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주연-
dc.contributor.author도세영-
dc.creator도세영-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33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3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48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4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8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늘봄학교를 위한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모습과 그에 따른 효과 및 영향과 요인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늘봄학교가 시작됨에 따라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연구자는 이화여자대학교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 운영 사업에 참여하며 생태전환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을 음악 교과와 접목한 프로그램 2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참여 강사들에 의해 실행되었으며, 본 연구를 위해 참여 강사 17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늘봄학교를 위한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실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내용 및 활동 운영의 측면에서 강사들은 학생 중심 탐색 및 탐구 활동을 위한 충분한 시간 제공, 실생활 기반 활동을 위한 적절한 질문과 스토리텔링 활용, 공동체 역량 및 협력적 소통 역량이 중심이 되는 토의, 협동 활동에서 도움 제공을 통해 수업을 실행하였다. 또한, 주강사와 보조강사 협업을 통해 교육과 돌봄의 협력적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다양성과 유동성을 반영한 수업 운영 측면에서 강사들은 다양한 학년 구성, 학생의 유동적 참여를 고려하여 수업 과정에서 상호작용과 수업 내용의 맥락적 이해를 위한 도움을 제공하였다. 또한, 다양한 모습의 늘봄학교 교실에서 강사들은 ‘활동’과 ‘신체 및 예술적 표현’의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공간 운영을 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 실행에 따른 긍정적 효과와 그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참여 동기 및 흥미 유발 측면에서 색다른 활동의 직접적 경험과 수업 도구(악기)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새로움으로 다가가 즐거움을 느끼며 활동에 참여하게 하였다. 표현의 자유로움을 열어준 강사의 역량과 다양한 활동이 통합되어 제공된 프로그램의 특성, 움직임이 자유로운 공간적 특성은 학생들이 자유로움을 느껴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주제 속 요소들을 익숙하게 느꼈으며, 여기에 흥미를 끄는 활동이 더해져 자신감 있는 태도로 참여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실생활에 기반한 질문 및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강사의 역량은 학생들이 주제에 대한 인식 및 의식을 하도록 도왔고, 이것은 실천 의지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인적 성장 및 발달 측면에서 두 프로그램 속 감각 기반 융합 활동 특성은 예술적 표현의 주인의식을 갖고 독창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도와 예술적 주도성 및 창의성 함양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프로그램 주제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언급한 강사의 역량과 선-후배 간 상호협력적 관계는 학습자의 올바른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두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수업 도구는 학생들의 진로 개발 관심사 형성에 요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어려움과 개선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활동 난이도 및 구성 측면에서 학생의 집중도 하락 및 흥미 상실, 활동 시간 분배의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학년 및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활동과 다양한 자극 방법 활용, 같은 주제와 목표를 가진 활동이더라도 활동을 단계적, 점진적으로 심화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방안 마련, 프로그램 활동 구성 보완과 강사용 운영 지침의 활동별 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강사 연수의 실습 기회 부족과 주제에 대한 낮은 전문성 인식으로 인해 생소한 악기와 활동에 대한 도움 제공과 학습 주제 관련 피드백 및 예시 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전문성 강화를 위한 완전 실습형의 체계적 강사 연수 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소통을 통한 실제적 이해 및 조율 부재로 인해 학교 현장과의 협력에 있어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학교 주체와의 소통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늘봄학교에 양질의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발전을 위해 혁신적 아이디어 및 새로운 접근법을 통한 음악 교과 연계 주제 중심 프로그램 공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전문적 연구 및 실행이 유기적으로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는 현장 상황의 면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단계적, 점진적으로 심화하는 차별화된 활동을 통해 난이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아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강사 연수는 적절한 도움 제공을 통한 교육적 의미와 가치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완전 실습형으로의 연수 방식 개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늘봄학교에서 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강사들은 연수를 기반으로 교육적 전문성과 음악적 전문성을 갖추고, 주보조강사 협업의 경우 교육과 돌봄 측면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행정적 측면에서는 학교 현장과의 소통 체계 마련 및 구조적으로 안정된 늘봄학교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lementation of music curriculum-related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for Neulbom Educare School and the resulting effects, influences, and factors.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development. With the launch of Neulbom Educare School, the need for quality education programs emerged, and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project of the Neulbom Educare School program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developed two programs that combin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ith music subjects.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by participating instructors, and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on program implementation was conducted with 17 participating instru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music curriculum-relat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for Neulbom Educare School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activity management, the instructors demonstrated a teaching approach that provided ample time for student-centered exploration and inquiry activities, utilized appropriate questions and storytelling for real-life-based activities, and offered support in discussions and cooperative activities centered on community skills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ies. In addition, collaborative provision of education and care was achiev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main instructors and assistant instructors. Second, in terms of class management that reflects diversity and fluidity, instructors provided assistance for interaction during the class process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 taking into account the composition of various grade levels and students' fluid participation. In addition, in the diverse classrooms of Neulbom Educare School, instructors operated a free space without restrictions on ‘activity’ and ‘physical and artistic expression’. The positive effects and factors of implementing such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otivat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generating interest, the direct experience of unique activities and the use of teaching tools (musical instruments) approached students with something new and allow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with enjoyment. The instructor's ability to open up freedom of exp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at integrated various activitie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ree movement allowed the students to feel fre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addition, students felt familiar with the elements of the program's topic, and the addition of interesting activities influenced their participation with confidence. Lastly, the instructor's ability to use questions and storytelling based on real life helped students become aware and conscious of the topic, which influenced their willingness to take action. Second, in terms of holistic growth and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based convergence activities in the two program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artistic initiative and creativity by helping students develop original and flexible thinking with a sense of ownership of artistic expression. In addition, the instructor's ability to continuously mention the meaning of the program topic and the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and junior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correct attitude of learners. Lastly, the teaching tools used in both programs were a factor in forming students' career development interests. Lastly, the difficulti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executing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difficulty and composition of program activities, students' concentration decreased, loss of interest, and difficulty in distributing activity time appeared. As an improvement measure, differentiated activities and various stimulation methods should be used according to grade and level, and the same Even if the activity has a topic and goal, measures must be prepared for factors that can deepen the activity step by step, supplemented program activity composition, and operating guidelines for instructors must be presented for each activity. Second, due to the lack of practice opportunities during instructor training and low expertise in the topic, it was difficult to provide help with unfamiliar instruments and activities and provide feedback and examples related to learning topics. As an improvement to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letely hands-on systematic instructor training system to strengthen expertise. Third, difficulties emerged in cooperation with schools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ordination through communication. As an improvement to this, field teachers'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 program is nee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chool authoriti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usic curriculum-related theme-centere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hrough innovative ideas and new approaches in order to apply and develop high-quality music curriculum-relat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t Neulbom Educare School.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professional research and implementation to continue organically. However, this should be done based on a close understanding of the on-site situation. Specifically,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gram must be improved through differentiated activities that are gradually deepened in a step-by-step manner. Furthermore, instructor training for program implementation needs to consider improving the training method to a fully hands-on type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by providing appropriate assistance. The instructors who run the two programs at Neulbom Educare School must have educational and musical expertise based on training, and in the case of collaboration between main instructors and assistant instructors, they must maintain a balance between education and care. From an administrative perspective, a communication system with the school site and a structurally stable Neulbom Educare School system must be establis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늘봄학교의 이해 6 1. 늘봄학교의 개념 및 목표 6 2. 기존 초등돌봄 체계와 늘봄학교 8 3. 늘봄학교 시범 운영 사례 및 시행 계획 12 4. 늘봄학교를 둘러싼 논란과 해결을 위한 과제 14 B. 민주시민교육과 갈등 평화 주제 17 1. 민주시민교육의 개념 17 2. 음악 교과에서의 민주시민교육 20 C. 생태전환교육의 이해 23 1. 환경교육에서 생태전환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23 2. 생태전환교육의 개념 23 3. 2022 초등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생태전환교육 내용 분석 24 4. 음악 교과에서의 생태전환교육 25 D. 선행연구 29 Ⅲ. 연구 방법 32 A. 연구 대상 33 B. 연구 설계 및 절차 37 C. 개발된 늘봄학교 음악교육 프로그램 38 1.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40 2. 음악 교과 연계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43 D. 자료 수집 방법 46 1. 심층 면담 46 2. 관찰 일지 51 3. 사례 보고서 52 4. 보조 자료 53 E. 자료 분석방법 54 F. 타당도 검증 : 연구 참여자 확인(member checking) 5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6 A.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실제 58 1. 교수학습 내용 및 활동 운영 59 2. 다양성과 유동성을 반영한 수업 운영 70 B.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긍정적 효과 76 1. 활동 참여 동기 및 흥미 유발 78 2. 전인적 성장 및 발달 88 C.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어려움과 개선 방향성 97 1. 프로그램 활동 측면의 어려움 98 2. 강사 측면의 어려움 103 3. 학교 현장과 협력의 어려움 106 Ⅴ. 결론 및 제언 109 참고문헌 114 부록 1. 자연 지킴이 예술 어벤져스 프로그램 지도안 120 부록 2. 평화 지킴이 예술 어벤져스 프로그램 지도안 142 부록 3. 연구 참여 동의서 및 사전 질문지 166 부록 4. 심층 면담 질문지 168 ABSTRACT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96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늘봄학교, 에듀케어, 음악 교과, 생태전환교육, 민주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dc.subject.ddc700-
dc.title늘봄학교를 위한 음악 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 및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sic Curriculum-relat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Neulbom Educare School-
dc.creator.othernameDo, Seyoung-
dc.format.pagevii, 1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