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유리-
dc.contributor.author손수민-
dc.creator손수민-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17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1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291-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29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26-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growing rapidly worldwide. As people age, they tend to experience a decline in their ability to eat and lose their appetite, and dysphagia, masticatory disorders, digestive disorders which can lead to nutritional imbalances. Nutritional intake problems in the elderly are closely related to chronic diseases, mortality,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managing and improving the nutrition of the elderly is a crucial issue. Sufficient protein intake prevents sarcopenia and maintains lean body mass in the elderly. In Korea, protein intake among the elderly is significantly insufficient compared to requirement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elderly-friendly foods in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products that can be easily used by physically frail elderly patients with proven efficacy and safety.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newly developed 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HPTMF) to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frailty and verify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ffects of improving nutrition and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From March 1, 2023, to October 31, 2023, 37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ith physical frailty (Clinical Frailty Scale 4-6) among outpatients receiving treatment at Asan Medical Center in Seoul were provided with two elderly-friendly foods daily for eight weeks (average energy 515.21 ± 106.64 kcal/d, average protein 38.30 ± 8.07 g/d). A 24-hour food diary was analyz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o evaluate the intake of the provided products. To determine the intervention effects,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height, weight, BMI, mid-upper arm circumference, calf circumference), hand grip strength,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Mini Dietary Assessment (MDA), 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5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urveyed and analyzed before participation,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serum total protein, and serum albumin were measured before participation and after four weeks. As a result,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ubjects’ MNA score (p<0.001), MDA score (p=0.034), EQ-5D-5L score (p=0.021), BMI (p=0.018), subjective health status score (p=0.027), hand grip strength (p=0.003), and weight (p=0.009). When dividing the age into two groups, 65-74 years old and 75 years or ol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NA score (p=0.009), calf circumference (p=0.04),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core (p=0.007) of the 65-74 year old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NA score (p=0.018), MDA score (p=0.007), EQ-5D-5L score (p=0.047), and grip strength (p=0.022) of the 75 or older age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mong male subjec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NA score (p=0.047) and hand grip strength (p=0.015) after the intervention,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NA score (p=0.002) and EQ-5D-5L score (p=0.037),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core (p=0.013) of female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MNA criteria, comparing the subjects’ nutritional statu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proportion of subjects classified as ‘malnutrition’ decreased from 13.5% to 2.7%, the proportion classified as ‘at risk of malnutrition’ decreased from 56.8% to 40.5%, and the proportion classified as ‘well-nourished status’ increased from 29.7% to 56.8%.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potential positive effects of consuming senior-friendly 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HPTMF)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mprovement in frail elderly patients at risk of nutritional deficienci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evidence for the nutritional and health promotion effects of senior-friendly foods in the form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in the future.;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노인은 노화로 인해 식품 섭취능력과 식욕이 저하되며, 저작, 연하 및 소화장애로 인해 영양상태 불균형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 노인의 영양 섭취 문제는 만성 질환의 유병률, 사망률 및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고령화 시대의 노인 영양 관리 및 개선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노인의 근육감소증 예방 및 제지방 함량 유지에 매우 중요하나, 우리나라 노인의 단백질 섭취는 요구량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노인 1인가구 증가와, 고령자의 식품구매와 조리 및 식사준비과정의 어려움으로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시장에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의성과 영양을 모두 고려한 가정간편식 형태의 고단백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신체 노쇠 노인 환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효용성과 안전성이 입증된 제품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노쇠 노인 환자에게 새롭게 개발된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HPTMF)을 제공하여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영양개선 및 근력강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23년 3월 1일부터 2023년 10월 31일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외래환자 중 신체 노쇠(Clinical Frailty Scale 4-6)가 있는 65세 이상 성인 37명에게 8주 간 하루 두 가지의 고령친화식품을 제공하였다(평균 에너지 515.21±106.64kcal/d, 평균 단백질 38.30±8.07g/d).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14명(37.8%), 여성이 23명(62.2%)이었다. 제공한 제품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 중재 기간 동안 24시간 식사 일기를 분석하였으며 중재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 4주 후, 8주 후에 신체계측(신장, 몸무게, BMI, 상완위둘레, 종아리둘레), 악력, 간이영양상태평가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간이식생활진단 (Mini Dietary Assessment, MDA), 삶의 질 평가 (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5L),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를 조사∙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전과 4주 후에 골격근량(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혈청 총 단백질(Total protein), 혈청 알부민(Albumin)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대상자의 간이영양상태 점수(MNA score; p<0.001), 간이식생활평가 점수(MDA score; p=0.034), 삶의 질 점수 (EQ-5D-5L; p=0.021), 체질량지수(BMI; p=0.018), 주관적 건강 상태 점수(p=0.027), 악력(p=0.003)과 체중(p=0.009)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연령을 65-74세와 75세 이상 두 그룹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65-74세 대상자의 간이영양상태 점수(MNA score; p=0.009), 종아리둘레(CC; p=0.04),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p=0.007)에서 중재 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75세 이상 대상자의 간이영양상태 점수(MNA score; p=0.018), 간이식생활평가 점수(MDA score; p=0.007), 삶의 질 점수 (EQ-5D-5L; p=0.047), 악력(p=0.022)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남성 대상자의 간이영양상태 점수(MNA score; p=0.047), 악력(p=0.015)이 중재 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 대상자의 간이영양상태 점수(MNA score; p=0.002), 삶의 질 점수 (EQ-5D-5L; p=0.037),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p=0.013)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MNA 기준에 따라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여 중재 전과 8주 후를 비교했을 때 ‘영양불량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13.5%에서 2.7%로 감소하였으며, ‘영양불량 위험’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56.8%에서 40.5%로 감소하였고,‘영양상태 양호’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29.7%에서 56.8%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영양결핍 위험이 있는 신체 노쇠 노인 환자 에서 물성 조절된 고단백 고령친화식품의 섭취가 영양 및 건강 상태 개선에 긍정적 효과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가정간편식(HMR) 형태의 고령친화식품의 영양 및 건강 상태 증진 효과에 대한 근거 자료 제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헌 고찰 1 1. 노쇠의 정의 및 특징 1 2. 노인의 근육감소증과 단백질 섭취 1 3. 연하과정과 연하장애 2 4. 고령자의 영양관리 4 5. 고령친화식품과 물성조절식이 5 6. 가정간편식(HMR) 9 B. 연구의 필요성 10 C. 연구 가설 1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2 A. 연구대상자 12 B. 연구설계 12 C. 영양중재 14 D. 측정도구 18 1. 섭취량 평가 18 2. 신체계측 및 근력 평가 18 3. 영양상태 및 식생활 진단 평가 18 4. 삶의 질 및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EQ-5D-5L) 19 5. 연하곤란 척도 평가(EAT-10) 20 E. 통계분석 21 Ⅲ. 연구결과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B. 대상자의 영양상태 및 식생활 평가 24 C. 대상자의 삶의 질 및 주관적 건강상태 27 D.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 중재 전후 섭취량 분석 결과 29 E.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영양 및 건강상태 변화 31 1. 연령에 따른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영양 및 건강상태 변화 34 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영양 및 건강상태 변화 37 F.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 중재 전후 영양 상태 변화 40 Ⅵ. 고찰 42 Ⅶ. 요약 및 결론 47 참고문헌 48 APPENDIX 58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24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dc.subjecttexture-modified food, clinical frailty, high-protein diet-
dc.subject.ddc600-
dc.title노쇠 노인에서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 간편식의 건강 및 영양상태 개선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effect of subjective and objective nutritional improvement of senior-friendly 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HPTMF) in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frailty-
dc.creator.othernameSon, Soomin-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