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 Download: 0

고등학교 지리 답사 방법의 변화와 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지리 답사 방법의 변화와 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nges in Fieldwork Method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 A Case Study of the Tamna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Geography Camp
Authors
국지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Keywords
지리 답사, 탐구, 교사 역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배운 지리적 이론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고, 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제공하는 지리과 야외 답사 프로그램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탐라지리교육연구회는 2006년부터 2023년까지 총 17회의 지리 캠프를 운영하며 야외 답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연구 방법으로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의 지리 캠프 자료집과 사진 자료를 분석하고, 해당 기간 캠프를 운영한 교사들과 인터뷰를 하였다. 야외 답사에 대한 교사 인식, 설명식 답사, 탐구형 답사를 주제로 인터뷰 질문지를 만들어 사전에 전달하였으며, 현장에서도 질문지를 기반으로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인터뷰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9년을 기점으로 탐지연 지리 캠프는 설명식 답사에서 탐구형 답사로 획기적인 변화를 겪었다. 2019년 이전에도 학생주도 활동을 일부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2021년 지리 캠프는 실내 조사, 야외 답사, 데이터 분석 및 종합 등의 체계를 갖추어 학생들이 답사 활동의 주체가 되는 탐구형 답사가 정착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도 변화하였다. 교사는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 조력자로 변하였다. 기존에 교사들은 답사 장소에 대한 설명을 준비하고 현장에서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나, 탐구형 답사의 도입 이후 교사들은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조직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지리 캠프 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할 때 이를 실현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의 변화와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 속에서 학생 중심 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교사들은 기존의 답사 프로그램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탐구형 답사의 도입을 위해 교사들은 연수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탐구 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원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협력을 통해 야외 답사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교사들은 다양한 어려움을 동료 교사들과 협력하여 극복하며, 탐구기반 야외 답사 매뉴얼 개발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다. 이러한 협력은 교사들이 지리 캠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탐구형 답사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과정 그 효과를 기술함으로써, 탐구형 답사를 운영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를 직접적으로 조사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학생의 입장에서 탐구형 답사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fieldwork programs and the roles of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geography education.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Tamna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 group of geography teachers in Jeju, which has been organizing geography camp since 2006.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ieldwork has transformed in response to shifts in educational paradigms and societal needs. After the 2019 training session on inquiry-based fieldwork, the shift from teacher-centered explanatory fieldwork to student-centered inquiry-based fieldwork was thoroughly examined. This study analyzed geography camp from 2017 to 2023, using data from the association’s online community platform, which included camp guidebook and photos of student activities. This data was used to assess the operation of these camp.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teachers provided deep insights into how changes in the fieldwork programs influenced their roles.The analysis revealed that explanatory fieldwork was prevalent from 2017 to 2019, characterized by a teacher-centered approach where students had passive roles. In contrast, from 2021 to 2023, inquiry-based fieldwork took precedence, emphasizing student participation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hift has been a significant factor in reshaping the teacher's role from being solely a provider of information to becoming more of a supporter and facilitator in the learning process.The study is limited in that it predominantly reflects the viewpoints of teachers, therefore it does not directly assess how the changes in fieldwork affect students' education. Moreover, since it focuses solely on cases in Jeju, there is a constraint in generalizing these findings to other regions. However,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benefit teachers seeking to enhance fieldwork practices. It documents the collaborative endeavors of geography teachers in Jeju who envision that conducting geography fieldwork on Jeju Island will enhance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 region and foster their identity form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