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 Download: 0

학창 · 창의 · 학창의의 변천과 연계적 전개

Title
학창 · 창의 · 학창의의 변천과 연계적 전개
Other Titles
History and Interactive Development of Hakchang, Changui, and Hakchangui
Authors
김혜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학창ㆍ창의ㆍ학창의가 발생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종교와 경제, 정치,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면서 전개되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중국 학창ㆍ창의의 발생 배경과 의미, 기능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학창ㆍ창의ㆍ학창의의 형태와 기능,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창은 위진남북조시대에 나타난 도교 복식으로 ‘새의 깃털로 만든 옷’이라는 뜻이다. 학창의 초기 형태는 불교 가사를 모방하여 만든 방형의 피견(披肩) 양식이며 도교 법복제도에서는 이를 ‘피(披, 帔)’라고 불렀다. 당대(唐代)부터는 세속에서 피를 학창이라고 부르며 세속인들이 착용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송대(宋代)에는 도복이 세속인의 일상으로 깊게 파고들면서 학창의 유형도 다양해졌다. 이때 넓은 소매가 있는 대수형 학창, 즉 창의가 발생하여 문인사대부를 중심으로 착용되었다. 송대 이후로 세속인들은 방형 학창 대신 대수형 학창인 창의를 착용하였다. 소매가 있는 포의 형태인 창의는 방형 학창보다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신선의 복식이라는 상징과 의미는 계승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방형 학창은 송대 이후에 도교 법복으로만 착용되었는데 명대에는 포에 가까운 형태의 양식이 나타나서 기존의 방형 학창과 혼용되었다. 창의는 원대(元代)부터 도사 상복과 법복으로까지 착용 범위가 넓어졌고 명대에는 신분에 상관없이 착용하는 대중적인 복식이 되었다. 명대에 ‘학창’과 ‘창의’ 명칭은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며 기존의 트임이 없는 대금직령의 옷에서 트임이 있거나 대금형에 깃을 얹은 양식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양식은 피풍(披風), 배자(褙子)와 비슷하지만 창의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옷의 가장자리 전체에 선단을 두른다는 점이다. 본래 소박한 종교복식이었던 창의는 명대에 대중화되면서 종교적인 의미가 약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명대 중기 이후로 심화된 사치풍조와 복식제도의 혼란이 있었다. 창의는 명 말부터 착용이 줄기 시작하여 청나라 초기 이후에는 사라지게 된다. 한족의 방형 학창 형태는 청대에도 계승되어 도교 법복으로 착용되었지만 학창ㆍ창의 명칭은 세속인의 복식 용어로만 나타난다. 학창ㆍ창의 명칭은 18세기 중반에 남녀 방한복인 두봉(斗蓬)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창의가 양 옆이 트이고 소매와 품이 넉넉한 만주족 여성의 편복포를 지칭하였다. 19세기 중국의 창의는 ‘트임이 있는 옷’을 뜻하는 ‘창의(敞衣)’로 의미와 형태가 모두 변화하였다. 창의는 명 말부터 종교성이 차츰 옅어지다가 청 말에는 종교와 상관없는 만주족 여성의 일상복이 되었다. 조선시대의 창의는 직령교임에 소매가 넓고 뒤가 트여있는 포로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이 끝날 무렵에 등장하였다. 창의는 뒤가 트여있는 특징으로 인해 ‘열다[開]’라는 뜻의‘敞衣’로 지칭되다가 발음이 같은 氅衣, 昌衣 등의 표기가 혼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창의의 형태는 17세기 초반에 등장하였던 형태 및 구성 특징이 조선말까지 큰 변화 없이 지속되었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소매와 밑단이 넓어지면서 보다 풍성하고 여유 있는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창의는 17세기 후반부터 문관 단령의 받침옷으로 착용되었다. 창의를 단령 밑에 입을 때는 청색의 무늬 없는 비단을 사용하도록 하였지만 백의를 숭상하는 풍습으로 인해 백창의를 입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조신(朝臣)들은 청색과 백색 창의를 마련하여 공복으로 입을 때는 청색, 편복으로 입을 때는 백색을 착용하였다. 무관은 단령의 받침옷으로 철릭이나 군복을 입어야 했지만 조선후기에는 무관들이 철릭이나 군복을 기피하고 창의를 입는 풍조가 끊이지 않았다. 창의는 겉옷으로서 사대부의 외출복으로 착용되기도 하였으나 뒤가 트인 형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도포와 동등한 상복(上服)이 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창의는 착용자의 위엄을 돋보이게 하는 복식으로서 착용할 수 있는 신분의 제한이 있었다. 창의는 문과와 무과, 잡과에 합격한 출신(出身) 이상만 입을 수 있었는데 조선후기에는 신분제도와 복식제도가 해이해지면서 신분이 천한 사람들도 착용하였다. 17-18세기 조선의 학창은 선비의 깨끗한 성정과 충의를 상징하여 사대부 계층에서 착용하였다. 17-18세기 학창은 명대 창의 제도를 토대로 형성되었으나 조선 학창만의 특징도 나타난다. 19세기에 창의와 결합된 직령교임의 학창의가 나타나는데, 18세기 후반 조복의 중단으로 착용되던 창의를 백삼으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창의와 결합된 형태의 학창의는 17-18세기보다 대중적인 복식으로서 조복과 제복의 중단과 편복포로 착용되었으며, 이때는 세조대를 둘러 조선후기 선비 복식의 특성을 표현하였다. 조선시대 학창ㆍ창의ㆍ학창의의 명칭과 제도는 중국에서 기원하였지만 차츰 우리의 정서와 복식문화를 반영하여 중국과 다른 독특하고 고유한 양식으로 완성되었다.;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of changui and its evolution over different periods in Korea and China. The shap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angui and hakchangui in the Joseon dynasty are explor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changui in China. The term changui was first used in the Song dynasty in reference to “clothes made of bird feathers.” It originates from a square-shaped garment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dubbed “pei” under the dress code of Taoism. Pei started being referred to as hakchang in secular terms from the Tang dynasty and came in more diverse forms during the Song dynasty, including a broad-sleeved changui. Accordingly, changui replaced the square-shaped hakchang with a more convenient design with sleeves while inheriting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hakchang. Changui was also worn as daily clothes by Taoists during the Yuan dynasty and even as a Taoist robe at the end of Yuan. It became more common among people regardless of class in the Ming dynasty, when changui and hakchang were used interchangeably and developed into a variety of styles. It evolved from a style with a symmetric collar and no slit to one with bangryung, or a square neckline collar, and side slits, resembling the forms of pipoong and baeja. Howeve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changui is the dark-colored, banded hem added to the entire edge of the garment. It used to be plain, religious clothing but became more fancy with less religious implication amid growing extravagance and chaotic dress codes in the middle of Ming. It was worn less by people from late Ming and disappeared from the early Qing dynasty. Although the original changui perished, its name remained to refer to dubong, or winter clothes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mid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pyeonbok po, or an everyday coat of Manchu women with a loose fit and slits on the sides was named changui. As such, the term changui changed in both meaning and form from “clothes made of bird feathers” to “clothing with openings on the sides.”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changui gradually diminished from late Ming, and it gained a new meaning as everyday clothes of Manchu women at the end of Qing. Changui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meantime, meant jikryonggyoim-styled po, or a cross-collared overcoat, with wide sleeves and an opening in the back, a style witnessed after the Imjin War. The shape and design of changui in the early 17th century remained unchanged for the most part until late Joseon but transformed into a more loose-fitting and airy style with broader sleeves and broader mu, a fabric under on the armpit area, along with a longer slit opening in the late 17th century. Changui was an inner robe worn underneath dallyeong, or an official robe, by civil official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Only solid silk and blue color fabric was allowed for changui as the inner wear for dallyeong, but white changui was worn frequently as Koreans revered the white color. Court officials wore blue for official clothes and white for daily use. Military officials were not allowed to wear changui as an undergarment for dallyeong but continued wearing it instead of cheolrik military uniforms. Changui was considered a lower level garment than dopo, men’s long overcoat, due to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its back slit opening. Still, it gave the wearer the impression of authority and was permitted only to certain classes—those who passed the literary, military, and miscellaneous exams. However, lower class people also started wearing changui as the social class system and dress code loosened up in late Joseon. Hakchang was a symbol of scholarly integrity and was worn by the nobles in the 17-18th century Joseon. It basically follows the dress code of Ming but also features the unique style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a mixture of cross-collared changui and hakchang was created, possibly over the course of a transition in the inner robe of jobok, a ceremonial attire of the king and officials, from changui to baek-sam, or white undershirts, in the late 18th century. This hybrid style of hakchangui was worn more widely as the inner robe of jobok and pyeonbok po, unlike in the 17-18th century. Changui and hakchang of late Joseon stemmed from China but gradually incorporated the sentiment and clothing culture of Korea to develop into a unique style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