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 Download: 0

유아의 정서조절과 어머니의 정서신념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관계

Title
유아의 정서조절과 어머니의 정서신념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ith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uthors
명현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 유아기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신념,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정서조절과 어머니의 정서신념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 유아의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신념,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신념,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변인(성별, 연령)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3. 유아의 정서조절과 어머니의 정서신념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정서조절과 어머니의 정서신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유아의 정서조절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7곳에 재원하고 있는 3세에서 6세 자녀를 둔 어머니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은 Shields 와 Cicchetti(1997)의 ‘정서조절척도(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어머니의 정서신념은 Halberstadt 외(2008)의 ‘자녀의 정서에 대한 부모의 신념(Parent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을,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Saarni(1989)의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정서표현수용태도 척도(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 Expressiven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 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조절은 적응적 정서조절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불안정 정서조절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신념 중 긍정정서가치 신념, 부정정서가치 신념, 정서지도 신념은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위험 신념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대체로 수용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정서조절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정서조절에서 유아의 연령이 3, 4세인 유아들보다 5, 6세인 유아들이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았다. 반면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정서신념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에서는 자녀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정서가치 신념과 유아의 불안정 정서조절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어머니의 정서위험 신념과 유아의 불안정 정서조절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아의 불안정 정서조절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조절 하위요인 중 적응적 정서조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정서를 존중하고, 자녀가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적 상황에 대해 지도할 수 있다는 인식을 고취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자녀의 정서에 대한 이해와 표현을 지지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differences by children's gender and age.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by children's gender and ag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ith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3-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3-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6 mothers whose children are 3 to 6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 Emotion Regulation Checklist(Shields & Cicchetti, 1997), Parent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Halberstadt et al., 2008), and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 Expressiveness Scale(Saarni, 1989)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s at a high level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at a low level of ‘Unstable Emotion Regulation’. Additionally, among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Negative emotions are valuable.’ and ‘Parents should guide emotions.’ were generally at a high level while‘All Emotions are dangerous.’ were at a low level.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generally accepting. Second, children aged 5 and 6 had highe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than children aged 3 and 4.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by children’s gend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by children’s gender and age. Thir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beliefs of ‘Positive emotions are valueale.’ and the children's ‘Unstable Emotion Regulation’,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beliefs of ‘All emotions are dangerous.’ and the children's ‘Unstable Emotion Regulation’. Also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beliefs of ‘Parents should guide emotions.’ and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beliefs of ‘Parents should guide emotions.’ and the children's ‘Unstable Emotion Regulation’.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should respect children's emotions to help thei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t also suggests that parents should be able to guide children when they deal with various emotions and parent education will help with such gui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