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 Download: 0

아동기 애착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기 애착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Authors
이상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Keywords
아동기 애착외상, 대인관계문제, 자비불안, 자기은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불안과 자기은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어린 시절 애착 대상으로부터 외상을 경험하여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초기 성인기에게 적극적인 상담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 성인기 남녀 37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8.0과 SPSS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한 후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아동기 애착외상 수준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𝑡-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여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불안과 자기은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주요 변인 간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아동기 애착외상은 자비불안과 자기은폐, 대인관계문제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자비불안 역시 자기은폐와 대인관계문제와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자기은폐 또한 대인관계문제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애착외상 수준에 따라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기 애착외상 수준에 따라 자비불안과 자기은폐, 대인관계문제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였으며,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불안과 자기은폐가 순차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초기 성인기의 아동기 애착외상 수준에 따른 주요 변인 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은 초기 성인기의 대인관계문제를 예측하고,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불안과 자기은폐가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아동기 애착외상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자비불안과 자기은폐, 대인관계문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을 의미하며,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을 많이 할수록 자비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자비불안을 많이 느낄수록 자기은폐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며, 자기은폐를 많이 사용할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더 많이 겪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아동기 애착외상이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불안과 자기은폐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을 지닌 초기 성인기들이 경험하는 대인관계문제를 이해하고 치료적 개입을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among young adults, with the aim of exploring avenues for providing proactive counseling support to adults who have experienced attachment trauma in childhood and are experi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72 young adults to collect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8.0 and SPSS PROCESS Macro 4.2. Initial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examined, follow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explore the general tendencies among the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based on levels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Finally,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verify and analyz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all major variables. Childhood Attachment Traum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ear of compassion,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while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also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Secondly, analyses based on levels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ar of compassion,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Thirdly, through PROCESS Macro Model 6 and bootstrapping for indirect effects, it was found that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 variables based on levels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in young adults. Childhood Attachment Trauma in young adulthood predi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and it was found that Childhood Attachment Trauma sequentially mediates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This implies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more fear of compassion, engage in more self-concealment, and consequently experience m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sues in young adulthood can aid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Furthermore, by identifying the precursor factors of self-concealment, which is known as a factor contributing to counseling avoidance, among individuals with Childhood Attachment Trauma experiences in young adulthood, and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anxiety towards compassion, it is expected that proa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