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 Download: 0

생방송에서 가상 크리에이터로부터 지각 된 감정노동이 시청자의 감정적 소비 및 감정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생방송에서 가상 크리에이터로부터 지각 된 감정노동이 시청자의 감정적 소비 및 감정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Perceived by Audiences in Virtual Creator Live Broadcasts on Audience's Emotional Consump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Authors
Zhou, Minxian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소혜
Abstract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가상 크리에이터가 신흥 엔터테인먼트 형태로 급부상하 여 광범위한 관심과 참여를 끌어냈다. 이러한 가상 이미지는 실제 인간의 행동과 감정 상호 작용을 시뮬레이션하여 시청자에게 독특한 오락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생방송 중 가상 크리에이터의 감정노동이 시청자의 감정적 소비와 감정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이 과정에서 집단 정체성의 조절작용 을 조사하였다. 가상 크리에이터의 감정 표현과 시청자 반응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이연구는 가상 인터랙티브 환경에서 감정노동의 중요성 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연구 방법에는 다양한 유형의 감정 노동(즉, 표면 행위와 내면 행위)이 관객의 감정적 소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기 위한 설문 조사 및 데이터 분석이 포함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내면행위 와시청자의 감정적 소비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표면 행위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나타났다. 추가분석에 따르면 감정적 소비 와 감정적 만족 사이에는 상당한양 의상관관계가 있으며 집단 정체성은 이 둘 사이에서 조절 역할을 하였다.이러 한 발견은 가상 인터랙티브에서 감정 교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들은 가상 크리에이터가 효과적인 감정 노동을 통해 시청자의 감정적 몰입을 향상해 시청자의 감정적 만족을 향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집단 정체성은 중요한 사회 심리적 변수로서 시청자의 감정적 소비를 촉진하고 감정적 만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약하면,본 연구는 특히 가상크리에 이터 와 시청 자 간의 감정적 상호작용을 최적화 하는데 있어 가상 크리에이터 산업에 실용적 인 지침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발견은 가상 인터랙티브 환경에서 감정 역학에 관한 학술 연구를 위한 새로운 시각과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가상 인터랙티브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정 노동에 대한 심층 이해의 중요성을 강 조하며 향후 관련분야의 연구에 귀중한 참고자료를제공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In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virtual creators have rapidly emerged as a newformof entertainment, attracting widespread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hese virtual images simulate human behavior and emotional interaction, providing viewers with a unique entertainment experi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f virtual creators onaudience emotional consump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in live broadcasts, particularly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in this process. Through in-depth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virtual creator's emotional expression and audience response,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in virtual interactive environment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ses, aiming to explore how different types of emotional labor (i.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ffect audience emotional consump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deep acting and audience emotional consumption, while surface acting presents a negative correlation. Further analysis find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emotional consump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group identification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se findings are of great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emotional communication in virtual interactions. They indicate that virtual creators can enhance audience emotional investment and increase emotional satisfactionthrough effective emotional labor. At the same time, group identification, as an important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emotional consumption and enhancing emotional satisfaction. In summary,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guidance for the virtual creator industry, especially in optimizing emotional interactionbetween virtual creators and audiences.Additionally, these findings also provide newperspective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cademic research on emotional dynamics invirtual interactive environment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deeper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in enhancing virtual interactive experiences, hoping toprovide some valuable references for future research in related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