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한중 번역의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선택 연구

Title
한중 번역의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선택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me and Thematic Progression Selection in Translation from Korean to Chinese: Though the Analysis of the Translation of Fiction
Authors
공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Keywords
테마, 테마 전개방식, 중국어 번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림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의 특징을 알아보고,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 나타나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변이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한중 번역에서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선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번역 과정에서 번역자는 수많은 선택을 한다. 그 출발점은 문두인 테마이다. 테마는 절 안에서 문두로서 강조의 기능을 하고 후행 부분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텍스트적 기능을 갖는다. 절 밖에서는 선행절의 재수용을 통해 텍스트적 기능을 하는 동시에 문체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렇듯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이 텍스트적 기능을 가지며 저자의 의도를 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테마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번역 현장에서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테마를 단순히 절의 일부분으로 간주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지 못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번역문을 생성하거나 저자의 의도를 잘 전달하지 못하는 사례들이 종종 발견된다. 설령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더라도 출발어와 도착어의 테마 관련 언어적 관습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면 도착어 언어관습에 부합하지 않는 선택을 하거나 출발어 텍스트의 의도를 간과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와 중국어처럼 통사적 규범과 언어적 관습 등에 유사성과 상이성을 공존하는 언어쌍인 경우 선택의 미로에 빠지기 쉽다. 따라서 한중 번역에서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선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특징에 대한 연구와 번역된 중국어 텍스트의 테마 선택에 대한 분석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의 분포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한 텍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의 유형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 나타난 테마 변이 양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넷째,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 나타나는 테마 선택의 특징 및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네 가지 연구문제에 답을 얻기 위해 소설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계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모두 동원하는 혼합적 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소설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특징과 번역 양상 관찰의 타당성 및 텍스트의 접근성 때문이다. 소설은 법률 텍스트 등 형식이 거의 고정되어 있는 텍스트와 달리 다양한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을 보여준다. 이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분포 특징을 관찰하려는 본 연구에 필요한 특징이다. 또한 소설에서 저자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을 통해 의도를 전달하며 다양한 문체를 나타내는데, 이 때문에 번역시 테마의 보존과 변이에 대한 선택이 어렵다. 따라서 번역 소설 고찰을 통해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선택의 양상을 분석하면 번역 실무 및 번역 연구에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어 소설의 중국어 번역서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중국어 번역 소설 출판이 활발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설을 분석대상으로 삼으면 분석 텍스트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한중 소설 번역 연구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소설을 본 연구의 분석 장르로 택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계량적 연구와 텍스트 분석을 모두 활용했다.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분포 특징을 확인하고 번역 텍스트(TT)를 원문(ST)·비번역 텍스트(NT)와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는 항목을 찾기 위해서는 계량적 분석이 필요하고, 테마 선택 양상을 구체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대상과 연구방법으로 연구문제에 답을 모색하기 위해 우선 연구의 기반, 즉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조작적 정의,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유형,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테마 번역을 고찰했다. 조작적 정의에서는 체계기능언어학의 테마 이론을 토대로 테마를 문두성을 필수적으로 가지며 문맥에 텍스트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체계기능언어학의 문두성 중심 테마 이론을 택한 이유는 본 연구의 대상 언어인 한국어와 중국어가 각각 SVO, SOV 언어여서 해당 이론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두성이 구정보성이나 대하여성을 테마의 필수 특성으로 간주하는 다른 주장에 비해 객관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계량적 분석에도 적합하다. 따라서 체계기능언어학의 테마 이론을 적용하여 테마를 메타적 기능에 따라 화제적 테마, 텍스트적 테마, 대인적 테마로 유형화하였다. 이는 일차적 테마 유형이며 더 세부적인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구성성분에 따라 화제적 테마는 참여자 테마, 상황요소 테마, 동작자체 테마로, 텍스트적 테마는 시간, 첨가, 원인, 반의 의미관계로, 대인적 테마는 양상 부가어, 감탄사, 호격어로 구분하였다. 테마 전개방식은 단스(Danes)의 이론을 토대로 하되 체계기능언어학의 테마 이론의 분석 단위 등 선행연구를 접목하여 정의했다. 테마 전개방식은 후행절의 테마나 레마가 선행절의 재수용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지속형, 단독선형, 교차형, 레마집중형, 혼합형, 간극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재수용을 위한 응결장치는 동어반복, 바꿔쓰기, 대명사, 생략, 명시, 일부-전체, 부분-부분, 파생이 있다. 위와 같은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을 살펴보고 분석기준을 설정했다. 기본적인 테마 설정 원칙은 첫째, 화제적 테마가 나오면 남은 부분은 레마이며 둘째, 텍스트적 테마와 대인적 테마가 무조건 화제적 테마에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어의 화제적 테마는 ‘은/는’의 위치와 관련이 있다. ‘은/는’이 없을 때는 참여자나 상황요소 중 앞에 위치한 성분이 화제적 테마가 되지만 ‘은/는’이 있을 때는 ‘은/는’이 대조를 통한 강조가 아닌 화제 도입 등 역할을 할 경우 참여자와 상황요소가 복합테마를 구성하여 화제적 테마가 될 수 있다. 이처럼 한국어의 테마 설정은 조사의 영향을 받는다. 이와 달리 중국어의 화제적 테마는 주로 의미와 기능 등을 통해 설정된다. 상황요소 테마는 문두에 있는 시간, 장소 등 과정을 위해 환경적 맥락을 제공하는 요소이며 참여자 테마는 보통 문두에 나오는 주어나 목적어가 되는데 주어가 소형문인 경우 테마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외에도 세부적인 설정 기준이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판단 요소는 역시 테마의 조작적 정의, 즉 문두성과 텍스트적 기능이다. 바꿔 말하면 일반적인 설정 기준으로 적용이 어려울 때 테마의 조작적 정의를 기준으로 테마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테마 전개방식의 판단 기준은 테마보다 간단하다. 재수용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단 재수용이 두 번 이상이 나타날 때는 테마의 재수용을 우선적 판단 기준으로 하였다. 이렇게 분석 기반을 마련한 후 각 연구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 선정된 소설 텍스트를 대상으로 테마와 레마를 구분하고,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을 유형별로 코딩한 후 분석을 실시했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선정된 한국어 텍스트(ST)와 비번역 중국어 텍스트(NT)의 유형별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의 수를 확인하여 분포 특징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선정된 한국어 텍스트의 번역 텍스트(TT)에 나타난 유형별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의 수를 분산 분석 등 통계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ST·NT와 비교해 TT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유형을 확인했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두 번째 연구문제를 통해 도출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유형을 중심으로 TT와 ST를 비교하여 변이 양상과 원인을 분석했다. 네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세 번째 연구문제의 분석을 통해 테마 변이 특징을 정리한 후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와 접목하여 테마 선택의 시사점을 도출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 분포 특징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공통점을 살펴보면, 테마 분포에서는 화제적 테마, 텍스트적 테마, 대인적 테마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테마 전개방식 분포에서는 지속형이 가장 높았다. 차이점은 관형절, 부사절 등 절로 실현되는 테마가 중국어보다 한국어에 더 많았고 인접하는 절의 재수용이 없는 간극형 테마 전개방식도 한국어에 더 많았다는 점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중국어 번역 텍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항목은 텍스트적 테마, 대인적 테마, 상황요소 테마, 관형절 참여자 테마 등 테마 유형과 지속형 테마 전개방식이다. 또한 텍스트적 테마에서 테마가 반의, 원인, 첨가 관계 부가어로 실현된 경우, 대인적 테마에서 테마가 양상부가어로 실현된 경우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테마 전개방식에서는 테마 전개를 이루기 위한 생략 응결장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한중 번역에서 나타난 테마 변이 양상과 원인은 의무적 변이와 선택적 변이로 나눠 정리할 수 있다. 의무적 변이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통사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선택적 변이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보존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양상으로 규범화, 단순화, 명시화 등의 번역 양상이 있다. 규범화로는 출발어보다 도착어에 적합한 테마나 테마 전개방식이 선택된 양상, 무표적 어순이 선호된 양상이 대부분이다. 단순화에는 절로 실현된 테마가 명사 등 보다 단순한 형식의 테마로 번역된 양상 등이 포함된다. 명시화는 주로 절 사이의 응결성 강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대부분 가독성 실현을 위한 번역자의 선택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테마나 테마 전개방식의 변이로 인해 인접하는 절의 재수용이 사라졌거나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등 바람직하지 않은 양상이 관찰되었다. 네 번째 연구문제의 답은 세 번째 연구 문제를 통해 확인한 테마 선택 특징을 토대로 얻었다. 우선 의무적 변이가 필요한 상황을 테마 유형별로 정리한 후 시사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선택적 변이가 필요한 상황을 정리하여 단순화, 규범화, 명시화 등 선택 전략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테마 선택시 주의해야 하는 점도 강조했다. 즉 도착어 텍스트의 가독성과 원문 저자 의도의 전달을 동시에 구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문에 특별한 의도가 있는 경우를 잘 식별하고 유창성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방안을 선택하는 방법을 권하고 싶다. 또한 테마 변이로 인해 응집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는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관점에서 계량적·정성적 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테마 및 테마 전개방식 분포 특징, 한중 번역에서 나타난 테마의 선택 양상 및 원인 등을 분석함으로써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선택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이는 테마의 측면에서 한중 번역을 연구하는 방법론에 기여할 수 있고, 한중 실무 번역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소설이라는 한 가지 장르만 다룬다는 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항목만 분석한다는 점, 다양한 작가와 번역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 등이 한계로 남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테마의 측면에서 한중 번역을 연구한 시도로서 테마와 테마 전개방식의 각 유형을 설정하고 번역 특징과 변이 원인을 고찰하였다는데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들이 한중 번역에서 나타나는 테마의 특징을 이해하고 한중 번역 실무에서 테마 번역 전략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Korean and Chinese texts respectively and to analyze themes and variations in theme development methods that appear when translating Korean into Chinese, so 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when practicing Korean-Chinese translation.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ranslators make numerous choices. The starting point is the Moonduin theme. This theme functions as an emphasis as the head of the section and has the textual function of providing a foundation for the subsequent part. Outside the section, it also functions as a text and reveals the style through the re-use of the preceding section. As such, the theme and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have a textual function and can convey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theme. However, in the actual translation field,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There are often cases in which unnatural translations are generated or the author's intentions are not well conveyed because the translator simply considered the theme as part of the section and did not properly select it. Furthermore, even when the translator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theme and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if the translator has insufficent knowledge of the linguistic conventions related to the theme of the starting word and the arriving word, the translator may make a choice that does not meet the language conventions of the starting word or overlooks the intention of the starting word tex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nguage pairs that coexist with syntactic norms and linguistic conventions such as Korean and Chinese, it is easy to fall into a maze of choices.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derive implications to guide theme selection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Korean and Chinese texts and an analysis of theme selection in translated Chinese tex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nswers to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Korean and Chinese? Second, what are the themes and the types of thematic development method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exts translated from Korean to Chinese? Third, what are the aspects and causes of theme variation that appeared when translating Korean into Chinese? Fourth,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me selection that appear when translating Korean into Chinese? In order to answer these four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nalyzed novels using a hybrid research method that mobiliz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Novels were targeted for analysis because of their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the validity of observing translation patterns,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text. Unlike texts with more fixed forms such as legal texts, novels show various themes and development methods. This is a necessary feature for this study to observ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addition, in novels, the author conveys intentions through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and represents various styl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lect the preserv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mes during translation. Therefore, meaningful results can be derived for translation practice and translation research by analyzing aspects of theme selection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through the review of translated novels. In addition, there has been active publication of Chinese translated novels in recent years as Chinese translations of Korean novels have gained popularity in China. In this situation, we expected that it would be easy to secure novels as analysis texts and that it would be valuable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the translation of Korean-Chinese novels. Therefore, novels were chosen as the analysis genre of this study. As research methods, both quantitative research and text analysis were used. Quantitative analysis is required to confirm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and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and to identify items tha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hen comparing the translated text (TT) with the original text (ST) and the non-translated text (NT) while text analysis is required to observe the theme selection pattern in detail. In order to find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with these analysis targets and research method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first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that is, the theme and theme development method. In this stage, we examined the theme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theme and theme development method, the type of theme and theme development method, and the theme translation in Korean and Chinese. Based on the thematic theory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a theme was defined as having an essential literacy and making a textual contribution to the context in the operational definition. We chose the thematic theory centered on the phylum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because the target languages of this study, Korean and Chinese, are SVO and SOV languages, respectively, to which the theory can be applied. It is also suitabl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because the phylum is more objective than other arguments that consider the Gujeongboseong or the epic woman a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theme. Therefore, the theme theory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was applied to categorize themes into topical themes, textual themes, and interpersonal themes according to meta-function. This is the primary theme type, and in order to confirm the more detailed distribution, we divided the topical themes according to the components into participant themes, situational elements themes, and motion themselves, and divided the textual themes into time, addition, cause, and half semantic relationships, and the interpersonal themes into modal adverbs, exclamations, and arcs.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was based on Danes' theory, but was defined by grafting previous studies such as analysis units of the theme theory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was achieved through the re-use of the preceding section, and can be divided into continuous type, single linear type, cross type, rema concentrated type, mixed type, and gap type. Condensation devices for re-administration include repetition, rewriting, pronouns, omission, specification, part-whole, part-part, and derivative. Based on the above themes and the concept of theme development method, we examined the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of Korean and Chinese and set the analysis criteria. The basic theme setting principles were as follows: first, when a topical theme comes out, the remaining part is REM, and second, textual and interpersonal themes must precede the topical theme. The topical theme in Korean is related to the location of “eun/eun.” When there is no “eun/eun” the component located in front of the participant or situational element becomes the topical theme, but when there is “eun/eun,” if “eun/eun“ plays a role in introducing a topic rather than emphasizing through contrast, the participant and situational element can constitute a topical theme by forming a complex theme. In this way, the theme setting in Korean is influenced by the survey. In contrast, the topical theme in Chinese is mainly set through meaning and function. Situational element themes are elements that provide an environmental context for the process such as time and place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and participant themes usually become the subject or object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but if the subject is in small sentence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theme. In addition, there are detailed setting criteria, but the most important judgment factor is also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theme, that is, the head of the sentence and the textual function. In other words, when it is difficult to apply with general setting criteria, it judges what the theme is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theme.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are simpler than the theme. The type can be jud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re-employment occurs. However, when re-employment appeared more than once, re-employment of the theme was used as the priority criterion for judgment.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each research question, themes and remas were classified for the selected novel text, and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were coded by type and then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by checking the number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by type of selected Korean text (ST) and non-translated Chinese text (NT). The number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for each type shown in the translated text (TT) of the selected Korean text was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analysis of variance, and compared with ST and NT to identify the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 types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T. Fo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TT and ST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variation pattern and cause, focusing on the themes with significant changes derived from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nd the type of theme development method. For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the theme variation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and then implications of theme selection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m with the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Korean and Chinese, the analysis found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irst, in the theme distribution, the frequency was high in the order of topical themes, textual themes, and interpersonal themes, and the continuous type was the highest in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distribution. The difference was that there were more themes realized with clauses such as arthroplasty and adverb clauses in Korean than in Chinese, and there were more ways to develop themes with improper gaps in adjacent sections in Korean.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theme and theme development method item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Chinese translated text are theme types and sustainable theme development methods, such as textual themes, interpersonal themes, situational element themes, and articulation participant themes. In addition,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when the theme was realized as an antonym, cause, and additional adverbs in the textual theme, and when the theme was realized as a modal adverb in the interpersonal theme. In the theme development method,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skip condensation device to achieve the theme development. The aspects and causes of theme variation in the Korean-Chinese translation, explored through the third research question, can be divided into mandatory and selective variations. Mandatory variations are caused by syntac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lective variations appear even though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can be preserved, and there are translation aspects such as normalization, simplification, and specification. As for the normativeization, a theme or theme development method suitable for the arriving word is selected rather than the starting word, and an untargeted word order is preferred. Simplification includes aspects in which themes realized through clauses are translated into simpler types of themes such as nouns. Explanation mainly appeared to strengthen the cohesiveness between sections. Most of these aspects can be seen as the translator's choice for the realization of readability. In addition, undesirable patterns were observed, such as the disappearance of re-employment of adjacent sections due to variations in themes or theme development methods, or the failure to sufficiently convey the author's intentions. The answer to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was obtained based on the theme selection characteristics identified through the third research question. First, we organized the situations in which compulsory variation is required by theme type, and presented the implications. In addition, by organizing situations in which selective variation is required, this study suggested selection strategies such as simplification, standardization, and clarification. Finally, we also emphasized that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selecting a theme, underscoring that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readability of the arriving text and the delivery of the original author's intention. To this end, we recommend a method of selecting a plan without impairing fluency and identifying cases where there is a special intention in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care should be taken not to reduce cohesiveness due to theme variation.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selecting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in Korean and Chinese texts, as well as the selection patterns and causes of themes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ith a focus on themes and theme development meth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methodology of studying Korean-Chinese translation in terms of themes and can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However,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targeted one genre of fiction and analyzed only items with significant changes and failed to analyze the texts of a wider variety of writers and translators. Despite these limitations, as an attempt to study Korean-Chinese translation in terms of them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each type of theme and theme development method was s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and the causes of variation were consider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es that appear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and to establish a theme translation strategy in the practice of Korean-Chinese trans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