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 Download: 0

음악교과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수업 실천 및 인식 연구

Title
음악교과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수업 실천 및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condary Music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Subject
Authors
이나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협동학습, 음악교육, 중등음악교사, 수업 실천, 수업 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condary music teachers’ practice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music classes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To achieve this go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explore participants’ divers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cooperative learn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music teachers currently employ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ere they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music classes. With each participant, one in-depth interview session was conducted which took about 40 minutes per session. Additionally, in order to observe the practical implement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current school’s music classes, one non-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on a middle school music class located in Gyeonggi-do, where cooperative learning was being practised, as well as on cooperative music activity videos provid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is study’s research analysis on secondary music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classe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music teachers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classes due to its various educational benefits. When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in music classes, all students were able to participate actively, thus maximizing the synergistic effects of cooperation. Particularly in music subject, this approach allowed students to experience musical enjoyment more richly than they could alone. Furthermore,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classes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ooperation skills and to embrace diversity. Therefore, music teachers need to actively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cooperative activities and to connect these experiences to their everyday lives, allowing them to enjoy a diverse musical culture. Second, the research showed that music teachers use cooperative learning selectively in situations where it is deemed inappropriate. Initial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did not participate in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tendencies. Additionally, teachers, guided by their persoanl beliefs about activity areas and the need to enhance individual student capabilities and ensure objective assessments, combined cooperative learning with individual learning. Due to the limited class hours allocated to music subject, teachers used cooperative learning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music activity area. Thus, in situations where cooperative learning was not considered appropriate, teachers proceeded with individual learning or partially used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content and context in which cooperative learning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within the given class hours so that students can broadly experience positive music activitie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classes. Music teachers need to appropriately utilize both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 goals of the less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areas. Third, the research showed that music teachers perform various roles to effectively structure the componen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classes. Music teachers selec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 allowing students to form individual accountability for their roles and establish positive interdependence within the group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usic teachers organized groups and established rules within the groups to facilitate smooth cooperation among students. It was also found that music teachers structure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assessment methods in various ways to ensure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and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herefore, music teachers need to meticulously structure the goals of the lesson, activity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o ensure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practically implemented. This requires active oper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 communitie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directions for its effective utilization by exploring secondary music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on cooperative learning.;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음악교사가 음악 수업에서 실천하는 협동학습의 과정을 탐색하고 그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심층 면담과 비참여관찰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수업 경험 및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음악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6명의 중등음악교사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1회 진행하였고 면담 시간은 평균 40분 정도 소요되었다. 그리고 현재 학교 음악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협동학습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1차시 음악 수업과 연구 참여자가 제공한 협동적 음악 활동 영상을 비참여 관찰하였다. 중등음악교사의 협동학습 수업 실천 및 인식에 대한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의 다양한 교육적 유익으로 인해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수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음악 수업에 협동학습을 적용했을 때 모든 학생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이 협동했을 때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볼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과에서는 그 효과로 학생들이 혼자서는 느끼지 못하는 음악적 즐거움을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더불어 음악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은 학생들에게 협동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통로가 되며 서로 다름을 포용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교사들은 음악교과의 특성을 살려 학생들이 긍정적인 협동 활동을 경험하고 이러한 협동학습 과정이 일상생활과 연계되어 학생들이 음악적 문화를 다양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협동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이 적절하지 않은 수업 상황에서는 협동학습을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학생들이 각자의 성향에 따라 음악으로 협동하는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음악교사들은 활동 영역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과 함께 수업에서 학생들의 개별적인 역량을 강화하고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을 병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음악교과의 시수 부족으로 교사들은 협동학습을 음악 활동 영역에 따라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을 활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다양한 수업 상황들로 인해 개별학습을 진행하거나 부분적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음악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긍정적인 음악 활동을 폭넓게 경험할 수 있도록 주어진 시수 내에서 협동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내용과 맥락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음악교사들은 수업의 목표와 활동 영역의 특징에 따라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을 활용한 음악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구성요소를 구조화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음악교사들은 학습 내용에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을 선택하여 학생들이 역할에 대한 개별적인 책임감을 형성하고 모둠 내에서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악교사들은 학생들이 원활하게 협동할 수 있도록 모둠을 구성하고 모둠 내 규칙을 설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협동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과 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구조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의 목표, 활동 영역, 모둠 구성원의 특성, 환경적 조건 등을 면밀하게 구조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교사 연수와 교사 공동체 등이 활발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과 본 연구는 중등음악교사의 협동학습 수업 실천과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음악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