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 Download: 0

음악 수업 속 국악 창작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실태 및 인식 조사

Title
음악 수업 속 국악 창작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실태 및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Regarding the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Classes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음악수업, 국악, 국악창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s regarding the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in music classes.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nationwide, with a final sample of 108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producing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survey consisted of items to assess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as well as open-ended questions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advantag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in music classes, it was found that experiencing and appreciating Korean culture and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were perceived as significant benefits. Furthermore, the most emphasized competency for conduc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es was a firm commitment and passion, while support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deemed crucial for the immediate development of relevant programs and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Secondly, in exploring difficulti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it was identified that stud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epts and their limited interes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erceptions. Dissatisfaction with the proportion and difficul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activities in textbooks was prevalent among teachers. Thirdly, the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in music classe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eachers did not conduct such classes. When implemented, the emphasis was placed on students' free expression, with the drum (장구) being the most commonly utilized instrument.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ith textbooks included the lack of diverse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and insufficient expla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ory. Fourthly, reasons for not plan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es included the perception that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cur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cultural enrichment and utilizing Western music for creative activities were sufficient. To enhance fu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es,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inall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eachers' opinions highlight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tudents' interest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es. Additionally, there was a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ograms, conducting teacher training, and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resources among music educators. Despite positive perceptions, some teachers expressed reservation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e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the study and propose various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revitalizing music classes thr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nhanc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es in music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수업 속에서 국악 창작에 대한 현직 중등학교 음악 교사의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소재의 중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8부의 응답을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설문지는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과 개방형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음악 수업에서 국악 창작에 대한 인식 중 장점을 조사한 결과, 국악 창작 수업의 장점은 우리나라 문화를 체험하고 가치를 인식하는 것과 학생들의 국악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에 알맞은 수업이라는 점이었다. 또한, 국악 창작 수업 운영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으로 ‘국악 창작 수업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열정’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기관의 지원으로는 ‘수업에서 즉각 적용할 수 있는 국악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국악 창작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사공동체 등의 교사 간 협동 모색’이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 수업에서 국악 창작에 대한 인식 중 어려움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의 국악 개념의 이해 부족’과 ‘학생들의 흥미도 부족’이 가장 많이 나타나 학생들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서 국악 창작 비중과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교과서에서의 국악 창작 비중과 난이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수업에서 국악 창작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악 창작 수업을 진행하지 않은 교사가 진행한 교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해 동안 3번 이하, 3~5차시의 빈도로 낮은 비율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악 창작 수업을 진행할 때, ‘학생들의 자유로운 표현’에 중점을 두었으며 ‘장구’가 가장 활용이 많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 ‘교과서에 수록된 전체 활동 중 국악 창작에 대한 다양한 활동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교사가 따로 찾아보고 준비해야 한다.’와 ‘국악 이론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학생들이 잘 이해하고 창작 활동을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가 가장 많았다. 국악 창작 수업을 위한 정보수집의 경로로는 ‘인터넷, 유튜브 및 SNS 등을 통한 자료 검색’과 ‘학생의 배경지식 및 학교에서 제공되는 교과서 관련 자료’가 가장 많았다. 넷째, 음악 수업에서 국악 창작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악 창작 수업을 계획하지 않은 이유로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악을 조사하고 알아보는 것이 중요’와 ‘서양음악을 활용한 창작 수업으로도 충분히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 가능’이 가장 많았다. 또한, 향후 국악 창작 수업 운영을 위해 교사가 길러야 할 능력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 개발 기회 확대’와 ‘국악 창작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제고’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음악 수업에서 국악 창작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학생들의 흥미가 국악 창작 수업 시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았으며, 국악 창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개발 및 교원 연수, 그리고 음악 교사 간의 자료를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국악 창작 수업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국악 창작을 활용한 음악 수업의 개선 및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측면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가 음악 수업에서 국악 창작의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국악 창작 수업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