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애령*
dc.contributor.author나소영*
dc.creator나소영*
dc.date.accessioned2024-02-14T02:51:48Z-
dc.date.available2024-02-14T02:51:48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194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194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418-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지구가 엉망이 되면서 지금의 생태 위기는 ‘인류세’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인간 종의 활동을 강조하는 ‘인류-’라는 접두어에도 불구하고, 전 지구적으로 일상화된 기후 재난이나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사건들은 인간만이 이 세계를 만드는 주요 행위자는 아니라는 점을 드러내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연이 단순한 인간 사회의 배경이 아니며, 여러 비인간 존재자들이 모종의 행위성을 가지고 인간과 함께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신유물론의 관점은 생태 문제를 사유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신유물론은 실천성의 측면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지닌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존재론적 차원에서 물질의 ‘행위성’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서로 다른 행위성의 종류가 구분되지 못하기 때문에 각각의 ‘행위자’들이 집합체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모호해지고, 이에 따라 인간의 차등적 책임 또한 묻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기술적으로 매개된 ‘인류세’ 생태 위기의 맥락 속에서, 인간과 여러 수준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비인간의 ‘행위성’을 체계적으로 구분하면서 인간의 차등적 책임을 약화시키지 않는 탈인간중심주의 정치학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이 존재론적으로 동등한 층위에 놓이는 ‘생기적 물질성’을 강조하는 제인 베넷의 생기적 유물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헤일스의 인지적 집합체 프레임워크를 통해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탈인간중심주의 정치학을 모색한다. 본 논문은 여러 층위의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생태 위기가 발생하고 있는 ‘인류세’ 시대에 헤일스의 인지적 집합체 프레임워크가 실천성을 확보하면서 탈인간중심주의 정치학을 모색할 수 있을 개념적 토대가 되어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헤일스는 의식적 자각 없이 작동하는 비의식적 인지를 중심으로 행위성의 표준이 되는 인간의 의도적 행위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면서, 또한 다른 비인간 인지자(cognizer)들을 인지 개념 하에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인간을 탈중심화한다. 인간만이 아닌 인지자들이 함께 의미를 만들면서 서로가 행위하는 맥락과 조건을 변화시키는 인지적 집합체 안에서, 인간은 의미를 만드는 유일한 존재가 아니며 의미가 만들어지는 맥락과 수준을 결코 통제할 수 없다. 베넷이 ‘생기적 물질성’으로 행위성을 뭉뚱그리면서 집합체 내의 각각의 요소들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또 그 사이에 어떤 동역학이 있는지를 모호하게 만들고, 이에 따라 인간의 차등적 책임을 약화시키는 귀결로 이어진다면, 헤일스는 선택과 해석을 한다는 점에서 지향적 성격을 갖는 인지 개념을 중심으로 인지적 행위자(actor)와 비인지적 작용자(agent)를 구분하고, 선택과 해석을 하지 않는 물질적 과정을 윤리적 함의를 갖는 행위자(actor)의 범주에서 배제한다. 또한 그는 집합체 내의 행위자가 갖게 될 책임 역시 각각의 행위자가 윤리적 행위를 할 수 있을 잠재적 역량에 따라 다르게 할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헤일스는 기술적 시스템이 인간의 직접적 개입 없이 의사결정을 내리는 인지적 집합체에서 기술적 행위자에 비해 인간 행위자가 갖는 비대칭적 책임을 강조하지만, 이때 인간은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는 특권적 위치에서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다. 인지적 집합체의 결과로 맥락과 조건이 변화하고, 그 속에서 인간의 인지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지적 집합체 안에서 인간은 규제나 통제가 아니라, 자신이 연루된 집합체 내에서 벌어지는 동역학을 알아차리고, 이 집합체를 다른 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 변곡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다.;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has been called the "Anthropocene,” as human activity has wreaked havoc on the planet. Despite the prefix "anthropo-,” which emphasizes the activities of the human species, events like climate disasters and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ve become common, reveal that humans are not the only major actors in shaping our world. In this context, the new materialist view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approach to thinking about ecological issues, asserting that nature is not merely a backdrop for human society. It emphasizes non-human beings have some kinds of agency, collectively constituting the world with humans. However, new materialism has faced criticism due to its inherent impracticality. This is because emphasizing the “agency” of matter at the ontological level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agencies, making it challenging to ascertain the role of each element in the assemblage, and hence, the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 of humans. Therefore, in the context of the technologically mediated ecological crisis of the “Anthropocene,”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post-anthropocentric politics. This paper seeks to systematically distinguish the “agency” of non-humans interacting with humans on multiple levels, while not undermining the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 of human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which highlights the concept of “vital materiality.” This concept suggest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re placed on an ontologically equal level. The paper also explores Hayles' cognitive assemblage framework, which enable the development of a post-anthropocentric politics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identified by Bennett’s vital materialism.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Anthropocene, an era of ecological crisis resulting from complex interactions at multiple levels, Hayles' cognitive assemblage framework can provide a conceptual basis for exploring a post-anthropocentric politics that is practicable. Hayles critically reconstruct human intentional action which is the standard conception of agency by focusing on nonconscious cognition that operates without conscious awareness, while also de-centering humans by situating other non-human cognizers on a continuum under the concept of cognition. In a cognitive assemblage in which non-human cognizers make meaning together, changing the context and conditions in which they act, humans are not the only ones making meaning and can never control the context and level at which meaning is made. Whereas Bennett's lumping of agency into “vital materiality” obscures the role of each element in the aggregate and the dynamics between them, leading to an undermining of differentiated human responsibility, Hayles focuses on a concept of cognition that is oriented towards making choices and interpretations, distinguishing between cognitive “actors” and non-cognitive “agents,” and excluding material processes that do not make choices and interpretations from the category of actors with moral and ethical implication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actors in the cognitive assemblage are also as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otential capacity for ethical action. Hayles emphasizes the asymmetrical responsibility of human actors compared to technical actors in cognitive assemblage, wherein technical systems make decisions without direct human intervention. But humans are not responsible from a privileged position of control over the system. In cognitive assemblage, humans can intervene, not by regulating or controlling, but by noticing the dynamics of the assemblage in which they are involved and seeking for inflection points that can send the assemblage in a different dire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제인 베넷의 생기적 유물론 10 A. 생기적 물질의 일원론적 존재론과 배치(assemblage)의 행위성 10 1. 베넷의 문제의식 10 2. 생기적 물질의 일원론적 존재론과 배치의 행위성 12 3. 2003년 미국 대정전 사태에서의 분산된 행위성과 책임의 문제 15 4. 사물의 민주주의 및 생기적 유물론의 윤리적 함의 17 B. 의의 및 한계 20 1. 의의 20 2. 한계: 정치적 분석에 있어서의 불충분성과 인간이 갖는 책임의 약화 21 가. 생기적 물질성의 문제: 층위 구분의 삭제 22 나. 배치의 ‘우발적’ 행위성의 문제: 결정되는 맥락의 탈각 24 다. 지향성의 삭제 및 투사 24 C. 행위성의 종류를 구별하여 집합체에서의 역할을 분명히 하기 27 Ⅲ. 캐서린 헤일스의 인지적 집합체(cognitive assemblage) 30 A. 탈인간중심적 인지 개념화: 의식적 사고에서 정보 해석으로 30 1. 의식의 구조적 한계와 비의식적 인지 32 가. 의식의 통합성과 그에 따른 구조적 한계 34 나. 의식의 접근 없이 정보를 처리하는 비의식적 인지 37 다. 비의식적 인지와 의식의 연결 관계 38 2. 인간 너머로 확장되는 인지 41 가. 비인간 생명체의 인지 41 나. 식물 ‘지능’ 주장의 양가성 45 3. 비인간 생명체 및 기술적 시스템을 포괄하는 인지 개념과 그 함의 47 B. 인지적 과정과 물질적 과정의 구분 55 1. 인지의 삼분할 프레임워크 55 2. 행위자(actor)와 작용자(agent)의 구분 56 가. 물질적 층위의 구분 57 나. 물리적 힘의 인과적 작용과 지향적 행위 사이의 구분 59 다. 행위자(actor)와 작용자(agent)의 구분 61 C. 인지적 집합체에서의 분산된 행위성과 책임의 비대칭성 63 1. 인지적 집합체에서의 분산된 행위성과 비대칭적 책임 63 2. 인간-기술 인지적 집합체에 대한 인간의 개입: HFT의 경우 67 D. 의의 및 한계 71 1. 의의 71 2. 한계: 인지적 집합체에서 생물권(biosphere)의 누락 73 Ⅳ. 결론: 행위성의 차이를 식별하는 탈인간중심주의 정치학을 향하여 76 참고문헌 82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42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1*
dc.title‘인류세’ 시대 탈인간중심주의 정치학의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베넷의 생기적 유물론과 헤일스의 인지적 집합체(cognitive assemblage)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oward a post-anthropocentric politics in the “Anthropocene” era : focusing on Bennett's vital materialism and Hayles' cognitive assemblage*
dc.creator.othernameNa, So Yeong*
dc.format.pagev,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