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 Download: 0

유치원 교육실습생에 대한 유아의 생각

Title
유치원 교육실습생에 대한 유아의 생각
Other Titles
Exploring Children’s Thoughts about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Authors
염정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 교육실습생, 생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 교육실습생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실습생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사계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4세, 만5세 유아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실습생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대일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일대일 면담은 2023년 10월 16일부터 23일까지, 참여관찰은 2023년 10월 4일부터 20일까지 이루어졌다. 면담은 유아당 8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이후 전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분석·비교함으로써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을 함께 놀이하는 친구로 인식하였다.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학급 내에서 가장 많이 한 일이 유아들과 놀이하는 일이라는 생각을 토대로, 교육실습생이 함께 놀이하는 친구이며 이것은 학급의 담임교사와 비교되는 특징이라고 이야기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함께 놀이를 하는 친구와 같다는 인식에 의해 교육실습생이 학급에서 진행한 대소집단활동 역시 놀이의 일환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을 도와주는 사람으로 인식하였다.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학급 내에서 일과 전반에 걸쳐 유아들에게 다양한 도움을 제공하였으며, 유아뿐만이 아니라 담임교사 역시 도왔음을 이야기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아직 진짜 선생님은 아니라고 인식하였다. 유아들은 진짜 선생님은 가르치는 일을 한다고 생각하였는데, 교육실습생은 진짜 선생님인 담임교사에 의해 가르치는 일을 지시받음으로써 이를 일시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진짜 선생님이 아니라고 이야기하였다. 이에 더하여,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학급에 온 목적 역시 가르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놀러 온 것이며, 선생님 체험을 한다고 보았다. 넷째, 다수의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비록 잠시 머물렀다 가는 사람이지만 깊은 정서적인 애착을 느낌으로써 친밀한 타인으로 여겼다.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을 우리 선생님으로 지칭함으로써 반에 소속된 사람으로 표현하였고, 다시 만나고자 하는 마음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교육실습생과의 놀이 경험이 소중하고 즐거웠음을 이야기하며 신뢰를 토대로 한 애정과 친밀감을 드러냈다. 다섯째, 일부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에게 다소 거리감을 느낌으로써 낯선 손님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을 학급에서 분리하여 지칭하는 것을 통해 교육실습생이 학급에 소속되지 않았을 뿐더러 대학생임을 제시하였으며, 함께 놀았던 경험이 잘 없었음을 이야기하며 상호작용이 부족하였음을 암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교육실습생이 놀이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교육실습생뿐만이 아니라 실습 지도 담임교사와 실습 기관, 그리고 교원양성기관과 제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children on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 selected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at do children think of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5 children, aged 4 and 5 years old who a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Seoul. The methodology involved one-on-one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o capture the children’s thoughts about pre-service teachers. The one-on-one interviews took place between October 16 and 23, 2023, while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4 to 20, 2023. Each interview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8 to 10 minutes per chil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later transcrib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thoroughly analyzed and compared iteratively to derive inductive catego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thought pre-service teachers as playmates. Based on the idea that the most significant activity pre-service teachers undertake in the classrooms is playing, children described pre-service teachers as friends who play together. Furthermore, children considered the group activities organized by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as part of the play, emphasizing the role of pre-service teachers as playmates. Second, children perceived pre-service teachers as helpers. They acknowledged that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various assistance to them throughout the day, not only to the children but also to the supervising teachers. Third, children recognized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yet real teachers. They believed that real teachers are those who engage in teaching activities, while pre-service teachers perform teaching tasks under the guidance of the supervising teacher, making them temporarily considered as real teachers. Additionally, children perceived that pre-service teachers came to the classroom not for teaching but for leisure and experiencing the role of a teacher. Fourth, despite the temporary nature of their presence, many children developed deep emotional attachment and considered pre-service teachers as familiar individuals. They referred to pre-service teachers as "our teacher," expressing a sense of belonging, and expressed a desire to meet them again. They also shared positive experiences of play with pre-service teachers, highlighting the trust, affection, and intimacy built during these interactions. Fifth, some children maintained a certain distance from pre-service teachers, perceiving them as somewhat unfamiliar guests. They emphasized the sepa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classroom by addressing them differently and indicating their status as university students. They also suggested a lack of interaction by mentioning limited experiences of playing toge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re-service teachers through play and fostering meaningful relationship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also indicates the need for efforts not only from pre-service teachers but also from supervising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se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