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 Download: 0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Title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Authors
이연성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포괄적 성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초등학교 보건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포괄적 성교육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해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를 활용하여 국제 성교육 가 이드(United Nations Education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18)의 포괄적 성교육의 8가지 핵심 개념과 핵심 개념별 27가지 주제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포괄적 성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확 인하고 향후 교사 대상 성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보건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최근 교육경력 3년 이상인 보건교사 156명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생 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포괄적 성 교육의 중요도와 수행도 측정용 도구는 UNESCO(2018)에서 개발한 국제 성교육 가이드의 8가지 핵심 개념과 핵심 개념별 주제를 27개를 활용하여 만든 이혜원과 박미정(2020)의 포괄적 성교육 도구를 초등학생 연령수준의 학습목표에 맞추어 연 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대응표 본 t검정, Scheffé post hoc, IPA matrix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모두 여성이었고, 연령은 50세 이상이 37.2%로 가장 많았고 결혼 유무는 기혼이 78.8%로 많았다. 자녀 유무는 자녀가 있 는 경우가 68.6%로 자녀가 없는 경우보다 많았으며, 종교 유무는 종교 있음이 57.7%로 종교가 없음보다 많았다. 성교육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교육자료는 동영상(65.4%)과 교과서(62.8%)였으며, 수업 방법으로는 설명식 강의식 수업(56.37%)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성교육 시간에 사용하는 교육자료는 인터넷을 통해서 얻는 경우가 30.1%로 가장 많았으며, 최근 3년간 성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 66.7%였다. 2. 초등학교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포괄적 성교육의 중요도 평균은 5점 만점에 4.22±0.57, 수행도 평균은 5점 만점에 3.65±0.62이었으며, 중요도와 수행도는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8개의 핵심 개념 중 ‘인간의 신체와 발달’, ‘폭력과 안전’,‘건강과 복지를 위한 기술’이 높았고, ‘성과 재생산 건강’이 가장 낮았다. 핵심 개념별 27개의 주제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은 「인간의 신체와 발달」 의‘사춘기’, 「폭력과 안전」의‘동의, 사적영역, 몸에 대한 권리’ ,「가치, 권 리, 문화, 성」의‘가치와 성’ 순이었고, 가장 낮은 것은「젠더이해」의 ‘사회적 으로 구성된 젠더와 젠더규범’과「성과 재생산 건강」의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와 지원’과‘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 위험감소에 대한 이해 와 인식’ 순이었다. 핵심 개념별 27개의 주제 중 수행도가 가장 높은 것은 「인간의 신체와 발달」 ‘사춘기’,「폭력과 안전」의‘동의, 사적영역, 몸에 대한 권리’,「인간의 신체 와 발달」의‘성, 생식기, 생리’와 ‘임신’ 순이었고, 가장 낮은 것은 「성과 재 생산 건강」의‘임신, 임신 예방’,‘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와 지 원’,‘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 위험감소에 대한 이해와 인식’ 순이었다. 3.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포괄적 성교육의 중요도의 차이에서 는 종교 유무(t=2.652, p=.009), 최근 3년간 성교육 관련 연수 경험(t=2.250, p=.026)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포괄적 성교육의 수행도의 차이에서는 연령(F=3.835, p=.011), 결혼 유무(t=-3.273, p=.002), 자녀 유무(t=3.751, p<.001), 종교 유무(t=2.793, p=.006), 최근 3년간 성교육 연수 경험(t=2.571,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연령에 따 른 포괄적 성교육의 수행도 차이에서 Scheffé 사후검정 결과 연령대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포괄적 성교육의 8개의 핵심 개념의 중요도와 수행도 IPA matrix 분석 결과, 제 1사분면은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아 현재 상태를 강화 유지해야 하는 영역으로, ‘가치·권리·문화·성’, ‘폭력과 안전’, ‘건강과 복지를 위한 기술’, ‘인 간의 신체와 발달’이라는 4개의 핵심 개념이 포함되었다. 제 2사분면은 중점 개 선과 우선 시정영역으로 ‘관계’가 포함되었으며, 제 3사분면은 중요도와 수행도 가 모두 낮은 점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젠더이해’, ‘섹슈얼리티와 성적 행동’, ‘성과 재생산 건강’이 포함되었다. 제 4사분면은 중요도가 낮고 수행도가 높아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영역으로 이 영역에 포함된 핵심 개념 은 없었다. 포괄적 성교육의 핵심 개념별 주제를 IPA matrix에 위치시켰을 때, 27 개의 주제 중 제 1사분면에는 16개, 제 2사분면은 2개, 제 3사분면은 9개가 분포 되었으며 제 4사분면에 분포된 주제는 없었다. 제 1사분면은 ‘친구·사랑·연인 관계’, ‘관용·포용·존중’, ‘가치와 성’, ‘인권과 성’, ‘폭력’, ‘동의· 사적영역·몸에 대한 권리’, ‘정보통신 기술의 안전한 사용’, ‘성적 행동에 대한 규범과 또래 영향력’, ‘의사결정’, ‘대화·거절·협상 기술’, ‘미디어 정보해독력과 성’, ‘도움과 지원 찾기’, ‘성·생식기·생리·임신’, ‘사춘 기’, ‘신체 이미지’가 포함되었다. 제 2사분면은 ‘가족’, ‘결혼과 육아’가 포함되었다. 제 3사분면은 ‘성·섹슈얼리티·생애주기별 성생활’, ‘성적 행동 및 반응’, ‘임신·임신 예방’,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낙인, 돌봄, 치료 지원’, ‘성매개감염병을 포함한 성병 위험감소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포함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포괄적 성교육 의 핵심 개념과 핵심 개념별 주제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IPA matrix를 통해 포괄적 성교육의 핵심 개념 8가지 중 4가지 개념과 핵심 개념별 주제 27가지 중 16개의 주제를 초등학교 보건교사들은 중 요하게 인식하고 실제 수업에서 높은 수행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3개 의 핵심 개념과 핵심 개념별 9개의 주제가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게 인식하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 성교육 관련 연수의 이수 여부가 포괄적 성교육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 교 보건교사들의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대상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며 보건교사들이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urvey analysi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utili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to examine the eight key concepts and 27 topics under each concept outlined in the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UNESCO, 2018).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156 health teachers conducting sexu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The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across all eight key concepts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mong the 27 topics under these key concepts, the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for all topics except “puberty.”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religion and recent sexuality-related training experience. The IPA matrix showed that among 8 key concepts, 4 were in the first quadrant, 1 in the second, and 3 in the third. Among the 27 topics, 16 were in the first quadrant, 2 in the second, and 9 in the thi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leting sexuality-related training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Therefore, to enhanc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nd to devise ways for health teachers to effectively utilize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