구조적 한계와 그로 인한 취약성을 분석했고, 이에 따른 여성성의 수용과 이탈 및 부적응의 행위를 경유하며 ‘여성적’인 체현이 이뤄지는 과정을 정리했다. 이때의 ‘여성적’인 체현은 보통 여성들이 감당해야 하는 것으로서 젠더 권력에 의해 정의되고 여성 주체를 수동적인 위치로 즉, 약자로 만드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 위해, 총 3개의 분류 기준을 두고, 가정의 억압으로 인해 히스테리를 겪는 여성들, 계층적 위계로 인한 콤플렉스를 가지는 여성들, 사회적 소외로 얻은 트라우마에 갇힌 여성들을 다뤘다. 이를 통해 결국 각기 다른 사회 단위 속에 속하기 위해 ‘여성적’인 체현을 이어가는 한국의 여성들을 발견할 수 있었고, 특히 그 가운데 가부장제의 변주를 자주 목격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욕망과 괴리된 체현 중에 이상 증세에 시달리며, 같은 처지의 여성들과의 관계에서도 갈등을 빚거나, 생존과 존재 정립을 위해 애써야 하는 여성들을 목도할 수 있었다. 이어서, III장과 IV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들 여성이 고유한 욕망을 따라 전복적 인 ‘되기’를 체현하며 일어나는 유목적 주체-되기를 서술한다. 특히 해당 과정 중에 두드러진 것은 메리 앤 도앤이 밝힌 가면성의 재현이다. 이는 초여성성의 형태뿐 아니라, 전형적인 여성성의 특징들을 포함한 확장된 의미로 접근하며, 현대 사회 속 여성들이 욕망을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개념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각 장은 총 2개의 여성상을 기준으로 분류되며, 3가지의 ‘되기’로 구분하며 정리했다. 먼저, III장에서는 처단하는 주체들로 등장하는 여성들을 통해 유목적 주체-되기를 제시한다. 바바라 크리드의 ‘여성 거세자’나 스릴러에서 변주되어 온 사나운 ‘수사관’ 개념에 중심을 두면서, 은폐와 결심으로 범죄자가 되거나, 탈주와 폭력으로 탈인간이 되고, 갈증과 행동으로 거세자가 되는 유형을 살펴봤다. 이때 여성 거세자로서 처단자가 되는 여성들은 ‘폭력성’을 여성성의 일부로 내재화한 모습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전복적이지만, 그 결과가 자책이나 죽음으로 이어지며 타인과 더 나아가는 역량을 보이지 못해 한계점을 갖는다. 반면 추격자로서 철저한 수사관의 면모를 보이는 처단자의 경우에는 일말의 진실을 파헤치며 사회의 피해자를 만들어내는 문제의 권력 집단에 유의미한 반격을 보인다. 다음으로 IV장에서는 구원하는 주체들로 도래하는 여성들을 통해 또 다른 유목적 주체-되기를 제시한다. 이때는 캐롤 길리건의 ‘돌봄’ 개념에 중심을 두면서, 대면과 각성으로 엄마가 되거나, 해방과 사랑으로 동무가 되고, 추적과 연대로 자매가 되는 유형을 살펴봤다. 해당 주체들을 통해서는 타인과의 만남이 여성들의 삶에 일으키는 큰 파동을 목격하며, 그로 인해 자신의 욕망에서 시작한 ‘되기’를 타인을 포함한 여성의 구원을 위한 ‘되기’로 가져가는 주체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정상성이 상정되고, 자본 및 권력으로 인한 차별과 폭력이 만연하며, 남성중심적인 질서 하 소외되던 여성들이 함께 생존해 지속 가능한 삶을 영위하는 결말로 나아가 그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통해, 한국 여성을 취약하게 만들던 사회 문제와 그로 인한 여성의 재현을 그들의 신체를 경유하며 살펴볼 수 있었다. 동시에 그러한 구조 속에서도 여전히 고유한 욕망을 토대로 한 ‘-되기’를 통해, 능동적이고 횡단적인 주체성을 획득하는 과정 역시 목격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성’을 내보이면서도 이분법에 포함되지 않는 또 다른 ‘여성성’을 발전시키거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여성들의 ‘-되기’가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마치 하나의 젠더처럼 묶여있지만, 사실은 서로 다른 여성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검토해 낸 것이 본 논문의 의의이다.;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concept of "becoming nomadic subjects"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arratives of Jeong Seo-kyung. The research seeks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origin of 'femininity' in women, the impact of socialization and gender power on their subjectivity, and whether women merely 'reflect' these influences or if their potential as active agents lies in 'desire.' This inquiry extends to the possibility of women's selective 'masking' and 'becoming nomadic subjects.' To explore these themes, this paper focuses on Rosi Braidotti's concept of 'becoming nomadic subjects,' based on corporeal feminism, to name the fluid women existing on today's multiple boundaries. Braidotti, drawing on Deleuze's theory of 'becoming' and 'sexual difference approach,' discusses subjectivation as 'becoming-woman.' In this context, the embodied female subject is a dispersed, fragmented being acting in complex real-world situations and is capable of active transmutation. The texts analyzed include the works of screenplay writer Seo-kyung, who has recently gained recognition for both her films and dramas. The films includ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2005), "I'm a Cyborg, But That's OK" (2006), "Thirst" (2009), "The Truth Beneath" (2016), "The Handmaiden" (2016), and "Decision to Leave" (2022), along with the dramas "Mother" (2018) and "Little Women" (2022). The subversive female protagonists found within the dense sentences of her works a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The main body is organized with individual diagrams used as cartographies in each chapter, accompanied by specific scenes from the scripts and videos related to the analysis. In Chapter II, drawing on Butler’s theory, the structural limitations imposed on women and the resulting vulnerabilities are analyzed. This chapter outlines the process of embodying ‘femininity’ through acceptance, deviation, and maladaptation in response to these constraints. Here, ‘feminiene’ embodiment refers to what women typically have to endure, defined by gender power, and relegating the female subject to a passive, and thus subordinate, position. To illustrate this, thre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used: women experiencing hysteria due to familial oppression, women with complexes resulting from hierarchical stratification, and women trapped in trauma induced by social exclusion. Through this, we can observe Korean women continuing to embody ‘femininity’ in order to fit into different social units, with frequent variations of patriarchy being particularly noticeable. Additionally, we witness women who, while embodying desires that diverge from their own, suffer from abnormal symptoms, experience conflicts in relationships with women in similar circumstances, and struggle for survival and self-establishment. Following this, Chapters III and IV describe the nomadic becoming of these women as they embody subversive 'becoming' through their desires. A notable aspect in this process is the concept of masquerade as outlined by Mary Ann Doane. This concept is approached in an expanded sense, including hyper-femininity and stereotypical femininity, illustrating how modern women strategically use it to pursue their desires. Each chapter categorizes women based on two archetype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 becoming.' Chapter III focuses on women who become punishing subjects, exploring Barbara Creed's 'female castrator' and the fierce 'investigator' trope in thrillers. It examines types such as those who become criminals through concealment and resolve, non-human through escape and violence, or castrators through thirst and action. These women internalize 'aggression' as part of their femininity, but their outcomes often lead to self-reproach or death, highlighting their limitations. Chapter IV examines women who become salvific subjects, based on Carol Gilligan's concept of 'care,' exploring types such as mothers through confrontation and awakening, comrades through liberation and love, and sisters through pursuit and solidarity. These subjects illustrate how encounters with others create significant waves in women's lives, leading them from desire-driven 'becoming' to 'becoming' for the salvation of others. This represents women who were marginalized under male-centric orders surviving together and achieving sustainable lives. Through this study, the social issues that render Korean women vulnerable and their resultant representations through their bodies are examined. Despite the restrictive structures, women are observed gaining active, transversal subjectivity through 'becoming' based on their unique desires. Moreover, it reveals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femininity' that transcends binary definitions and the varied 'becomings' occurring in society. The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different women, despite being grouped under a single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