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 Download: 0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Title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Authors
최윤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중요도 및 수행정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중요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수행정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5세 학급을 담임하고 있거나 최근 3년 이내 담임했던 유아교사 114명과 초등학교에서 1학년 학급을 담임하고 있거나 최근 5년 이내 담임했던 초등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방소영(2012)의 연구와 이소영(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4개 영역, 5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교사와 초등교사가 가입되어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온라인 설문 링크를 게시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최대값과 최소값,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중요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해 모든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는데, 학업기술 영역은 다른 영역들에 비해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기본생활습관, 사회적 상호작용, 학업기술, 학습성향 및 태도 영역에서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각 영역에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크게 나타난 문항은 ‘용변 후 스스로 뒤처리하기’와 ‘부모와 떨어지기’였다. 둘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수행정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초등교사보다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수행정도를 모든 하위영역에서 약간 높게 인식하였다.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유아가 학업기술 영역을 가장 잘 수행한다고 보았고, 사회적 상호작용 영역을 가장 잘 수행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각 영역에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크게 나타난 문항은 ‘젓가락을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하기’, ‘대화할 때 갑자기 끼어들어 이야기하지 않기’, ‘연필을 올바른 방법으로 잡고 글자 쓰기’였다. 유아교사와 초등교사가 인식한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학업기술 영역을 제외하고는 학교준비도의 중요도는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수행정도는 유아교사가 초등교사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는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거의 유사하게 인식하였지만, 초등교사는 중요도를 높게 인식한 것에 비해 수행정도는 낮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양방향적인 유·초 연계가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가정과의 연계를 도모하기 위해 부모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ortance and children’s performance degree of school readines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performance degree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1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each a 5-year-old class at a kindergartens or had taught them within the past 3 years, and 1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each the first grade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or had taught them within the past 5 years. To measur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of school readiness, surveys used in the research done by Lee(2005) and Bang(2013) were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aximum and minimu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Bo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school readiness were generally important in all areas, but the area of academic skills was perceived to be less important than other are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asic lifestyle habits, social interaction, academic skills, learning propensity and attitude more highly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tem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ach area were 'toilet-trained’ and ‘separation from paren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performance degree of school readines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ren's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readiness to be slightly higher overall and in all area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o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that children performed best in the academic skills area and least in the social interaction area. The item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ach area were ‘Using chopsticks in the right way,’ ‘Not interrupting a conversation,’ and ‘Holding a pencil in the right way’ Third, except for the area of academic skil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to be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performance degree to be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to be similar, b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s high while performance degree was low.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ed for a two-way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the need for parent-education to promote connection with the family were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