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정상민-
dc.creator정상민-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07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0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00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00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6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using Visual Scene Display (VSD) apps with and without hotspots on the narrative discourse abilit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D children and adolescents often face challenges in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which extends to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narratives. These challenges include a lack of cohesion and necessary components to connect narrative events, often resulting in direct and unclear stories. ASD children tend to focus on specific details rather than the overall context and have difficulties with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abstract or figurative language, which can lead to disorganized and less cohesive narratives. Video modeling is an intervention method that involves showing target behaviors or skills through videos, which are then repeatedly provided to learners for effective learning. This method is cost and time efficient and can be used in various settings. ASD children, in particular, benefit from visual supports for learning, a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y can quickly acquire target skills through video modeling. VSD is a typ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display that presents messages related to familiar pictures or videos, allowing users to select specific parts that can display words or sentences with voice output. In this study, video VSD was used for narrative discourse intervention, with two conditions: with hotspots and without hotspots. To create VSD with hotspots, each scene of the story was filmed, voice recordings were made, and the video was edited for intervention use. Using the easyVSD app, hotspots were set up and marked with circles for the participants to touch, triggering voice and text playback. The same videos were used for the no-hotspot condition. Three children with ASD, aged 10 to 13,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was conducted in their homes using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T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conditions.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phase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Four stories were used, and balanced order was applied to eliminate sequence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with hotspots generally led to higher thematic cohesion in narrative discourse for all participants. Participant A showed an effect size of 0.65 with hotspots and 0.60 without. Participant B had a medium effect size of 0.55 with hotspots and a small effect size of 0.16 without. Participant C showed a medium effect size of 0.67 with hotspots and a small effect size of 0.43 without.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Participant A maintained a large effect size of 1.00 in both conditions, while Participant B's maintenance effect size was higher with hotspots (0.50 vs. 0.25). Participant C maintained the same effect size of 0.50 in both conditions.For story grammar, Participants A and C performed better with hotspots, while Participant B performed better without. In the maintenance phase, all participants showed varied results. For narrative comprehension, Participants A and C again performed better with hotspots, while Participant B performed better without. The maintenance phase showed inconsistent results across participant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several points. First, the hotspot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matic cohesion for all participants, indicating the positive impact of visual supports for ASD children. Second, story grammar results varied, suggesting that visual stimuli might be distracting for some ASD children. Third, narrative comprehension results were inconsistent, indicating the varied impact of visual stimuli. Fourth, the maintenance phase showed varied effect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Lastly, the study's limitations include the small sample size of three participants and their varying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ies, as well as potential influences of interest in story topics and procedural repeti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diverse story topics and adjust intervention sess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use the easyVSD app in Korea for intervention research. Since this study examined the narrative discourse abilities of children with ASD,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expands to various other topics.;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 및 청소년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이야기 담화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들은 이야기를 이해하고 산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이야기 사건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와 응집성 부족으로 나타나게 된다. ASD 아동은 종종 직접적이고 명료하지 않은 이야기를 산출하며, 세부사항에 집착하여 전체적인 맥락보다는 특정 내용에 주로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들은 상상력이 부족하고 비유나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이로 인해 이야기의 응집성이 떨어지고 조직화되지 않을 수 있다. ASD 아동의 이러한 이야기 산출 특성으로 인해 AS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 담화 능력 연구는 항상 강조되어 왔다. 비디오 모델링은 목표행동이나 기술을 영상을 통해 보여주고, 이를 반복적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학습시키는 중재 방법이다. 비디오 모델링 중재는 비용과 시간 면에서 효율적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D 아동은 시각적 지원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데 더 유리하며, 선행연구에 따르면 비디오 모델링을 통해 목표 기술을 빠르게 배울 수 있었다(Charlop-Christy, Le, & Freeman, 2000; Williams et al., 2002). VSD(Visual Scene Display)는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디스플레이 유형 중 하나로, 사용자에게 친숙한 사진이나 동영상과 관련된 메시지를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지 및 언어적 어려움을 겪는 개인들의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으며, 핫스팟(hotspot)을 삽입합으로써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단어나 문장,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VSD를 활용한 중재는 의사소통 능력이나 목표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다양한 연령대와 장애군을 대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VSD를 이야기 담화 중재에 활용하여, 핫스팟이 있는 조건, 그리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으로 중재를 진행하였다.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VSD를 제작하기 위하여 이야기에 해당하는 각 장면을 촬영하고 음성을 녹음한 후 중재에 사용하기에 알맞게 편집하였다. 이후 easyVSD 앱을 활용하여 핫스팟을 설정하고, 동그라미 모양으로 핫스팟을 표시하여 대상자가 직접 터치하면서 음성과 텍스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VSD는 위와 같은 조건이나, 핫스팟이 없는 상태에서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VSD 앱을 활용한 비디오 모델링 중재에서의 핫스팟 유무에 따른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능력 향상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 10세~만 13세 사이의 ASD 아동 3명이며, 가정 내 독립적인 공간에서 두 가지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교대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 이하 ATD)로, 각 대상자에게 핫스팟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을 교대로 적용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는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순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균형배치를 적용하였으며, 네 개의 이야기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 중 주제응집도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 A, B, C 모두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주제응집도가 더 높았다. 대상자 A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효과 크기는 모두 중간 효과 크기로 동일하였지만,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 효과 크기가 0.65로 나타났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는 0.60의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0.55로 중간 효과 크기였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16으로 약한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대상자 C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0.67로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으며,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43으로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대상자 A의 유지 단계에서는 핫스팟 유무에 상관없이 유지 효과 크기가 모두 매우 큰 효과 크기에 해당하는 수치인 1.00으로 동일했다. 대상자 B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에서의 유지 효과 크기는 약한 효과 크기에 해당하였는데, 각각 0.50과 0.25로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더 높았다. 대상자 C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에서 모두 유지 효과 크기가 0.50으로 동일하여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일반적으로 더 좋았으며, 유지 단계에서는 두 조건 모두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보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 중 이야기문법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 A, C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이야기문법 수행도가 더 높았고,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 이야기문법 수행도가 더 높았다. 대상자 A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의 중재 효과가 매우 큰 효과 크기인 0.90으로 나타났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70의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나,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중재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0.23으로 약한 효과 크기였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35으로 마찬가지로 약한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대상자 C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0.55로 중간 효과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22로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대상자 A의 유지 단계에서는 핫스팟 유무에 관계없이 유지 효과 크기가 모두 매우 큰 효과 크기에 해당하는 1.00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에서의 유지 효과 크기는 동일하게 0.25로 두 조건 모두 약한 효과 크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C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유지 효과 0.50으로 약한 효과 크기,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유지 효과 0.75로 매우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나,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유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중재 및 유지 단계에서 중재 효과 및 유지 측면에서 핫스팟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 간의 효과가 일관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이해 능력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 A, C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이해 평가 수행도가 더 높았고,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 이해 평가 수행도가 더 높았다. 대상자 A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 효과 크기가 매우 큰 효과 크기인 0.75로 나타났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15로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나,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중재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0.08로 약한 효과 크기였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42로 두 조건 모두 약한 효과 크기에 해당되었으나,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 효과 크기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대상자 C의 경우,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중재의 효과가 0.22로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났으며,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는 -0.05로 나타나 기초선 단계보다도 중재 단계에서 수행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A의 유지 단계에서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유지 효과 0.75로 매우 큰 효과 크기에 해당하였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유지 효과 0.25로 나타나 약한 효과 크기에 해당하여,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유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유지 효과 0.25로 약한 효과 크기,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유지 효과 0.75로 나타나 매우 큰 효과 크기에 해당되어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유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C 또한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 유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지 효과는 각각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유지 효과 0.25로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났고,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유지 효과 0.50으로 동일하게 약한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중재 및 유지 단계에서 중재 효과 및 유지 측면에서 핫스팟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 간의 효과가 일관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 중 주제응집도에서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중재가 모든 대상자에게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시각적 학습자인 ASD 아동에게 VSD 앱을 통한 시각적 지원이 이야기 요소들을 구성하여 표현하는 것에 있어 긍정적 자극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이야기문법에서는 대상자 A와 C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으나,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다. 이는 주제응집도의 결과와는 반대로 시각적 자극이 방해 요소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야기 담화 이해 능력 평가에서 대상자 A와 C는 핫스팟이 있는 조건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으나, 대상자 B는 핫스팟이 없는 조건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다. 이는 시각적 자극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중재 효과 유지 측면에서도 대상자마다 효과가 달랐으며, 핫스팟 유무에 따른 중재 효과가 일관적이지 않았다. 다섯째, 대상자 수가 3명으로 많지 않았던 점과 대상자별 언어 및 인지 능력 차이가 있었던 점은 연구의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이야기 주제에 대한 흥미도와 핫스팟 유무 조건에 대한 흥미도, 반복적 절차의 지루함이 수행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또한 추측해 볼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이야기 주제와 중재 회기를 조정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 easyVSD 앱을 활용한 최초의 중재 연구라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이야기 담화 능력을 살펴보았기에, 추후 다양한 연구로 확장되기를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1. 비디오 모델링 중재 5 2. 비디오 VSD와 핫스팟 6 3. 이야기 담화 능력 7 Ⅱ. 이론적 배경 9 A. 이야기 담화 능력 9 B.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특성 10 C. 비디오 모델링 중재 11 D. VSD 중재 12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대상 15 B. 연구 기간 및 장소 17 C. 연구 과제 17 1. 이야기 17 2. VSD 18 가. 핫스팟이 있는 조건의 VSD 18 나. 핫스팟이 없는 조건의 VSD 19 3. 이야기 담화 평가 20 가. 이야기 담화 표현 평가 20 나. 이야기 담화 이해 평가 21 D. 연구 설계 21 E. 연구 절차 22 1. 대상자 선정을 위한 기초 검사 22 2. 기초선 단계 22 3. 중재 단계 23 가. 핫스팟이 있는 조건 24 나. 핫스팟이 없는 조건 25 4. 유지 단계 25 F. 자료의 측정 및 분석 25 1. 자료의 측정 25 가. 이야기 담화 표현 평가 25 나. 이야기 담화 이해 평가 26 2. 자료의 효과 크기 분석 27 G. 내용타당도 28 1. 이야기 28 2. 핫스팟, 동영상, 이야기 이해 문항 29 H. 관찰자 간 신뢰도 30 I. 중재 충실도 31 Ⅴ. 연구 결과 32 A.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32 1.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 주제응집도 32 가. 대상자 A 32 나. 대상자 B 34 다. 대상자 C 35 2.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 이야기문법 39 가. 대상자 A 39 나. 대상자 B 40 다. 대상자 C 42 B.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46 1. 대상자 A 46 2. 대상자 B 47 3. 대상자 C 49 Ⅵ. 결론 및 논의 53 A. 결론 및 논의 53 1.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56 가. 주제응집도 56 나. 이야기문법 58 2. 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60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4 참고문헌 65 부록 88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20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비디오모델링, VSD, 비디오VSD, 이야기담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령기-
dc.subject.ddc000-
dc.title핫스팟 유무에 따른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담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with or without hotspots on narrative skills in children with ASD-
dc.creator.othernameJung, Sangmin-
dc.format.pagex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