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for Clean-up Instruction Plan for 3-year-old Children’s Class
Authors
김수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정리정돈, clean-up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학급 유아에게 적합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공립 단설 유치원인 새솔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솔잎반 유아 12명과 교사 1명이다.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2023학년도 1학기의 만 3세 학급의 일일교육계획안과 환경구성 사진을 검토하여 정리정돈 시간 유아 지도 방안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8월 10일부터 2023년 11월 5일까지이며, 만 3세 유아에게 적합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을 실행했다. 연구는 만 3세 솔잎반에서 이루어지는 정리정돈 지도 방안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 순서로 실시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유아 면담, 비디오 녹화, 사진 촬영, 놀이영역별 정리정돈 수행 체크리스트, 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 활용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을 수집한 후 이를 범주화, 부호화하여 연구 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체계적인 정리정돈 지도의 필요성, 정리정돈에 적절한 환경 마련의 필요성, 유아 주도적인 정리정돈 시간 운영의 필요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정리정돈 지도하기, 정리정돈에 적절한 환경 마련하기, 유아 주도적인 정리정돈 시간 운영하기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1차 실행 방안으로 유아의 정리정돈 행동을 관찰하여 정리정돈 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정리정돈을 지도했으며, 정리정돈에 적절한 물리적, 시간적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유아 스스로 정리정돈의 규칙 및 자리를 정하고 정리정돈의 시작 시간을 결정해보도록 하였다. 1차 실행 결과 유아의 정리정돈 수행 수준 및 자율행동이 증가하였으나, 유아가 정리정돈 시간에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도록 지도해야 하며 개별적인 정리정돈의 필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정리정돈을 수행하도록 지도해야 함을 인식하였다. 이에 따른 2차 실행에서는 정리정돈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형성하기, 개별적인 정리정돈의 필요성 지도하기가 이루어졌다. 둘째,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에 따른 유아의 반응은 정리정돈 수행 수준 증가, 정리정돈에 대한 자율행동 증가, 정리정돈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형성으로 나타났다. 교사에게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정리정돈에 대한 교육적 가치 재인식과 정리정돈 지도에 대한 교수 효능감이 신장 되었다. 본 연구는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만 3세 유아에게 적합한 정리정돈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정리정돈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정리정돈 지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이끌고 지도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정리정돈 시간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d implement a clean-up instruction plan suitable for 3-year-old children’s class and to find out the responses of children and teacher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ppropriate clean-up instruction plan for 3-year-old children’s class? 2. How do children and teachers react to the clean-up instruction plan implemented for 3-year-old children’s class? Conducted in 3-year-old children’s class at Sae-sol Kindergarten, a public kindergarten in Hwaseong City, Gyeonggido, the study included 12 children and one teacher from Sol-lip class. The study’s approach involved analyzing the problems in current instruction plan during clean-up time by reviewing daily educational plans and environmental composition photographs from the 3-year-old children’s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Running from August 10, 2023, to November 5, 2023, the study focused on executing clean-up instruction plan suitable for 3-year-old children. The study recognizes problems with the clean-up instruction plan implemented in the Sol-lip Class and seeks solutions accordingly, first execution, first evaluation and second resolution seeking, second execution, evaluation of first and second execution was carried out. Data collection methods during the study period encompassed child interviews, video recordings, photography, clean-up performance checklists for each play area, and the use of child autonomy assessment tools. Further, the study involved gather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plans and a research journal, categorizing and coding the data for a thorough analysis of each research question. The study produc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effective clean-up instruction plan to 3-year-old children’s clas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guidance, the need to provid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clean-up, and the need for child-led clean-up time. Addressing these aspects, the study devised solutions for systematic guidance, providing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clean-up, and operating a child-led clean-up time. The first execution involved observing children’s clean-up behaviors to establish a structured plan, providing a physical and timely environment suitable for clean-up, and encouraging children to set their own rules and start times for clean-up. As a result of the first execution, children's level of clean-up performance and autonomous behavior increased, but it was recognized that children should be taught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during clean-up time and taught to perform clean-up based on recognition of the need for individual clean-up. Accordingly, the second execution involved forming positive emotions about clean-up and providing guidance on the need for individual clean- up. Secondly, the children's response to the clean-up instruction plan for 3-year-old children’s class showed an increase in the level of clean-up performance, an increase in autonomous behavior regarding clean-up, and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erception of clean-up. Teachers were re-aware of the educational value of clean-u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teaching efficacy in teaching clean-up was increa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s the need to find a way to teach clean-up for 3-year-old children’s class, while also suggesting a way to teach clean-up that is suitable for 3-year-old childre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in the field who have difficulty with clean-up instruction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clean-up instruction and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instruction methods to effectively manage clean-up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