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 Download: 0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여자 전공자들의 음성위생 습관 및 주관적·객관적 음성평가 비교

Title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여자 전공자들의 음성위생 습관 및 주관적·객관적 음성평가 비교
Other Titles
Vocal Hygiene Habits and Comparis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Voice Evaluation Among Female Vocal Majors in Classical and Applied Music
Authors
김서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K-SVHI, 음성위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직업적 음성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는 계약 또는 사회적 필요에 의해 음성을 사용하는 직업의 종사자로서 임의로 음성 사용을 조절하기 어렵다(표화영, 2011). 이들은 비직업적 비음성 사용자(Non-vocal Non-professional)에 비해 직업 특성상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 문제 발생 시 일상생활이나 직업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매우 크다. Koufman과 Isaacson(1991)은 직업적 음성 사용 수준에 따라 4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는데, 이 중 전문적 음성사용자(Elite Vocal Performer)는 음성의 수요와 음성사용량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대표적인 직업군은 성악가나 실용음악 가수가 있다. 성악가와 실용음악 가수는 노래 부르는 것을 직업으로 하며, 무리한 가창 활동, 심한 성대접촉, 음성 오남용 등으로 음성에 문제가 생겼을 때 성대 결절이나 성대 폴립, 근긴장성 발성장애와 같은 음성 장애가 발병할 위험성이 매우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김재옥, 2015; Koufman & Isaacson, 1991). 반면에 두 직업군은 발성법 측면에서 크게 발성, 호흡, 공명, 표현기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성악의 경우, 횡격막을 이용한 복식 호흡에 기초하여 흉부, 구강, 두부 등을 울리며 공명을 통한 아름다운 소리를 추구한다. 또한 멀리까지 소리가 뻗어나갈 수 있도록 두부 공명을 사용하며, 악보에 제시된 악상 기호를 동일하게 표현하되, 연습 정도에 따라 음악 감동의 차이가 나타난다(안병진, 2011). 실용음악 보컬의 경우, 곡의 의도나 특징에 따라 전형적인 발성을 사용하지 않으며, 복식 호흡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자신의 타고난 목소리를 잘 나타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흉부와 두부 공명을 사용하며, 곡에 표현된 작곡가의 의도와 함께 가수 본인의 개성을 즉흥적으로 표현한다(안병진, 2011). 이처럼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은 장르에 따라 각각 선호하는 음색이 다를 수 있어 자신의 음성에 대한 인식 또한 다르며, 그에 따라 음성 문제 인식 정도가 다를 수 있다(이다혜 외, 2014). 실용음악 보컬의 경우, 팝, 록, 재즈 장르에서 흉성을 아주 높은 음역까지 가지고 가는 벨팅(belting)을 자주 사용하는데, 과하게 사용하면 쉰 소리가 나거나 성대 결절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6). 그러나 대부분의 가수들은 거친 음질이나 기식 음성을 오히려 개성 있는 음질로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음성 문제에 민감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이다혜 외, 2014). 따라서 같은 전문적 음성 사용자 집단임에도 음악 장르에 따라 삶의 질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기에 이를 세밀하게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표적인 주관적 음성 평가도구로 성악가나 가수 등 노래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직접 느끼고 경험한 음성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 SVHI가 있으며(Cohen et al., 2007), K-SVHI(Korean-Singing Voice Handicap Index)가 이아람(2008)에 의해 한국어로 번안되었다. 그러나 최적의 음성평가를 위해서는 어느 특정한 영역의 편중된 평가 방법이 아닌 자기 보고식 주관적 평가와 음향 분석 기기를 이용한 객관적 평가의 다차원적인 평가가 필요하다(Ma & Yiu, 2006). 특히, 다수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주관적 음성평가와 객관적 음성평가 결과가 불일치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백유진 외, 2022; 이상아 외, 2012; Wheeler et al., 2006). 이와 함께 전반적으로 음성 질환의 위험성에 상대적으로 크게 노출되어 있는 성악가, 가수 등 공연예술가들은 음성위생이나 음성 관리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Braun-Janson & Zeine, 2009; Santa Maria et al., 2021; Weekly et al., 2018), 실용음악 보컬 전공자가 성악 전공자에 비해 더 좋지 않은 음성위생 습관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Lloyd et al., 2020). 따라서 노래 부르기를 직업으로 하는 같은 전문적 음성 사용자 집단이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음악적 장르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음성평가 및 진단을 위해서는 이들을 위한 차별화된 음성위생 설문 문항과 종합적인 음성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남성에 비해 여성의 성대 진동 횟수가 더 많기 때문에 성대 결절 등 음성 장애가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Vilkman, 2000), 음성 문제를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mith et al., 1998).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악 여자 전공자 30명, 실용음악 보컬 여자 전공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음성 문제 및 증상, 음성위생 습관 특성을 알아보고, K-SVHI 총점 및 하위영역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객관적 음성 평가도구인 MDVP와 VRP를 통해 음향학적 특성을 함께 살펴봄으로서 총체적인 음성평가를 실시하여 주관적 음성평가 도구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 문제 및 증상 분석 결과, 음성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두 집단의 대상자들 모두 음량 장해, 성량 부족, 목 쉰소리, 피로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위생 습관 특성 분석 결과,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여자 전공자 모두 노래 후에 성대를 다듬는 연습(쿨 다운)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과 음주, 카페인 섭취 정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간 K-SVHI 총점 및 하위영역별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결과, K-SVHI 총점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확인되었으며, 하위영역에서는 감정 영역과 기능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간 음향학적 분석 요소(F0, jitter, shimmer, NHR, 최고 및 최저 주파수, 주파수 범위, 최대 및 최소 강도, 강도 범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결과, MDVP의 변수 jitter, shimmer, NHR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VRP의 변수인 강도 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첫째,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노래 후에 음성을 다듬는 연습(쿨 다운)을 잘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밝혀졌으며,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정도는 양호하였으나 아직까지 전반적인 음성위생에 대한 관리 및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악 여자 전공자 집단과 실용음악 보컬 여자 전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주관적 및 객관적 음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주관적 음성평가인 K-SVHI에서는 성악 여자 전공자 집단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의 음성 문제에 대해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객관적 음성평가인 MDVP에서는 실용음악 보컬 여자 전공자 집단의 음질이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같은 직업군에 속하는 전문적 음성 사용자 집단이지만 각 집단이 느끼는 음성 문제 인식에 대한 차이로 인해 주관적 및 객관적 음성 평가도구 결과가 차이가 날 수 있어 주관적 음성 평가도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할 수 있다. 이에 그들의 음성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데 주관적 음성 평가도구가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Classical singers and popular singers sing as a profession, and there is a high risk of developing voice disorders when voice problems arise due to excessive singing activities or misuse of the voice. And there is a high risk of experiencing vocal damage, anxiety, and emotional stress related to performing. These two occupations have a lot in common,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The two occupational groups show differences in vocalization, breathing, resonance, and expression techniques,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lassical singers generally use‘bel canto’vocalization to resonate the chest, oral cavity, and head, focusing on allowing the beauty of the sound itself to extend far away. In the case of breathing, based on abdominal breathing using the diaphragm, the chest, mouth, and head resonate and beautiful sounds are pursued through resonance. In addition, the musical symbols presented in the score are expressed identically. On the other hand, popular singers use atypical vocalizations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y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 and mainly breathe through the abdomen, but also use chest breathing when breathing is insufficient. In addition, it is rare to use nasal-centric head resonance, and many original techniques are used to express one's individuality. Classical singers and popular singers may have different voice characteristics or preferred timbres, so their perception of their own voice may also be different, and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voice problems as a result(Lee et al., 2014). In particular, popular singers often use powerful high-pitched vocalizations called belting, and if used excessively, the risk of voice disorders is very high. However, as most popular singers prefer unique sound quality, they may not be sensitive to problems with their own voice. K-SVHI(Korean-Singing Voice Handicap Index) is a Korean-translated voice evaluation tool that can evaluate feelings and attitudes about their voice when singing. Especially, classical singers and popular singers need to evaluate their voice problems in detail because they cause fatal damage. For people who use their voice professiona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not only a subjective voice evaluation but also an objective voice evaluation to accurately evaluate voice problems. Voice care awareness and vocal hygiene habits are very important for classical singers and popular singers. Due to participation in many performances and audition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voice use is high, so sufficient voice hygiene care and management is necessary. In particular, women are more vulnerable than men to protecting their voices from voice abuse(Butler et al., 2001), and women are more likely than men to complain of voice problems and seek medical help for voice problems(Van Houtte et al.,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ocal issues, symptoms, and vocal hygiene habits among 30 female classical vocal music majors and 30 female applied music vocal majors. The study also aimed to determine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otal score and subdomains of the K-SVHI. Additionally, it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oustic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commonly showed neglect in conducting vocal cool-down exercises. Second, the group of classical vocal music maj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and subdomain scores (functional domain, emotional domain) on the K-SVHI compared to the group of applied music vocal major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jitter, shimmer, NHR, and intensity rang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ducation on vocal hygiene was very insufficient. Accordingly, vocal hygiene education must be provided and guidance must be given to self-monitor proper vocal hygiene habits.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voice problems between the two groups may result in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subjective and objective voice evaluation tool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 t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