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 Download: 0

경기 12잡가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음악 중심 교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Title
경기 12잡가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음악 중심 교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 centered lesson plans for High School focusing on Gyeonggi 12 Japga
Authors
이송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경기 12잡가, 통합교육, 국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 12잡가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음악 중심 교과 통합 지도안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잡가와 통합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며 경기 12잡가 제재곡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타 교과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총 8차시의 통합교육 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현직 음악 교수와 경기 잡가 연주자 2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현직 음악 교사 4인에게 현장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고 검증 결과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총 8차시의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하며 학습 요소와 내용을 선정하여 <유산가 · 방물가 · 달거리 · 십장가 · 출인가>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지도안은 음악 교과 단일 통합부터 ‘한국사 · 국어 · 체육 · 사회’ 교과와의 통합 수업으로 구성하였으며 포가티의 통합교육 유형 중 ‘공유형 · 연결형 · 통합형’을 활용하였다. 선정한 제재곡의 학습 요소를 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음악 교과와 관련 교과의 주제 · 핵심 아이디어 · 내용 요소 · 영역 · 성취기준 해설 · 교수·학습 방향 및 방법에서 연관성을 찾아 그에 따른 통합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에 <유산가 · 방물가 · 달거리 · 십장가 · 출인가> 제재곡을 활용하여 ‘경기 12잡가의 개념 및 기본 음악적 특징 이해 - 가창 – 가창 · 사설 구조 이해 – 가창 · 표현 방식 활용한 가사 창작 – 가창 · 연주 · 창작 영역 통합 학습 – 가창 · 타 예술과 음악적 특징 비교 · 분석 – 경기 12잡가를 바탕으로 음악과 사회 간 관계 파악’으로 차시별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경기 12잡가를 학습할 때 요구되는 학습 내용이나 함양할 수 있는 기능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통합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각 차시별로 목표하는 음악 교과의 역량 함양을 위한 타 교과와의 통합 내용이나 기능의 범위를 확장시켜 경기 12잡가를 다각도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 12잡가의 학습 내용을 통합적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은 총 8차시로 각 차시별 주제 및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1차시는 공유형을 활용한 한국사 교과와의 통합 수업으로 조선 후기 사회적 상황을 통해 경기 잡가 탄생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경기 12잡가의 <유산가>를 감상하며 음악적 특징을 정리한다. 2차시와 3차시는 공유형을 활용한 국어 교과와의 통합 수업으로 <방물가>를 활용하였다. 2차시는 사설의 내용을 이해하고 가창하며 구조를 분석하고 3차시는 <방물가>에서 나타나는 표현 방식에 따라 정간보를 활용해 가사 창작과 물질주의를 주제로 원하는 갈래의 짧은 글을 창작한다. 4차시와 5차시는 공유형을 활용한 체육 교과와의 통합 수업으로 4차시는 <달거리> 중 <월령가> 부분의 빠른 도드리장단의 강세를 이해하며 반복구를 노래하고 강세에 맞춰 신체 표현을 한다. 5차시는 4차시의 연장선으로 <월령가 · 매화타령> 반복구에 어울리는 동작을 창작하여 영상으로 제작한다. 6차시와 7차시는 연결형을 활용한 음악 교과의 단일 통합 수업으로 경기 잡가와 판소리의 <춘향가>를 주제로 진행한다. 6차시에는 경기 잡가 <십장가>와 판소리 <춘향가> 중 ‘십장가’ 대목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며 감상하고, 직접 가창하며 차이점을 느낀다. 7차시에는 경기 잡가 <출인가>에서 판소리 <춘향가> 내용을 차용한 단락을 파악하고 4박 도드리장단을 이해하며 반복구를 가창한다. 8차시는 통합형을 활용한 국어 및 사회 교과와의 통합수업으로 매체의 도입으로 인한 잡가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매체나 미디어가 음악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의 · 토론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경기 12잡가의 음악적 내용뿐만 아니라 타 교과와의 통합 교육을 통해 다각도로 접근하며 음악이라는 큰 분야를 이해하고 나아가 음악과 사회 간 관계에 대해 통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도안의 내용 타당도와 현장 적합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지도안은 경기 12잡가와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이 충분히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도안의 내용과 다양한 활동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 12잡가 지도안의 개발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맞춰 실기 활동이나 학습 분량 측면에서 시간 운영을 적절하게 분배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안 수정을 거쳐 최종 지도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 12잡가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음악 중심 교과 통합 지도 방안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경기 잡가뿐만 아니라 아직 개발되지 않은 국악의 다양한 분야를 활용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tegrated curriculum guide focused on high school music education, specifically centered around the Gyeonggi 12 Japga. To achieve this, previous studies on Gyeonggi Japga and integrated education were reviewed, and other subjects that could be effectively linked to the Gyeonggi 12 Japga repertoire were selected. Through this research, a total of eight sessions of integrated education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their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current music professor and two Gyeonggi Japga performers. Four current music teachers assessed the field applicabil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draw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developed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bjectives were set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learning elements and content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s. The lesson plans were designed to integrate the music subject alone as well as with 'Korean History, Korean Language,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using Fogarty's integrated education types: 'Shared, Connected, and Integrated.' By utilizing the pieces from the Gyeonggi 12 Japga, students could experience a variety of activities, from appreciation to singing and cre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music, students were encouraged to think an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ciety, and music and media, fostering multifaceted thinking. Second, the classes were structured as follows: The first session was integrated with the Korean History subject,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Gyeonggi Japga through the social context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appreciate while summarizing its musical features. The second and third sessions were integra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sing . In the second session, students understood the lyrics, sang, and analyzed the structure. In the third session, students created lyrics and short writings using Jeongganbo, inspired by the expression methods in , with materialism as the theme. The fourth and fifth sessions were integrated with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In the fourth session, students understood the emphasis on the fast doduri rhythm in the part of and expressed it physically. In the fifth session, they extended this by creating movements suitable for the repeating sections of and , producing videos. The sixth and seventh sessions were again integra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focusing on the Gyeonggi Japga and the pansori . The sixth session compared and appreciat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from the Gyeonggi Japga and the segment of , experiencing the differences through singing. In the seventh session, students explained a borrowed section from in , understood the four-beat doduri rhythm, and sang the repeating sections. The eighth session was integrated with the Social Studies subject, discussing the development of Japga due to media introduction and the impact of media on the music industry. Through this, students lear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iece from the Gyeonggi Japga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lyric structure and rhythm between the Gyeonggi Japga and pansori. Additionally, the lesson plans were designed to help students think about how historical context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fluence the enjoyment of music. Third,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lesson plan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sson plans effectively integrated the Gyeonggi Japga with other subjects, engaging students with varied activities and achieving learning objectives. This demonstrated that the Gyeonggi Japga lesson plans could be practically appli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there was feedback that practical activities and learning volume should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esson plans were revised to complete the final ver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d validated an integrated curriculum guide for high school music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Gyeonggi 12 Japga. It is hoped that future research will continue to utilize various fiel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ducational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