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 Download: 0

한국 노인에서 상대 악력이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국 노인에서 상대 악력이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ssociation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on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in elderly Koreans.
Authors
손여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상대 악력, 당뇨병, 일반화 추정 방정식, Relative muscle strength, Diabetes mellitus,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상화
Abstract
1. 연구 배경 당뇨병은 특히 고령 인구에서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노인에서 당뇨병 발병 예방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포괄적 노인 기능평가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구성 항목 중 하나인 절대 악력은 신체 건강의 척도 중 하나인 근육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노인의 노쇠평가 도구로도 사용이 되며 노인의 근육감소증 진단 및 건강 예후를 확인하는 빠르고 비용 효과적이면서 비 침습적인 도구로서 많은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표이다. 절대 악력은 체중이나 신장과 같은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체질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규모 연구나 임상에서 절대 악력 값을 혼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BMI로 나눈 값인 상대 악력을 사용하여 체질량지수의 증가와 낮은 근력의 위험을 동시에 평가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에서 한국 노인에서의 상대 악력과 당뇨병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65세 이상 한국 남녀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하여 상대 악력과 당뇨병 발병 간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06년 1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당시 당뇨병이 없는 65세 이상 한국 남녀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2020년까지 추적관찰 기간 동안 악력과 당뇨병 발병 간의 오즈비(Odds Ratio, OR)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일반화 추정 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대 악력에 따른 당뇨병 발병의 경향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3. 연구 결과 본 연구대상이 된 노인에서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군(하위수준, 1st Tertile)에 비해 중위수준(2nd Tertile)(OR 0.82, 95% CI 0.68-0.99, p value 0.04) 과 상위 수준(3rd Tertile)(OR 0.78, 95% CI 0.61-0.99, p value 0.04) 집단의 당뇨병 발병의 오즈비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성별로 층화하여 분석했을 때에는 여성 노인에서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군(1st Tertile)에 비해 중위수준(2nd Tertile) (OR 0.75, 95% CI 0.60-0.95, p value 0.02)에서 당뇨병 발병의 오즈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상대 악력에 따른 당뇨병 발병에 대한 경향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전체 성별, 남성, 여성 모두에서 상대 악력이 커질 수록 당뇨병이 발병할 오즈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4. 결론 한국 노인에서 상대 악력이 높을수록 당뇨병에 미치는 위험 확률인 오즈비가 낮아졌다. 상대 악력은 외래에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신체기능 및 근력의 대리지표이며본 연구의 연구 결과, 상대 악력을 당뇨병 발병에 있어 유용한 예측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반복측정된 패널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단면연구들에 비해 결과값의 연관성을 보다 인과관계에 가깝게 추론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역인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 등을 포함한 시간적 선후관계를 고려한 연구모형을 적용하고, 생물학적 기전을 밝힐 수 있는 추가연구를 통해 보다 명확한 인과성을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Introduction Diabetes mellitus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particularly in the elderly population. Research aimed at establishing preventive strategies for diabetes mellitus in the elderly are, thus, necessary. Absolute handgrip strength, a component of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serves to quantify muscle strength, a critical health indicator. This parameter is a rapid and cost-effective diagnostic for sarcopenia, ascertains the health prognosis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serves as a non-invasive indicator. Absolute handgrip strength is influenced by physical attributes, such as weight and height, which links it to body mass. It is recommended that the risk of low muscle strength and increased body mass be concurrently evaluated using relative handgrip strength. There is currently insufficient evid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diabetes mellitus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Thus,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diabetes mellitus in Korean men and women aged ≥65 years was investigated. Methods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ere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R) between handgrip strength and diabetes mellitus during the follow-up period from 2006–2020 among Korean men and women aged ≥65 years without diabetes mellitus when they first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ethod.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for diabetes mellitus development based on relative handgrip strength. Results Compared to the tertile with the lowest relative handgrip strength, ORs for newly-onset diabetes mellitus in the middle and upper tertil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Middle tertile: OR 0.82, 95% CI 0.68-0.99, p value 0.04.) (Upper tertile : OR 0.78, 95% CI 0.61-0.99, p value 0.04.) Among elderly females, ORs for newly-onset diabetes mellitus in the middle tertil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owest relative handgrip strength group(OR 0.75, 95% CI 0.60-0.95, p value 0.02). Trend tests indicated a substantial decrease in the OR as the relative handgrip strength increased for all sex groups. Conclusion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a higher relative handgrip strength was associated with a lower OR of developing diabetes mellitus. Our findings suggest that relative handgrip strength can serve as a valuable diabetes mellitus diagnostic predict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