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 Download: 0

성인 초기 청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

Title
성인 초기 청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Early Adulthoo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Authors
배상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Keyword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계획된 우연 기술,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격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cove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early adulthood. As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has dynamically changed due to accelerated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has recently become very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develop adaptive patterns that are sensitive and flexible to change. In this contex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at help individuals develop their career paths by converting happenstance encounters or events into positive career opportun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antece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s constantly being proposed. Considering this point,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established as an antecedent variable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is study. Intolerance of uncertainty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utilization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is a personality trait that is challenging to change in a short period through direct interventions like counseling or education. Therefore, researchers viewed it as important to explore mediating variables that exist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ey ultimately want to see to come up with effective strategies to directly intervene and assistance.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come up with an appropriate intervention plan to enhanc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people who intolerance of uncertainty by sett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as mediating variables and seeing if there is a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early adulthood aged 18-29 across the country, and the research problem was verifi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4.2 based on a total of 329 dat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self-encouragement, and self-encouragement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o determine wheth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eac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onfirm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and self-encouragement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6,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early adulthood reduces respectively the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making it difficult to utiliz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early adulthood reduces the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 lowered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hindered self-encouragement, making it challenging to utiliz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By identifying anteceden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this study provides point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 for clients who have difficulty utilizi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because they lack the strength to tolerate uncertainty.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elf-encouragement were confirm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elf-encouragement for uncertainty that has not been empirically stud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가속화된 기술 발달로 인하여 직업 환경이 역동적으로 변화되며 최근 개인들은 변화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적응 양식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연적인 만남이나 사건을 긍정적인 진로 기회로 전환시켜 개인의 진로 발달을 돕는 계획된 우연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계획된 우연 기술의 개발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안되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우연 기술의 선행 변인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설정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계획된 우연 기술의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상담이나 교육과 같은 개입을 통해 단기간에 변화시키기 어려운 성격적 특성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최종적으로 보고자 하는 종속변인 사이에 존재하는 매개변인을 탐색하여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조력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중요하게 바라보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들의 계획된 우연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18-29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계획된 우연 기술,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격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계획된 우연 기술, 자기격려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격려는 계획된 우연 기술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가 각각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PROCESS macro Model 4번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기격려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PROCESS macro Model 6번을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격려의 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인 초기 청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 수준과 자기격려 수준을 각각 감소시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활용을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인 초기 청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 수준을 감소시키고 낮아진 사회적 지지의 지각 수준이 자기격려를 저해하여 계획된 우연 기술의 활용을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계획된 우연 기술의 선행 변인을 확인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인내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하여 계획된 우연 기술 활용을 어려워하는 내담자에게 개입할 수 있는 지점과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동안 경험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격려의 관계, 그리고 자기격려와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기격려의 역할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