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9 Download: 0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uthors
윤지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Keywords
대학생, 심리적독립, 진로정체감, 계획된우연기술, 조절효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현 시대의 대학생은 불확실성과 변화 속에서도 자신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에 관한 명확하고 안정된 상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특히 대학생 시기에는 새로운 정체감의 형성과 획득을 위해서 부모와의 의존적 관계를 벗어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및 교육 분위기로 인해 심리적 독립이 지연되고 진로정체감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대학생들이 진로정체감을 형성할 때, 여러 가지 대안 목표 설정 및 현실적 상황과의 조화가 필요한데 그에 도움을 주는 요소 중 하나가 계획된 우연 기술이다. 계획된 우연 기술은 우연을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을 종합한 개념이다. 심리적 독립은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많이 검증되었지만, 두 변인 사이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 내적 변인이 두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계획된 우연 기술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 변인들은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위 변인에 따라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을 제외하여 총 280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및 심리적 독립 척도, 진로정체감 척도, 계획된 우연 기술 척도로 구성되었다. 설문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9.0.0.0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료의 신뢰도, 다중공선성 및 기술통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계획된 우연 기술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변인 간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심리적 독립과 계획된 우연 기술 및 하위변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조절 모형 Model 1을 적용하여 부트스트랩 검증(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 변인인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심리적 독립은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대학생이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을 이루어낼수록 진로정체감을 성공적으로 확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계획된 우연 기술이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변인인 호기심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대학생이 진로정체감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서 계획된 우연 기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호기심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변인인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인내심, 위험 감수는 심리적 독립의 수준과 관계없이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은 심리적 독립의 수준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심리적 독립의 정도가 낮더라도 태도나 환경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고 예상치 못한 새로운 기회에 대해 긍정성을 가지는 기술이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호기심은 진로정체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 사이의 관계는 강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는 새로운 것에 열린 태도를 가지고 탐색하는 기술을 높이는 것이 진로정체감 형성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 독립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독립과 계획된 우연 기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심리적 독립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변인인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이 진로정체감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는 데 있어서 심리적 독립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고, 심리적 독립을 이루는 데 어려움을 겪더라도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의 계획된 우연 기술을 통해 진로정체감 향상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진로정체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College students should establish a clear and stable image of their career based on an accurate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midst uncertainty and change. In particular, during the college years,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get out of the depend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order to form and acquire a new sense of identity. However, due to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educational atmosphere, Korean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forming a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delaying psychological separation. In this reality, when college students form a sense of career identity, it is necessary to set various alternative goals and harmonize with realistic situations, and one of the factors that can help them i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s a concept that combines various technologies that can turn coincidences into opportunities. Psychological separation has been most verifi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but there are also studies that do not show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personal variables could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sele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ddition, since th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independence, it was assumed that th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variables. For this study, 319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280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respon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respondents' general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scale, career identity scale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cale. SPSS 29.0.0.0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data, multicollinear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xamined.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variabl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career identi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r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sub-variables on career identity.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bootstrapping was performed by applying Model 1, which is a moderating model of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 (2013). Fifth,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uriosity, persistence, flexibility, optimism, and risk taking,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a condition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This shows that the more Korean college students achieve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the more successful they can establish their career identity. Seco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but curiosity, a sub-variable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is is interpre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identity by domestic College students, but a negative effect on curiosi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was not significant, bu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in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s means that persistence and risk tak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dentity regardless of the level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interact with the level of psychological separation to affect career identity. This means that even if the degre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is low, skills that adaptively change attitudes or environments and have positivity toward unexpected new opportunities can improve career identity. On the other hand, curiosity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was strengthened. In other words, it is interpreted that enhancing the skill to explore with an open attitude to new things negatively affects the formation of career identity, but strengthen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n career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n career identity was confirmed and in the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to achieve psychological separation in developing their career identity effectively and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achieving psychological separation, they can effectively help improve their career identity throug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In follow-up studie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identity will be examined in depth and various and specific measures to further enhance career identity will be provi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