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 Download: 0

표시광고법상 기만적인 표시광고에 관한 연구

Title
표시광고법상 기만적인 표시광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ceptive Display Advertisements under the Display Advertisement Act - Focusing on viral marketing -
Authors
조주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부당한표시광고, 기만적인표시광고, 바이럴마케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훈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Social Media Network, 이하 ‘SNS’)상 광고 양상 중 광고주에게 경제적 대가를 받은 광고임에도 불구하고 광고 표시를 하지 않는 인플루언서의 기만적인 표시광고 행위에 대한 대응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부당한 표시광고중 한 유형인 기만적인 표시광고는 구매여부에 있어 중요한 사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은폐’,‘누락’또는‘축소’하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에서 소비자들의 후기 형태로 홍보하는 방식을 소위 입소문 효과, 바이럴마케팅이라고 하는데, 문제는 이 바이럴마케팅이 전통적인 매체를 통한 기존의 광고 형식과 달리 소비자들의 후기 형태처럼 보이는 양상을 띄어 광고, 협찬 등의 문구가 표시되지 않으면 광고라고 인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만적인 표시 광고 형태가 만연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규제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현재까지 인플루언서의 계정을 통해 기만적인 표시광고 행위에 대하여 사업자에게 책임을 물은 사례가 대부분이나 아직까지 인터넷상 기만적인 표시광고 행위를 근절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플루언서나 인플루언서와 광고주를 매개하는 대행업체에 대한 규제는 논의되지 않은 점, 인플루언서에 대한 정의 또한 명확하지 않아 제재의 대상으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 마지막으로 인플루언서가 영향력이 많은 사람으로만 간주하고 이에 대한 제재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인에 가까운 수준의 인플루언서들의 후기를 가장한 기만적인 표시광고 행위도 만연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제재 방안 또안 논의가 필요하다. 한국과 해외의 SNS상 기만적 광고 행위 규제 전반에 대한 논의와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한국법의 법적 한계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인플루언서에 대한 법적제재를 가능하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구매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정보를 은닉하는 등의 기만적인 광고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SNS상 인플루언서의 광고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responding to the deceptive display advertising behavior of influencers who do not display advertisements even though they are advertisements that have received economic consideration from advertisers among advertising patterns on SNS. Deceptive display advertisements, which are generally one type of unfair display advertisements, refer to 'cover up', 'missing', or 'reducing' all or part of important facts in purchasing. The method of promoting consumers' reviews on the Internet is called word-of-mouth effect, viral marketing, and the problem is that unlike traditional advertising forms through traditional media,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it as an advertisement unless phrases such as advertisements and sponsors are displayed, so deceptive advertising forms are prevalent, but regulation is not easy in reality. Until now, most cases have held operators accountable for deceptive display advertising activities through influencers' accounts, but there is still a limit to eradicating deceptive display advertising activities on the Internet. Regulations on influencers or agencies that mediate influencers and advertisers have not been discussed, the definition of influencers is not clear, and finally, influencers are regarded as influential people and only sanctions are being made, but deceptive labeling and advertising activities disguised as reviews by influencers close to the general public are also prevalent,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sanctions. Through discussions and comparative legal reviews on overall deceptive advertising regulations on SNS in Korea and abroad, we would like to suggest legal sanctions against influencers by suggesting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limitations of Korean law. As perceptions of deceptive advertisements such as concealing information that directly affects consumers' purchase status are emerg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dvertisements in influencers on SNS and seek solutions to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