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 Download: 0

서울·경기지역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음식관련 미디어 이용과 식행동에 대한 연구

Title
서울·경기지역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음식관련 미디어 이용과 식행동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food-related media use and healthy eating in different food-related lifestyle groups of adolescents in metropolitan areas
Authors
이수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Keywords
Food-related lifestyle, Food-related media use, Mukbang, Cookbang, Healthy eat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od Litera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지은| 박윤정
Abstract
최근 유튜브, 인스타그램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1인 미디어가 급성장하고 있으며, 1인 미디어 콘텐츠 중 먹방(먹는 방송, Mukbang), 쿡방(요리하는 방송, Cookbang)은 청소년들에게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먹방, 쿡방과 같은 음식 콘텐츠는 조리법을 제공하고 식재료에 관심을 높이는 등 정보제공을 위한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최근 연구에서는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건강하지 않은 식품 섭취와 부적절한 식행동 장면 노출로 폭식을 조장하고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부정적 우려도 커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정신적·신체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로, 평생 건강의 기반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즉 청소년기의 식행동은 성인기 이후 식습관 및 건강 상태를 결정하기에 올바른 식행동 확립이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 청소년의 음식관련 미디어 이용 실태를 확인하고 이들의 식행동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요소나 개인의 성향에 의해 표적 집단 정의가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음식관련 미디어 이용과 식행동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10월 14일부터 2022년 12월 22일까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12~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음식관련 미디어 이용, 식품 소비 행동,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 식품 문해력을 조사하여 건강한 식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한 결과 건강 지향적 요인, 유행 추구형 요인, 경제 추구형 요인, 안전/안심 중심형 요인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각각의 요인점수를 기반으로 전체 청소년을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맛과 트렌드를 중요하게 여기는 군집1은 유행 추구형 집단이라고 하였고 군집2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모든 요인에 대해 관심도가 낮기에 식생활 저관심 집단이라고 하였다. 건강 지향적 요인, 유행 추구형 요인, 경제 추구형 요인, 안전/안심 중심형 요인을 모두 중요하게 여기는 군집3은 식생활 고관심 집단이라고 하였고, 맛보다는 건강과 영양을 중요시하는 군집4는 건강 지향적 집단이라고 명명하였다. 각각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서 음식관련 미디어 이용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행 추구형 집단(군집1)과 식생활 고관심 집단(군집3)은 음식관련 미디어 시청 비율이 높았고 식생활 저관심 집단(군집2)은 미디어 시청 비율이 낮았다(p<0.001). 음식관련 미디어 시청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중 식생활 저관심 집단은 ‘많이 먹기, 빨리 먹기’가 높았고 ‘음식 메뉴 따라 먹기, 특이한 음식, 독특한 방법 조리’가 낮았다. 이에 반해 식생활 고관심 집단은 ‘음식 메뉴 따라 먹기, 특이한 음식, 독특한 방법 조리’가 높았고 ‘많이 먹기, 빨리 먹기’가 낮게 나타났다(p<0.001). 군집별 식품 소비 행동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취침 직전 음식 섭취로 인해 속이 더부룩한 채로 자거나 아침 결식 경험은 유행 추구형 집단이 높았으며 식생활 저관심 집단, 식생활 고관심 집단, 건강 지향적 집단(군집 4)에서 낮았다(p<0.01). 또한, 영양표시가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행 추구형 집단과 식생활 저관심 집단은 영양표시가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식생활 고관심 집단과 건강 지향적 집단은 영양표시가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p<0.001). 식생활 고관심 집단은 영양표시 가운데 ‘에너지’와 ‘단백질’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건강 지향적 집단은 모든 영양표시를 골고루 고려하였고 특히 ‘단백질’을 중요하게 고려하였지만 ‘에너지’의 고려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군집별 계획적 행동이론(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의 적용과 식품 문해력 분석 결과 유행 추구형 집단과 식생활 저관심 집단은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 및 식품 문해력에 대해 모두 낮은 점수를 보였고 식생활 고관심 집단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건강 지향적 집단도 대체로 높은 점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추가로 연령과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청소년의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인지된 행동통제력만이 유의하게 낮아졌다(p<0.00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미디어 이용과 식행동 특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적인 의의뿐만 아니라 향후 청소년의 건강한 식습관을 유도하고 가정 및 학교에서의 세분된 영양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청소년의 건강한 식행동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While food-related content such as mukbang (eating shows) and cookbang (cooking shows) have positive impacts including giving users access to recipes and increasing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some claim that they can foster unhealthy food intake, contending that inappropriate exposure to food behavior can promote binge eating and contribute to obesity.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surveyed 399 teenagers aged 12~18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metropolitan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focusing on their food-related media use and healthy eating habits. The study’s food-related lifestyle factor analysis identified four factors: health-seeking, popularity-seeking, economic benefit-seeking, and safety-seeking.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popularity-seeking group (N=113), the low-interest in food life group (N=53),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group (N=77), and the health-seeking group (N=156).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food-related lifestyle factors (p < 0.05). The popularity-seeking group and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group consumed food-related content at higher rates than the low-interest in food life group . The low-interest in food life group characterized the influence of food-related media consumption on dietary habits as "Eating a lot and eating quickly." In contrast,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group pointed to "Following food menus, trying unique dishes or cooking in unconventional ways" as the impact of food-related media consumption on their dietary habits. The popularity-seeking group reported experiencing sleep with a bloated stomach or skipping breakfast due to late-night snack consumption at higher rates than the low-interest in food life,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and the health-seeking groups. The study’s examination of nutritional labeling showed that nutrition labeling did not affect the food choices of the popularity-seeking and low-interest in food life groups but did affect the food choices of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and health-seeking groups.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group placed substantial importance on the “Energy” and “Protein” items on nutrition labels; meanwhile, the health-seeking group considered all nutrition label items equally important, placing particular emphasis on ''Protein” and relatively less on “Energy.”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popularity-seeking and low-interest in food life groups exhibited low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healthy eating and food literacy scores, the health-seeking group had generally hig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healthy eating and food literacy scores, and the high-interest in food life group had the high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healthy eating and food literacy scores. Promoting healthy eating among adolescents requires analyses of the complex patterns of adolescents' food-related media use and healthy eating in relation to their food-related lifestyles. This analysis will help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nutrition polic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