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 Download: 0

한국어 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연구 동향 분석

Title
한국어 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연구 동향 분석
Other Tit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lipped learning research trend analysis
Authors
양경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러닝’의 적용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플립러닝이 한국어 교육 수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학습될 수 있는지를 문법 교육, 수업 설계 및 모형 개발, 효과와 활용 방안 등 지금까지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러닝의 연구가 진행되어 온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목적과 대상에 있어 좀 더 다양하게 다루고 있는 학술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플립러닝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플립러닝의 개념과 등장 배경 등을 알아보았으며 플립러닝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원리를 살펴볼 수 있었다. 플립러닝의 교육적 학습이론으로 대두되는 구성주의와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이 플립러닝의 체계적인 학습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는 먼저 동향 분석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들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동향 분석 연구가 한국어 교육이라는 큰 주제에서 점점 세분화되고 다양화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동향은 사회과학 분야의 플립러닝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서서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러닝에 관한 연구와 관심은 COVID-19 시점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수업방안과 효과성 내지는 수업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이 다양하지 않았다. 플립러닝의 연구 동향 분석도 한 편뿐이어서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동향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플립러닝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원문 제공처를 통해 검색엔진을 돌려 연구와 관련된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류 틀도 선정하여 연구 시기별, 주제별, 연구 방법적으로 분석한 후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게 된 학술논문에서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결과를 파악하여 표로 제시하였으며 시기별로는 편수를 표로 입력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논문에서 추출한 내용 부분에서 연구 방법과 결과 및 효과 측면에 대해 표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를 밝혔다. 또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나타난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은 단순히 기존의 수업 틀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업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의 한국어 교육이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는 좀 더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는 문자,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 동영상과 같은 매체들을 하나 이상으로 통합하여 생성한 것이라고 정의한다(이영민 외, 2008). 학습 환경의 수업으로 전환과 발전을 꾀해야 할 때라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학습 환경과 수업모형 개발 등 적극적인 연구 결과들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교사의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수업의 발상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플립러닝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한국어 교육에서 안정적인 수업의 성공적인 전략을 확보할 수 있다는 데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포괄적이고 풍성한 내용의 플립러닝 관련 연구가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looked into how flipped learning is being applied and learned in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various research is ongoing, including grammar education, class design and mode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c papers that cover a wider range of research purposes and subjec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Chapter 1 clar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resented its significance.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flipped learning were examin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flipped learning were naturally approached. Constructivism, Bloom's new educational goal classification system,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are emerging as educational learning theories of flipped learning, provide a more systematic learning effect of flipped learning. I could see that it was indicated specifically. In previous research, we first looked at how representative studies on trend analysis are being conducted. It was found that trend analysis research is becoming more subdivided and diversified in the large topic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on multimedia utilization is also actively underway. Research trends in general studies showed that flipped learning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field was the most active and was slowly increasing. Research and interest in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wed an increase at the time of COVID-19, but it mainly focused on research on teaching model design, teaching methods, and effectiveness, and the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purposes were not diverse. As there was only on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flipped learning, it was confirmed that more specific and diverse trend analysis was needed. In Chapter 3, in order to find out trends in flipped learning research, we selected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study by running a search engine through the source of the original text. A classification framework that fits the research purpose was selected and the contents were organized after analysis by research period, topic, and research method. In the academic papers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were identified and presented in a table, and the number of papers by period was entered in the table for easy confirmation. Lastly, the research methods, results, and effects aspects of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search paper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in a table. Chapter 4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Looking at the results that emerged while conducting this study, it shows tha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simpl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class framework, but are seeking to transform various classes. This means that it is time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ransition and develop into three-dimensional classes in a more technical environment. Active research resul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s and teaching models, will be able to instill positive perceptions in learners and lead to teachers' rational and specific teaching ideas. Above all,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flipped learning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secure successful strategies for stable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future follow-up studies, we expect to see more flipped learning-related research with more comprehensive and rich cont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