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 Download: 0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hildhood Complex Trauma on Psychological Well-Being :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Authors
안재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Keywords
복합외상, 침습적 반추,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 반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553 college students nationwide in South Korea.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4.2.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trusive ruminatio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rusive rumin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dditionally, intrusive rumin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self-compassion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in this relationship was confi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rusiv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experiencing complex trauma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may lead to high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which in turn may impair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their college year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s of complex trauma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may lead to lower levels of self-compassion, which in turn could impair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the college years. Fourth,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wer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experiencing more complex trauma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may increase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which subsequently reduces levels of self-compassion. This reduction in self-compassion then significantly impair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t confirmed that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s act as predictive variables for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intrusiv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mediating these relationships. Therefore, based on these findings, when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face difficulties or suffering due to de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their college years, focusing on intrusiv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could help formulate mor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settings. In particular, to progress intrusive rumination towards purposeful deliberate rumina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alleviate painful emotions. Therefore, through therapeutic intervention targeting self-compassion, individuals can construct new schemas, lead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자기자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5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 침습적 반추,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은 침습적 반추와 유의하게 정적인 상관을,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과는 유의하게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침습적 반추는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자기자비는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 본 후 이 관계에서 나타나는 침습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침습적 반추는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청소년기에 경험한 복합외상이 높은 수준의 침습적 반추로 이어지며, 침습적인 반추로 인해 한 개인의 대학생 시기 심리적 안녕감이 저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나타나는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자비가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청소년기에 경험한 복합외상이 낮은 자기 자비 수준으로 이어지며, 낮은 자기자비 수준으로 인해 대학생 시기의 심리적 안녕감이 저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아동·청소년기에 복합외상을 많이 경험하였을수록 침습적 반추 수준이 높아지며, 이러한 침습적 반추가 자기자비 수준을 낮추어, 대학생 시기의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저하시킴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기제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아동·청소년기의 복합외상 경험이 대학생 시기 심리적 안녕감의 예측 변인으로서 작용하며, 이들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자기자비가 매개변인으로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청소년기에 복합외상을 경험한 내담자가 대학생 시기 심리적 안녕감의 저하로 인해 고통이나 어려움을 경험할 때, 침습적 반추와 자기자비에 초점을 둠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침습적 반추가 목적지향적인 의도적 반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고통스러운 정서의 완화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자기자비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통해 개인이 새로운 도식을 구축하여 심리적인 안녕감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