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 Download: 0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teaching Social and Emotional Program on Social Skill and Emotional Regulation for Inclusive Class Children
Authors
조경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협력교수, 사회정서 프로그램, 사회성 기술, 정서조절, 통합학급, 유아특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인공지능에게 대체되지 않는 인간 고유성이 강조되며, 세계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 사회정서역량이 강조된다. 사회정서역량은 장애유아를 포함한 모든 유아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 자연적인 환경에서 모든 유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예방적·보편적·조기 개입의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통합학급은 다양한 유아가 생활하고, 협력교수가 가능한 점에서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적용되기에 최적의 환경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실행되는 학급차원의 사회정서 프로그램의 선행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으며,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가 이전부터 계속 강조되었음에도 장애유아와 정서행동장애위험유아를 포함하는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의 연구는 부재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S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4세 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유아 2명과 정서행동장애위험 유아 1명, 그리고 이들이 속해있는 통합학급 유아 15명과 통합교사 2명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은 멋진 나날(Incredible Years)의 공룡 교육과정(Dinosaur Curriculum) 회기 중 일부를 추출한 후 통합학급과 장애유아에 맞게 개발한 총 28회기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학급 담임교사 2명과 특수교사가 통합학급 교실에서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협력교수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 질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양적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방법으로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합학급 유아들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장애유아와 정서행동장애위험유아는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질적연구는 통합교사 2인에 대한 세 차례의 개별 면담 전사본, 교사 협의 내용 및 연구자의 반성적 성찰 일지, 수업 중 제작물 및 활동 자료, 매 회기 수업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먼저 통합학급 유아들의 사회성 기술 점수의 총점 및 하위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유아들의 정서조절 점수의 총점 및 하위점수는 모두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총점 및 하위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내 정서행동장애위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 각각의 총점 및 하위점수 모두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증가하였다. 셋째,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사회성 기술의 변화, 정서조절의 변화, 학급 분위기의 변화라는 3가지 대주제와 그에 따른 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양적연구 결과를 통해서는 통합학급 유아들의 사회성 기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서조절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애유아와 정서행동장애위험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질적연구를 통해 양적연구에서 나타내지 못했던, 유아들에게 프로그램이 미친 효과를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 비장애유아, 정서행동장애위험유아, 장애유아를 포함한 통합학급 전체유아를 대상으로 중재를 제공하고 이들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을 측정, 비교하여 통합학급 차원에서 협력교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통합학급 학부모가 모두 참여하는 가정연계를 실행하였다는 점, 미국에서 개발된 증거기반의 프로그램인 멋진 나날들의 공룡 교육과정을 처음 국내에 적용하여 향후 국내의 적용 및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s human uniqueness, which cannot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mphasizes social-emotional competence to enjoy a healthy life in relationship with diverse people. Social-emotional competence is a requirement for all young children,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Hence, it requires preventative, universal, and early intervention that benefit all children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inclusive class is an ideal setting for social and emotional program because it allows interactions between diverse children and enable co-teaching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prior researches on class-level social-emotional programs and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s that includ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despite the fact that co-teaching in inclusive class has been emphasized in the past.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in children within the inclusive clas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4-year-old class, 16 children enrolled in the same inclusive class and 2 inclusive teachers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South Korea,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a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 is a 28-lesson program developed for inclusive class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was adapted from particular sessions of the Dinosaur Curriculum in Incredible Years. This program was applied in co-teaching method in which 2 general teachers and a special teacher conduct classes together in an inclusive class. Mixed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quantitative study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that conducted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tests on inclusive class children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hanges in pre-post-test scores of children in inclusive class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s t-tests and Wilcoxon code ranking test, and change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pre-post-test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entire transcript of thre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two inclusive teachers, the contents of the teacher consultation and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 production and activity data during class, and class video data for each s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s on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of inclusive class children, the total and sub-scores of the social skills scores of inclusive class children increased in pos-test compared to the pre-test, but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the total and subscore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score of the inclusive class children increas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of total and subscor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behavior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class showed increase in both total and sub scores of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in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inclusive teachers’perceptions of on the impact of the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 on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s of inclusive class children, 3 major themes of (1) change in social skill, (2) change in emotional regulation, and (3) change in class atmosphere, and corresponding 9 sub-themes were identified. In conclusion,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o-teaching-based social-emotional program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al skills of inclusive class children, but rather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emotional regulation. Moreover, the program showed improvements in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behavior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study enabled ou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 that the quantitative study did no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intervention for all inclusive class children, includi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Moreover, this study measured and compared their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proposed a social-emotional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e inclusive class through the co-teaching method. In addition,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implementing a family connection in which all parents of the inclusive class were participated, and first applying the curriculum of Dinosaur Curriculum of Incredible Years in Korea, an evidence-based program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showing the possibility of future application and expansion within local education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