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서지은-
dc.creator서지은-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34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34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65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65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82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general perception of music teacher identity and self-perception amo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To achieve this, a pre-post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24 with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 total of 30 responses from the post-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dditionally,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incorporating in-depth interview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nalyzing pre-post responses to examine changes in general perceptions of music teacher identity amo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showed that the null hypothesis was accepted, indicating no significant change in identity perception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The highest average(M) in pre-post sub-domain responses shifted from ‘All-round musician’ to ‘Pupil-centered teacher’ a finding consistent with the analysi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Second, analyzing pre-post responses regardi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own perceptions of their music teacher identity revealed a shift towards a more ‘musician’ identity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differing from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which indicated a consistent perception of being closer to a ‘general teacher’ both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ird, analysis of pre-post responses regarding music teacher efficacy amo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he highest average(M) in pre-survey responses was in ‘Problem-solving ability for complex issues’ shifting to ‘Life guidance(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students)’ in the post-survey, consistent with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showing no significant change in music teacher efficacy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Fourth, to examine changes in how others perceive the social identity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pre-post responses indicated a shift from being perceived predominantly as ‘general teacher’ in the pre-survey to being equally perceived as ‘general teacher’ and ‘musician’ in the post-survey. This contrasted with the in-depth interview findings which showed consistent identification as ‘general teacher’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Fifth, examining changes in pre-service music teachers’ thoughts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positive evaluations from other teachers, pre-post responses showed a shift from ‘Communication skills with students’ which was the highest response rate in the pre-survey, to ‘Knowledge of Music theory’ in the post-survey, alongside a notable increase in responses related to ‘Music curriculum instruction competency’. Sixth, regard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positive evaluations in South Korea, pre-post responses showed shifts from ‘Knowledge of Music theory’ being the highest response rate in the pre-survey to ‘Music curriculum instruction competency’ in the post-survey, with notable increases in responses related to ‘Personal education and life guidance competency’. Based on these conclusions,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s and future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urrently,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domestic research on music teacher identity related to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subsequent related research.;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이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및 자신의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기관에서 음악교육 전공으로 재학하며 2024년 4월 교육실습 대상자인 예비중등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조사에서 최종적으로 수집된 30부의 응답 자료를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식 중 심층 면담을 통해 혼합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음악교사들의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교육실습 후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사후 하위 영역별 응답에서의 가장 높은 평균(M)은 ‘다재다능한 음악가’에서 ‘학생 중심 교사’ 영역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심층 면담 분석 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중등음악교사 자신의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악가·교사 정체성의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교육실습 전에는 ‘일반적인 교사’와 ‘음악가’의 모습이 동등한 정도로 나타났지만, 교육실습 후 예비중등음악교사들이 느낀 자신의 모습은 ‘음악가’적인 모습에 더 가깝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실습 전과 후에 동일하게 자신을‘일반적인 교사’의 모습에 더 가깝게 생각한다는 심층 면담 분석 결과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 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사후 설문조사의 하위 영역별 응답 분석 결과로는 사전 조사에서 가장 높은 평균(M)이 ‘복잡한 문제에 대한 문제 해결 능력’영역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조사에서는 ‘생활지도(학생 이해 및 존중)’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실습 후 음악교사 효능감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심층 면담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결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정체성 중 주변 사람들이 인식하는 예비음악교사인 나는 ‘일반적인 교사’와 ‘음악가’ 중 어느 존재에 더 가까운지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사전 조사에서는 ‘일반적인 교사’로 나타났지만, 사후 조사에서는 ‘일반적인 교사’와 ‘음악가’가 동등하게 나타나 변화하였다. 이는 교육실습 전과 후에 ‘일반적인 교사’로 동일하게 나타난 심층 면담 분석 결과와는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정체성 중 다른 교사들이 인식하는 예비음악교사인 나는 ‘일반적인 교사’와 ‘음악가’ 중 어느 존재에 더 가까울 것 같은지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교사’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실습 전과 후에 ‘음악가’로 동일하게 나타난 심층 면담 분석 결과와는 다른 결과이지만, 사후 설문조사에서 ‘일반적인 교사’에 대한 응답률이 감소하고 ‘음악가’에 대한 응답률은 다소 높아진 것과 유사한 결과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예비음악교사인 나에 대한 다른 교사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위해 요구되는 역량에 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사전 조사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로 나타난 ‘학생과의 소통 역량’이 사후 조사에서는 ‘음악이론에 관한 지식’으로 변화하였으며, 사전 조사에서 다음으로 높은 응답률로 나타난 ‘음악이론에 관한 지식’이 사후 조사에서는 ‘음악 교과 지도 역량’으로 변화하였다. 여섯째, 사회적 정체성 중 우리나라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위해 예비음악교사인 나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응답을 분석한 결과, 사전 조사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로 나타난 ‘음악이론에 관한 지식’이 사후 조사에서는 ‘음악 교과 지도 역량’으로 변화하였으며, 사전 조사에서 다음으로 높은 응답률로 나타난 ‘음악 교과 지도 역량’과 ‘학생들과의 소통 역량’이 사후 조사에서는 ‘음악이론에 관한 지식’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인성교육 및 생활지도 역량’에 대한 응답률이 사후 조사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분석 결과에 따른 후속 연구에서의 보완점과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현재 예비중등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한 음악교사 정체성 관련 국내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후속 연구에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제공됨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육실습의 이해 6 B.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이해 8 C. 음악교사 정체성의 이해 9 D. 선행연구 고찰 16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절차 21 C. 연구 도구 23 D.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0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1 A.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사전사후 분석 32 B. 자신의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 사전사후 분석 35 Ⅴ.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7 부록1. 설문지 72 부록2. 심층 면담 질문지 84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63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실습, 예비중등음악교사, 음악교사 정체성-
dc.subject.ddc700-
dc.title교육실습이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Music Teacher Identity Perception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dc.creator.othernameSeo, Jieun-
dc.format.pagev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