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문예현-
dc.creator문예현-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58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58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00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00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9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자가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하면서 겪은 경험과 그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학교상담자는 학교상담실인 위(Wee) 클래스 운영과 상담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를 말한다. 전문적학습공동체는 공동의 가치와 이상을 가지고 끊임없이 그들의 실천을 탐구하고 향상해 나가는 전문가 집단을 의미한다. 학교폭력, 아동학대, 자해 및 자살, 학업중단, 도박, 마약 등 다양한 사회 문제들이 등장함에 따라 학교상담자의 역할도 상담뿐만 아니라 자문, 연계, 교육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상담자는 학교당 1명씩 배치되어 있어 상담 사례나 업무를 함께 의논할 동료와 연결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개인의 의지만으로 연결되기에는 한계가 있어 교육(지원)청의 주최로 네트워크를 조직 및 구성해 주는 체제적인 기반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0년 전부터 학교 문화 혁신의 흐름으로 전문적학습공동체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해 공동연구・공동실천・공동성찰의 과정을 수행하며 교사의 집단전문성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보고 교육부와 전국 시·도 교육청은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예산 지원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제가 교과 수업 위주인 경우가 많아 대체로 수업하지 않는 학교상담자는 이러한 활동에서 소외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상담자는 전문적학습공동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Giorgi(2004)의 기술적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 세계에 따른 개별적인 상황적 특성과 공통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A교육지원청 B구 중학교 위(Wee) 클래스 담당자인 학교상담자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 중 1년 동안 9회의 활동 중 5회 이상 참여한 구성원 8명을 의도적 표집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총 7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고 주제 결집 과정을 거쳐 10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한 학교상담자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낯선 공동체 참여를 통한 어색함>, <참여 목적의 다양성으로 인한 혼란감>, <상담교사와 상담사 간의 미묘한 긴장감>, <유용한 정보 공유를 통한 든든함>, <서로의 위클래스 개방을 통한 다양성 인식>, <지역별, 학교급별 상호작용을 통한 동료의식>, <심리적 지지를 통한 위로와 치유>, <성장을 위한 새로운 변화와 시도>, <학교의 변화와 학생 성장에 기여했다는 자신감>, <학교상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고양된 의지>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활동 초반 경험은 <낯선 공동체 참여를 통한 어색함>, <참여 목적의 다양성으로 인한 혼란감>, <상담교사와 상담사 간의 미묘한 긴장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참여자는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처음 경험하며 어색함을 느꼈고 구성원마다 전문성 향상, 소진 예방 등의 목적이 다양하게 나타나서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해야 할지 혼란스러웠다. 또한 학교상담자는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로 직종이 이원화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 미묘한 긴장감과 방어적인 태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활동 중반에는 <유용한 정보 공유를 통한 든든함>, <서로의 위클래스 개방을 통한 다양성 인식>, <지역별, 학교급별 상호작용을 통한 동료의식>, <심리적 지지를 통한 위로와 치유>, <성장을 위한 새로운 변화와 시도>를 보였다. 집단상담에서 말하는 집단응집력이 높아지면서 참여자들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다른 학교 위(Wee) 클래스를 방문하며 다양성을 깨닫고, 심리적 지지를 통해 위로받으면서 학교상담자로서 변화에 대한 동기가 부여되었다. 활동 후에는 <학교의 변화와 학생 성장에 기여했다는 자신감>, <학교상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고양된 의지>로 나타났다.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학교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공동체 활동을 통해 학교상담 전문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의지를 높였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 방법으로 참여자들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서술을 통해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의 본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새롭게 시도된 학교상담자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첫 1년의 활동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school counselor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School counselors, known as school counseling teachers or professional counselors, are responsible for operating counseling room(Wee Class) and handling counseling duties. PLC is groups of professionals who continuously explore and improve their practices based on shared values and ideals.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social issues such as school violence, child abuse, self-harm and suicide, school dropouts, gambling, and drug abuse,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has expanded beyond counseling to include consultation, linkage, and education. However, as there is typically only one counselor per school, it is challenging for them to connect with colleagues to discuss cases or share duties.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organized by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to establish and maintain networks. In South Korea, PLC has been officially introduced as part of a school culture innovation movement over the past decad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nationwide have actively developed policies and provided financial support for PLC, aiming to foster collective research, practice, and reflection among teachers, thereby enhancing collective professional expertise. However, these PLC often focus on subject-based teaching, leading to the exclusion of school counselors who do not typically engage in classroom teaching. Thus,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 "What experiences do school counselors have in PLC, and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dopted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Follow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he study analyzed and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e individual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in the participants' experiential worlds. 8 school counselors from a middle school’s Wee Class in District ‘B’, affiliated with the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at least 5 of 9 PLC sessions over one year, were purposively sampled for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Data analysis revealed 70 meaning units, which were consolidated into 10 essential themes. The final essential themes regarding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in PLC were: <Awkwardness through participation in an unfamiliar community>, <Confusion due to the diversity of participation purposes>, <Subtle tension between counseling teachers and counselors>, <Reassurance through the sharing of useful information>, <Recognition of diversity through opening each other's Wee Classrooms>, <Sense of fellowship through regional and school-level interactions>, <Comfort and healing through psychological support>, <New changes and attempts for growth>, <Confidence in contributing to school change and student growth>, and <Enhanced motivation to improve counseling expertise>. Early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dicated feelings of <Awkwardness through participation in an unfamiliar community>, <Confusion due to the diversity of participation purposes>, and <Subtle tension between counseling teachers and counselors>. Participants initially felt awkward due to their first-time experiences in PLC, and the varied purposes of improving expertise and preventing burnout among members led to confusion about the focus of activities. Additionally, divided occupations of counseling teachers and counselors resulted in subtle tension and defensive attitudes. Midway through the activities, participants showed <Reassurance through the sharing of useful information>, <Recognition of diversity through opening each other's Wee Class>, <Sense of fellowship through regional and school-level interactions>, <Comfort and healing through psychological support>, and <New changes and attempts for growth>. As group cohesion increased, participants actively shared information, visited other Wee Class to recognize diversity, and found motivation through psychological support. After the activities, experiences were characterized by <Confidence in contributing to school change and student growth> and <Enhanced motivation to improve counseling expertise>. Through PLC activities, participants felt more confident in performing their roles within the school and were motivated to continue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skill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ssence of the PLC activity experiences through vivid and concrete descriptions from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first year of PLC activities among school counselors, marking a pioneering effort in this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학교상담자 5 2. 전문적학습공동체 5 Ⅱ. 이론적 배경 6 A. 학교상담자의 이해 6 1. 학교상담자의 분류 6 1) 전문상담교사 6 2) 전문상담사 7 2. 학교상담자의 역할 9 3.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11 B.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이해 13 1.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개념 및 등장 배경 13 2.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특징 17 3.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형성 과정 19 4.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운영 실태 21 5.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선행연구 분석 25 Ⅲ. 연구방법 29 A.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이해 29 1.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 29 2.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32 B. 연구참여자 33 1. 연구참여자 선정 과정 33 2. 연구참여자의 특성 34 3. 연구참여자의 활동 35 4.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36 C. 연구 절차 36 1. 자료 수집 방법 36 2. 자료 분석 방법 38 3. 연구자의 준비도와 선이해 40 4. 연구의 엄격성 40 Ⅳ. 연구 결과 42 A. 상황적 구조 기술 42 1. 연구참여자 A: 나만 다른 줄 알았던 불편감에서 '나만 그런 게 아니구나'를 느낀 동질감으로 변화한 경험 42 2. 연구참여자 B: 고민을 나누며 위로받고, 자료를 나누며 뿌듯함을 느꼈던 경험 47 3. 연구참여자 C: 그토록 찾아 헤맨 공동체에서 연대감을 느꼈던 경험 51 4. 연구참여자 D: "같을 건 같고, 다를 건 다른"위(Wee) 클래스를 체험한 경험 57 5. 연구참여자 E: 하나로 모인 힘으로 우리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던 경험 62 6. 연구참여자 F: 기대가 컸던 만큼 아쉬움도 컸던 경험 68 7. 연구참여자 G: '우리' 지역 내, '우리'끼리로 구성된 특별한 경험 74 8. 연구참여자 H: 마음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공동체가 생긴 경험 82 B. 일반적 구조 기술 88 1. 낯선 공동체 참여를 통한 어색함 91 2. 참여 목적의 다양성으로 인한 혼란감 93 3. 상담교사와 상담사 간의 미묘한 긴장감 94 4. 유용한 정보 공유를 통한 든든함 96 5. 서로의 위클래스 개방을 통한 다양성 인식 98 6. 지역별, 학교급별 상호작용을 통한 동료 의식 101 7. 심리적 지지를 통한 위로와 치유 103 8. 성장을 위한 새로운 변화와 시도 105 9. 학교의 변화와 학생 성장에 기여했다는 자신감 109 10. 학교상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고양된 의지 110 Ⅴ. 논의 및 결론 113 A. 논의 113 1. 활동 초반 경험에 대한 논의 114 2. 활동 중반 경험에 대한 논의 118 3. 활동 후 변화에 대한 논의 122 B. 요약 및 결론 125 C. 제한점 및 제언 126 참고문헌 128 부록1. 연구참여자용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141 부록2. 면담 질문지 143 ABSTR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09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교상담자, 전문적학습공동체, 전문상담교사, 전문상담사, 학습공동체-
dc.subject.ddc300-
dc.title학교상담자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c.creator.othernameMoon, Yehyun-
dc.format.pagevi,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