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 Download: 0

예비음악교사의 세계시민의식 및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 조사

Title
예비음악교사의 세계시민의식 및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for Music Subject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Authors
구하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의식, 음악교육, 예비음악교사,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music education, pre-service music teacher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s of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for music subject amo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alongside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with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gauge these aspects specifically within the context of music education. The final questionnaire was meticulously crafted to gather information on participants' backgrounds, their involvement in GC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lectures and programs both within and outsi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GCED in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study's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pre-service music teacher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t either the College of Education o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total of 111 pre-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underwent rigorou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overall levels of global citizenship and GCED competencies related to music amo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Among the three sub-domains of global citizenship—namely the social-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domains—the social-emotional domain exhibited the highest level. Similarly, within the GCED competencies for music, understanding and perceived necessity scored higher compared to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as well as educational practices. Moreo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CED competencies in music education.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d implemen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GCED. Such programs would equip pre-service music teachers with knowledge on various global issues, foster an understanding of interconnection and interdependence, and encourage active engagemen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music. Secondly, an analysis of GC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with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revealed that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lacked participation in major-related subjects and teaching-related or general education subjects, and for extracurricular program types, and the highest proportion was found for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 experiences. Additionally, fewer pre-service music teacher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ported participating in these lectures and programs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This can be considered as a difference due to the fact that liberal arts courses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 not exist and somewhat fewer credits could be assigned per semester. Both group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showed limited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individual participation outsi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interest in GCED and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levels of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and GCED competencies for music subject among pre-service music teacher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GC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Notably,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major course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GCED competencies for music subject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This underscores the critical role of music education courses in shaping the consciousness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Furthermore, pre-service music teach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xhibit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casts light on the need of expanding GECD including major subjects at both level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ystematic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variou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related subjects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ill be of great help in fostering the consciousness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GC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or secondary school pre-service music teachers. By providing essential data on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and strategies to enhance GCED competencies for music subject, this study aims to support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developing programs that promote expertis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music. The talented human resource required in modern society is a “global citizen” with wisdom to live with others, communities, nature on a global level, the ability to cope with changes in future society, and a common human identit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dvancement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the realm of music education, thereby fostering a new generation of global citizens capable of navigating and contributing to a global society.;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세계시민의식 수준과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 그리고 교원양성기관 내에서의 세계시민교육 및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세계시민의식 수준과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배경과 교원양성기관 내외에서의 세계시민교육 및 다문화교육 관련 교과 및 프로그램 참여 경험,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안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문항을 함께 구성하여 최종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사범대학교 또는 교육대학원에서 음악교육을 전공한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111명의 예비음악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예비음악교사의 전체적인 세계시민의식 수준과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세계시민의식의 세 가지 하위 영역 중 사회·정서적 영역이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에서는 이해 및 필요성이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교육실천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계시민의식은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음악교사들이 다양한 국제사회 이슈와 상호연계성 및 의존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적극적인 실천을 경험하여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과 교육실천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향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예비음악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교원양성기관 내에서 중등 예비음악교사가 경험한 세계시민교육 및 다문화교육 관련 교과 및 프로그램을 교과목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음악교육 전공과목과 교직 및 교양과목, 비교과 프로그램의 유형마다 참여 경험이 없는 예비음악교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경험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음악교사의 학교 유형에 따른 세계시민교육 및 다문화교육 수강 경험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교육대학원 예비음악교사들의 경험이 사범대학교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좌의 개설 여부에 따른 영향과 함께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내 교양과목이 존재하지 않고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학점이 다소 적게 배정되는 특성으로 인해 나타난 차이로 볼 수 있다. 한편, 사범대학교와 교육대학원 예비음악교사의 비교과 프로그램, 교원양성기관 외의 개별적 참여 경험은 모두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예비음악교사들의 관심을 높이고 개별참여를 독려할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 내 세계시민교육 및 다문화교육 관련 경험 여부에 따라 예비음악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수준과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교과목별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공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가 교직 및 교양과목 수강 경험에서의 차이보다 더욱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공과목 수강 경험이 있는 예비음악교사는 그렇지 않은 예비음악교사보다 세계시민의식과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공 영역인 음악교육 교과목에서 다뤄지는 세계시민교육을 경험할 때 예비음악교사의 의식과 교육역량을 더욱 분명한 차이로 함양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범대학교에 비해 교육대학원 출신 예비음악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교육역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사범대학교뿐 아니라 교육대학원에서 전공 교과를 포함한 세계시민교육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교육, 환경 및 지속가능발전, 국제협력 등 다양한 세계시민교육 관련 교과목의 활성과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의 개선을 통한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은 예비음악교사들의 의식 및 교육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은 세계적인 차원에서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지혜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인류 공동의 정체성을 갖춘 ‘세계시민’이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이 강조됨에따라 중등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세계시민교육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는 예비음악교사의 세계시민의식 및 음악교과 세계시민교육역량의 제고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예비음악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프로그램 구성에 도움이 되길 희망하며 향후 음악교과를 통한 세계시민교육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