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 Download: 0

『紅樓夢』詩詞의 코퍼스 분석과 번역미학적 연구

Title
『紅樓夢』詩詞의 코퍼스 분석과 번역미학적 연구
Other Titles
Corpus Analysis and Translation Aesthetics Study of Modern Korean Translations of Poetry in Hong Lou Meng
Authors
김천향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Keywords
홍루몽, 시사, 코퍼스, 워드임베딩, 번역미학, 홍루몽 시, 워드스미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손지봉
Abstract
1750년대 후반 조설근(曹雪芹)에 의해 창작되어 출간된 『홍루몽』은 영웅호걸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전통적인 연의(演義) 기법을 탈피하여, 인물들의 다양한 성격과 일상생활에 대한 세밀한 묘사, 극적인 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중국 근대소설의 효시(嚆矢)라고 불릴만하다. 문학은 이야기로 삶을 그려내고 고전은 역사와 교훈을 가르쳐준다. 수백 년 동안 꾸준히 사랑받아온 조설근의 『홍루몽』은 중국 청나라의 시대상과 문화를 고스란히 재현한 작품으로, 독자는 저자의 묘사를 통해 청나라 귀족들의 복식부터 음식, 사용하는 기물 등을 접하며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홍루몽』은 중국의 4대 명작 중 하나로 『서유기(西遊記)』∙『삼국연의(三國演義)』∙『수호전(水滸傳)』과 함께 높은 문학적 가치를 자랑한다. 본 연구는 번역미학의 시각으로 기술론적 번역학, 코퍼스 언어학을 결합하여 『홍루몽』의 2가지 현대 한국어 번역본의 시사(詩詞) 번역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코퍼스와 관련하여 소설 120회 중 총 233 수의 시사를 수집하여 원문 코퍼스를 구축하였고 나남 출판사 최용철·고민희의 공역 번역본 및 솔 출판사 홍상훈의 번역본으로 번역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양적연구를 통해 두 가지 번역본 및 전반부 80회와 후반부 40회에 사용된 어휘, 품사 등의 차이와 번역문체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홍루몽』의 시사번역 측면에서 두 가지 번역본은 어휘나 품사사용에서 다른 패턴을 보였고 번역문체에도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먼저 원문 코퍼스의 고빈도 한자 및 고빈도 어휘 분석을 통해 원문의 특징을 확인하였고 어휘와 품사사용을 통해 저자가 다른 전반부 80회와 후반부 40회에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품사사용의 차이는 번역문에서도 확인되어 『홍루몽』의 시사번역에서 원문이 번역문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번역문의 코퍼스 분석에서는 WordSmith Tools 7.0을 사용하여 TTR, STTR, 문장길이, 고빈도 어휘, 키워드, 품사 분포 등을 통해 나남 출판사에서 번역한 시사는 간결한 번역을 선호하고 원문의 문장부호를 전부 살려서 번역한 반면, 솔 출판사의 번역본에서는 어휘 다양성이 더 높게 관측되었고 문장부호는 대거 생략한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원문 코퍼스와의 비교를 통해 원문 코퍼스에 나타난 고빈도 어휘들이 번역문 코퍼스에서도 관찰되어 원문의 어휘가 번역문에 영향을 크게 미쳤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워드임베딩으로 생성한 그림을 통해 두 가지 번역본의 어휘 분포가 한 명의 번역자가 번역한 전반부 80회와 후반부 40회에서 모두 비슷한 형태를 보여 충실성을 잘 지킨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전체 120회의 어휘분포를 보면 두 가지 번역본의 형태가 달라져 번역자가 한 명 이상일 때 번역 문체에 변화가 생긴 점을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고빈도 어휘의 분포도에서 한 명의 번역자가 번역한 솔 출판사의 경우, 두 명의 번역자가 번역한 나남 출판사의 번역본보다 더욱 촘촘하게 모여 있어 한 명의 번역자일 때 어휘 사용이 더 일관된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사번역에서 원문 외에도 개인적인 번역스타일과 번역전략 또한 번역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음으로 번역미학을 적용하여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류미칭의 번역미학에서 번역은 심미주체가 심미객체를 심미재현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먼저 심미주체를 분석한 후 심미객체를 분석하였다. 류미칭의 번역의 심미주체이론 및 Lefevere의 개작이론으로 심미주체를 외적요소인 이데올로기, 후원자, 문학사조, 그리고 내적요소인 번역동기, 번역자 소양, 번역전략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심미객체는 형식적 시스템과 비형식적 시스템으로 나누어 『홍루몽』 시사의 예술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이 중 음성, 문자 및 어휘, 문장 층위의 분석 그리고 중국 미학에서 중요한 정지(情志), 의상(意象), 의경(意境) 등 층위의 번역을 살펴보았다. 두 가지 번역본 모두 충실성을 중시하여 시사번역을 진행하였고, 비록 번역의 심미주체는 심미객체의 제약을 받지만 자신의 주체적 능동성을 끌어올려 질 좋은 번역문으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 있겠다. ;Cao Xueqin's "Hong Lou Meng" written in the late 1750s is deserved to be called a pioneer among modern Chinese novels as it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narrative centered around heroes, described various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their daily life in detail and showed dramatic storylines. Literature depicts lives through stories and classics include history and lessons. "Hong Lou Meng" popularized for centuries, faithfully represents the culture and era of the Qing Dynasty in China so readers can glimpse into nobility’s lifestyles in Qing Dynasty, including their attire, cuisine, and everyday objects. Moreover, it is recognized as one of China's Four Great Classical Novels along with "Journey to the West",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Water Margin". This study examines two modern Korean translations of poetry in "Hong Lou Meng" by combining descriptive analysis and corpus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aesthetics. As the source text corpus, 233 poems were collected from the novel's 120 chapters and two translation corpora was made from one Korean version translated by jointly Choi Yongchul and Go Minhee of Nanam publisher and the other version translated by Hong Sanghun of Sol Publisher.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wo Korean versions are compared, and the first 80 chapters and the last 40 chapters were also done in vocabulary, word usage, and translation styles. With the two translations’ corpus, type/token ratio (TTR), standardized type/token ratio (STTR), sentence length, high-frequency vocabulary, keywords, and word class distribution were analyzed with WordSmith Tools 7.0. According to the results, Nanam's translation is more concise, retaining all original punctuation while Sol's translation exhibits higher vocabulary diversity and omits punctuation more frequently. In addition, the comparison with the source text corpus confirm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original text's vocabulary on the translations. Images from word embedding show similar vocabulary distribution within each translator's work for the first 80 and the last 40 chapters, ensuring fidelity to the original.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entire 120 chapters, changes in translation style become evident, particularly when involving more than one translator. Additionally, in the distribution of high-frequency vocabulary, the single translator from Sol produces a more tightly clustered translation than the two translators from Nanam, indicating greater consistency in vocabulary usage by a single translator. This affirms that, in poetry translation, individual translation styles and strategies as well as the original text impact the final translation. The study conducts qualitative analysis applying translation aesthetics. In Liu Miqing's translation aesthetics, translation refers to the aesthetic subject's process of aesthetically representing the aesthetic object. The analysis involves examining the aesthetic subject first and analyzing the artistic features of "Hong Lou Meng" poetry through formal and informal systems contained in the aesthetic object. Evaluation is conducted at the phonetic, lexical, and syntactic levels, as well as emotional states, imagery, and artistic conception, as important elements in Chinese aesthetics. Both poetry translation versions followed fidelity. Moreover, it was encouraging that enhancing a translator's subjective agency can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although the aesthetic subject of translation is constrained by the aesthetic ob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