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김윤진-
dc.creator김윤진-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33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3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50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50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8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5개의 고등학교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 배경, 학교 밖 일상생활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실태, 음악수업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실태, 음악수업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응답한 설문지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수업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실태 분석 결과, 학생들은 연주 영역에서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창작, 감상 영역이 그 뒤를 이었다. ‘친구들과 함께 소통하며 연주’하거나 ‘나만의 방식대로 자유롭게 표현하며 연주’하는 활동에서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이에 반하여 감상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음악 교과의 모든 영역에서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의 효과성을 대체로 높게 인식하였다. 연주 영역에서는 음악에 대한 흥미 및 음악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 감상 영역에서는 음악의 특징과 음악 요소를 더 잘 느끼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이 가능했다는 점, 창작 영역에서는 창의적인 음악 활동이 가능하고 흥미가 높아졌다는 점을 높은 효과성으로 여겼다. 셋째, 본 설문에 응답한 고등학생 중 87.5%의 해당하는 학생들은 음악수업에서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중요하다고 응답한 학생 중 약 과반수가 보다 쉽게 음악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음악 능력과 창의성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넷째,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에 바라는 점으로는 다양한 가상 악기 애플리케이션이나 전자악기 연주해보기, 친구들과 함께 하는 디지털 기반 활동 많이 하기, 음악 감상 수업에서의 더 많은 디지털 도구 활용을 통해 다양한 활동하기, 디지털 기반 창작 수업 많이 하기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모든 영역에서의 다양한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의 경험, 친구들과의 상호 작용을 더욱 희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비교분석 결과, 일상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사용 경험 여부에 따라 연주, 창작 영역에서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의 효과성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일상에서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연주 영역과 창작 영역에서 디지털 기반의 음악수업을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학년 및 음악수업에서의 활용 빈도와는 상관없이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의 영역별 효과성을 대부분 높게 인식했으나, ‘음악창작 능력의 향상’에 대한 효과성에서는 학년과 활용 빈도에 따라 인식 차이를 보였다. ‘매주’ 및 ‘이 주에 1~2회’처럼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학생들이 ‘한 학기에 1~2회’ 사용하는 학생들보다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를 통한 음악수업에서의 음악창작 능력의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더 높게 인식했으며, 1학년이 3학년보다 효과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연구에서 논의된 결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음악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의 지속적인 개발 필요성, 학생들의 선 경험 확인 후 디지털 도구에 대한 이해를 기반한 수업 설계의 필요성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을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되어, 학생들의 다채로운 음악적 경험이 가능한 수업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high school students’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digital-based music classes, focusing on the use of music-related digital tool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200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in Seoul. The survey encompassed questions about students’ general background, the use of music-related digital tools in their daily lives outside of school, the application of digital tools in music classes,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tools in music clas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distribution,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xperienced the use of music-related digital tools in the performance area, followed by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areas. Activities in the performance area such as playing music while communicating with peers or self-expression were most common in the use of music-related digital tools, whereas the appreciation area saw less usage. Second, digital-based music classes were perceived as effective across all areas. In the performance area, students noted increased interest and musical ability; in appreciation, the use of music-related digital tools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and diverse experiences; and in creation, the students showed greater engagement in creative activities and heightened interests. Third, a significant majority (87.5%) of high school stu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digital tools in music classes, regardless of their grade level. Th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the music-related digital tool in facilitating musical activities and enhancing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Fourth, students expressed a desire for more diverse experiences with digital tools across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areas, and indicated a preference for collaborative digital-based activities with peers. Fifth,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students with prior experience using digital tools in daily life perceived greater effectiveness in performance and creation areas compared to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Sixth, the effectiveness of digital-based music classes was generally acknowledged across grade levels and frequency of tool usage. However, variation existed in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in music creation abilities based on grade level and frequency of tool usage. Students who used the music tools once or twice a week reported greater music creation skills enhancement compared to those who used the tools once or twice a semester, with first-year students perceiving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ird-year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music-related digital tools in music classes and the design of classes that consider students’ prior experiences with these tool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based music classes and inform future educational strategies to enrich students’ musical experie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디지털 기반 교육의 이해 5 B. 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의 이해 14 C. 선행연구 고찰 26 Ⅲ. 연구방법 32 A. 연구 대상 32 B. 연구절차 34 C. 연구 도구 35 D.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41 E. 연구의 윤리적 고려 42 Ⅳ. 연구결과 43 A. 일반적 배경 및 일상생활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실태 43 B. 음악수업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실태 50 C. 음악수업에서의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 인식 55 D. 영역별 음악수업 효과성 인식 비교 분석 65 Ⅴ.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3 부록. 설문지 90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1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디지털 기반 교육, 음악수업, 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학생 인식, 고등학생-
dc.subject.ddc700-
dc.title디지털 기반 음악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실태 및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음악 관련 디지털 도구 활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Digital Tools in Music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Yoonjin-
dc.format.pageⅴ,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