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 Download: 0

학령기 고기능 자폐(HFA) 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간접 평가를 통한 의사소통 프로파일 특성 및 직접 화용 평가와의 상관도 분석

Title
학령기 고기능 자폐(HFA) 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간접 평가를 통한 의사소통 프로파일 특성 및 직접 화용 평가와의 상관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profile characteristics of HFA and ADHD children through elementary school-aged indirect assessment and 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Authors
유재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의사소통 프로파일, 간접 평가, 직접 평가, 화용, 고기능 자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또래 관계에서 겪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아동의 학교생활에서 거절 및 괴롭힘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학령기 학업적 성취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Loe & Feldman, 2007). 화용은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측면으로 오랜 시간동안 여겨져왔다(Tager-Flusberg, 1981; Volkmar et al., 1987). 화용 언어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은 상황에 따라 언어나 비언어적인 요소들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거나 학습한 기술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화용 언어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교수하고 중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 어려움을 겪으며, 반복적인 행동이나 특정한 관심사를 가지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에 전반적으로 제한을 보이는 장애이다. ASD 아동은 언어적 측면에서 가장 심각한 결함을 나타내며, 이러한 언어적 결함은 다른 언어능력과는 달리 일생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ASD 아동의 언어적 어려움은 주로 '대화 개시', ‘상대방의 주도에 반응하기', '적절한 대화 주고받기' 등에서 나타난다(Baron-Cohen, 1988; Botting & Conti-Ramsden, 2003; Prizant & Rydell, 1984; Tager-Flusberg, 1996). 특히, ASD 아동은 주제를 유지하고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여 대화를 발전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Volden, 2002). ASD 아동의 메타-화용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에 따르면, 비문자적 언어를 모호하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Kerbel & Grunwell, 1998), 이해를 확인하거나 명료화를 요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Leinonen & Letts, 1997), 상황에 적절하지 않은 목소리의 크기나 톤과 같은 의사소통 특징을 보인다(Bishop, Chan, Adams, 2000). 고기능 자폐(High Functioning Autism; HFA)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 중에서 비교적 높은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어 학습 능력이 우수한 편이다. 해당 집단의 아동들은 정상적인 언어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모호한 대화 상황에 어려움을 겪고 또래 아동들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이 어렵다(Kjelgaard & Tagerflusberg, 200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은 사회적 기술을 배우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사회적 언어 사용과 같은 어려움이 자주 나타난다(김영태, 2020). 대화 중에 순서를 지키는 것,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것, 주제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것들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내용이 논리적이지 않고 응집력도 취약하여, 언어능력의 결함이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Barkley, 1997; Engelhardt et al., 2011; Safwat er al., 2013). ADHD 아동들은 언어구조 및 화용상의 어려움을 주의력 결핍 및 충동성 문제와 함께 겪으며 이는 낮은 학업적 수행으로도 이어진다(Loe & Feldman, 2007). Hoffmann et al. (2013)은 아동들의 화용언어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개입하기 위해, 간접평가와 직접평가가 상호보완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ADHD 아동의 화용 능력 평가는 간접적인 평가 방식인 부모 설문이나 대화상황에서의 화용적 규칙(예, 대화 주고받기, 주제 개시 및 주제 유지, 명료화 요구 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상황 맥락 이해능력을 살펴본 연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DHD 아동의 화용 언어능력의 구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인 형태의 평가 외에도 사회적 상황에 대한 아동의 반응 양상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형태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임동선 & 정하은, 2024).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접평가방식과 직접평가방식 과제를 통해 학령기 일반아동, 고기능 자폐 아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5학년에 재학 중이며 선별검사 기준(수용어휘 –1SD 이상, 비언어성 지능 85점 이상)을 충족하는 일반아동 집단,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일반아동 13명, 고기능 자폐 아동 11명,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10명, 총 34명을 대상으로 직접 화용 평가과제인 한국 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 이야기 담화 정보 인식능력, 상위언어 인식능력 과제의 정반응률을 계산하고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께 간접의사소통과제인 아동용 의사소통 체크리스트(CCC-2)를 요청하여 사회. 화용적 척도 점수 및 지표점수, 구조적 척도 점수 및 지표 점수를 원점수의 백분율 점수를 계산하였다. 각 집단 간 간접 의사소통 평가과제의 척도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집단별로 직접 화용 평가과제와 간접 의사소통 평가과제의 점수 간 상관이 있는지 살펴 집단별 화용언어능력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프로파일(사회-화용 지표, 전반적 구조지표)에 따른 집단(일반, 고기능 자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지표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 차이는 일반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표 점수의 차이는 사회-화용지표와 전반적 구조 지표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집단(일반아동, 고기능 자폐 아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별 과제의 평가방식(직접, 간접)에 따른 사회-화용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간접 의사소통 평가과제의 부적절한 시작, 비구어적 의사소통 영역을 비롯한 화용적 언어능력에 결함이 나타난 아동이 이야기 담화 인식능력의 수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에서는 간접 평가방식과 직접평가방식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맥락사용, 비구어적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는 아동이 의사소통 조율인식능력의 수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접 의사소통 평가를 통해 TD, HFA, ADHD 세 집단 간의 구조적 언어 능력 및 사회-화용능력을 포함한 의사소통 능력의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각 집단의 화용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간접 의사소통 평가 과제를 통해 ADHD 아동이 TD 아동보다 의사소통 능력에 결함이 더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ADHD 아동의 사회-화용능력 및 구조적 언어능력을 포함한 의사소통 특성에 대한 주의를 촉구한다. 또한 간접 평가 과제의 지표 점수를 살펴본 결과, 사회-화용능력이 구조적 언어능력보다 더 큰 결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령기 아동의 사회-화용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직접 화용 평가과제와 간접의사소통 평가 과제 사이의 상관성을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집단별로 직접 화용 평가 과제와 간접 의사소통 평가 과제 간의 상관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오직 한 가지 방법만을 사용하는 것이 의사소통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시사한다. 따라서 각각의 특성을 평가하고 중재에 반영하기 위해 직접 및 간접 평가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한다.;The language proficiency influencing soci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is crucial, especially for children exhibiting attention deficits,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who often show lower academic performance. Therefore, accurately assessing language proficiency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essentia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and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rough indirect and direct assessment tasks. Specifically, we conducted assessments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and children with ADHD who were in grades 1 through 5 and met the selection criteria (vocabulary -1 standard deviation or above, non-verbal intelligence score of 85 or above). A total of 34 children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Child Meta-Pragmatic Language Test (KOPLAC) as a 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 and the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2 (CCC-2) as an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 The KOPLAC assessed communication regulation perception abilities, narrative discourse, and receptive language skills, while the CCC-2 provided scores for social-pragmatic index, general structural index, and percentile scores for raw scores.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ale scores of indirect assessment tasks between groups and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tasks within each group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cator scor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profiles (social-pragmatic index, general structural index) among groups (TD, HFA, ADHD), a two-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ADHD. Differences in indicator scores were also found between social-pragmatic index and general structural index. Secondly,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bilities assessed by task type (direct assessment, indirect assessment) among groups (TD, HFA, ADH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children who exhibited deficits i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ncluding inappropriate initiation of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rea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narrative discourse recognition abilities. In the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children with deficits in reciprocal language in indirect assessment task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regulation perception abilities in 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s. In the ADHD group, children who demonstrated deficits in contextual us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howed lower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regulation perception abilities.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bilities, including structural language skills and socio-pragmatic abilities, among three groups (TD, HFA, ADHD) through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Additionally, it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o-pragmatic subdomains of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subdomains of direct pragmatic assessment, present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pecifically, it was found through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s that children with ADHD demonstrated greater deficits in communication abilities compared to TD children, highlighting attention to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socio-pragmatic abilities and structural language skills, in children with ADHD. Furthermore, upon examining indicator scores of indirect assessment tasks, it was revealed that socio-pragmatic language abilities exhibited greater deficits compared to structural language abilities,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consider socio-pragmatic characteristics of school-aged children. Additionally,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direct pragmatic assessment tasks and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irect pragmatic assessment tasks and indirect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s varied across groups, suggesting the difficulty in accurately understanding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with a singular approach. Therefore, it underscores the need to employ both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methods concurrently to evaluate and reflect upon each characteristic for intervention purpo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