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 Download: 0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이 손아래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이 손아래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ibling support program on the ego-resilience and sibling relationships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Authors
신지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장애 형제, 비장애 형제, 형제 관계, 자아탄력성, 형제지원 프로그램, siblings, sibling support program, resilience, sibling relationship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가족은 삶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는 집단이며, 그 중 형제관계는 미래의 삶에 오랜 기간 함께 영향을 주고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그 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특히 비장애 형제들은 장애 형제가 없는 또래보다 그들의 형제를 돌보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때문에 비장애 형제가 느끼는 형제관계는 더 크게 느껴질 수 있다. 비장애 형제들은 장애 형제가 없는 또래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이들은 장애 형제와 함께하면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동시에 경험하며 정서적인 혼란을 경험한다. 이러한 정서적 혼란은 비장애 형제들에게 스트레스 상황이 될 수 있으며, 개인과 형제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장애 형제들에게 자신의 다양한 감정을 조절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정서적 역량을 강화하고, 더 나은 형제관계를 위하여 비장애 형제의 요구를 고려한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 형제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장애 형제와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실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및 경기도에 거주 중인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비장애 형제 6명이다. 비장애 형제 6명을 대상으로 총 12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 증진 및 형제관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비장애 형제만 참여하는 회기와 장애형제와 비장애 형제가 함께 참여하는 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비장애 형제만 참여하는 1~7회기는 감정과 형제의 장애를 이해할 수 있는 회기로 구성되어 형제의 장애에 대하여 궁금했던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과 함께 여러 가지 감정을 알아보고, 형제와 함께하는 상황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을 떠올려보며 나를 편안하게 하는 감정과 불편하게 하는 감정을 구분해보았다. 이후 나를 불편하게 하는 감정을 조절하고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고, 평소 형제와 자주 갈등이 발생하는 상황을 예시로 어떻게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활동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이후 5번의 회기는 장애 형제와 함께 참여하여 형제의 강점을 찾아보고 함께하는 즐거움을 쌓을 수 있는 내용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프로그램을 형제의 장애 유형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이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형제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에서 수집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그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아탄력성 및 형제관계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변화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참여자의 변화를 양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수집된 필드노트와 개별 면담 전사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그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를 양적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변화의 정도가 소폭 하락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관련한 변화를 질적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불편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변화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비장애 형제의 형제관계의 사전검수와 사후점수를 양적 분석한 결과 그 점수가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비장애 형제의 형제관계와 관련한 변화를 질적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형제에 대한 이해의 증가’, ‘긍정적인 마음의 증가’,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가’의 주제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장애 형제와 그들의 장애 형제가 동시에 참여하는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했다는 것, 장애 유형과 출생 순서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는 것, 비장애 형제의 정서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요소를 추출하여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amilies wield considerable influence on individuals' lives, and among familial ties, sibling relationships have lasting potential to shape future experiences. This underscor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these relationships. Specifically,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invest more time in caring for their siblings compared to peers without disabled sibling. Consequently, the impact of the sibling relationship on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tends to be more pronounced.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face unique challenges compared to their peers without disabled siblings, experiencing a mix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resulting in emotional complexity. This confusion can be stressful fo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negatively impacting individuals and sibling relationships. Strengthening emotional resilience is crucial, along with providing a sibling support program tailored to the needs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for fostering better relationshi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d implement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fo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The program aims to enhance their ego-resilience and improve relationships with siblings who have disabilities, and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study involved six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12-session program. The program comprised sessions exclusively fo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and others involving bo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The sessions 1 to 7, exclusive to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were designed to help them comprehend their emotions and better understand their siblings' disabilities. During these sessions, participants explored their curiosity about their siblings' disabilities, identified feelings of comfort and discomfort, and gained insight into potential experiences in situations involving their siblings. Subsequently, the program incorporated activities aimed at embracing diverse approaches to managing and resolving uncomfortable emotions, and it provided examples of situations where conflicts commonly arise with siblings to facilitate conflict resolution. After that, the five sessions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allowed them to participate with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o find the strengths of the siblings and build joy together. The program organized in this way was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siblings' disability types.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we sought to validate the observed changes by analy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Our goal was to understand how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fo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impacts their ego-resilience and sibling relationships. Quantitative changes were assess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re- and post-scores in ego-resilience and sibling relationships. Additionally, to complement these findings, qualitative data, including field notes and individual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further substantiate and confirm the observed chang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quantit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test scores for the ego-resilience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showed non-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Qualitative data analysis indicated notable shifts in ‘ability to control uncomfortable emotions’ and ‘attitude to solve problems’ resulting from program participation. Secondly, alth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test scores for the sibling relationship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positive shifts were evident in all sub-areas.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firmed shifts in ‘increased understanding of siblings’, ‘increased positive mindset’, and ‘increasing positive interaction’ resulting from program particip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a sibling support program in which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at the same time, took into account the type of disability and birth order, and developed and applied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fo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by extracting factors to strengthen the emotional capacity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