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4 Download: 0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과 집행기능의 관계

Title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과 집행기능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velopment delay
Authors
오유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With the world becoming more interconnected, bilingualism is becoming the norm rather than the exception. Some countries support bilingual populations due to their cultural and linguistic diversity, and the increased mobility between countries has lead to a rise in the number of bilingual individuals across all societal levels (Bialystok, 2009). Crystal(1997) estimates that worldwide, bilingualism, which includes English and other languages, encompasses 235 million people, and two-thirds of the world's children grow up in a bilingual environment. As the number of English-speaking people increases due to internationalization,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other than their native language, is also growing in Korea. Social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early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starting age (Hwang, 2007). Interest in the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is growing as the number of bilingual Korean-English children before preschool increases rapidly, resulting from universal early English education. Bilingual children are those who are consistently exposed to two or more languages during the crucial period of dynamic communication development, and they are classified based on their exposure time and language environment (Paradis, Genesse & Cargo, 2011).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y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correlates with literacy and academic performance in both monolingual and bilingual populations (Griffin, Hemphill, Camp, & Wolf, 2004; Miller et al., 2006). Although narrative processing requires complex higher-order processing abilities, no domestic research has confirmed the separation of narrative ability into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spects, nor has it specif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with higher-order cognitive functions, such as executive funct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ies, as well as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velopment delay. Seven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irteen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were between four and six years old. The research procedure included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witching tasks to asses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 Korean Peppa Pig story comprehension task and the English Peppa Pig story comprehension task to assess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ies. Lastly, in order to assess the ability to produce story grammar, two stories were selected from the Multilingual Assessment Instrument for Narrative-Revised (MAIN; Gargarina et al., 2019) and conducted in both Korean and English.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 tasks between the two group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performance differences in both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and the story grammar production task. Lastly,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sub-factors in each group, and each group's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that predict abili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 comparison of executive function task performance between groups, the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tasks, such as non-word repetition, word list recall, and matrix, compared to the bilingual children without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 the Fruit Stroop, an inhibition task, and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DCCS), a switching task, the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ly, the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ha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understanding Korean and English storie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both languages. Third, up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in calculating Korean story grammar and English story grammar, it was found that the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both language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ourth,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sub-factors and story comprehension, as well as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y in each group,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was significantly lower in understanding Korean and English stories, as well as producing both Korean and English story gramma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glish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and the matrix,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orean story grammar calculation performance, word list recall, and English story grammar calculation performance.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delay,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ir Korean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and Korean story grammar production performance. Lastly, after analyzing whether there wer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that significantly explained each group's ability to understand stories and produce story grammar, it was determined that the matrix proved to be a factor significantly predicting English story understanding abilities in the bilingual children group. Word list recall was the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Korean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y. Meanwhile, none of the executive function sub-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tory comprehension ability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y of the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delay group of childre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have difficulties in executive function,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ie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among the group of bilingual children,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ir performance in Korean story comprehension and English story comprehension,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in Korean story grammar production and English story grammar production. This correlation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trong storytelling skills in Korean were also skilled second language (L2) speakers in English. It can be seen that English speaking skills are also significantly high. This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in confirming the development patterns and relationships within and between languages of bilingual children, as the two language abilities of bilingual children coexist and develop. In additi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stories, produce story grammar, and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is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future narrative education and intervention aimed at improving bilingual children's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세계가 더욱 상호 연결됨에 따라 이중언어 사용은 예외가 아닌 규칙이 되어가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으로 인한 이중언어 인구를 지원하며, 국가 간 이동의 증가로 사회 모든 수준에서 이중언어 사용자 수가 증가하였다(Bialystok, 2009). Crystal(1997)은 영어와 다른 언어를 포함하는 이중언어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2억 3500만명에 달하며, 세계 어린이의 2/3가 이중언어 환경에서 자란다고 추정한다. 국제화로 인해 영어 사용 인구 수가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모국어 외 제2언어로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시작 연령 또한 낮아지는 추세이다(황혜신, 2007). 조기 영어교육의 보편화로 취학 전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습득 및 발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중언어 아동은 의사소통이 가장 역동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에 2개 이상의 언어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아동으로 노출 시기 및 언어 환경에 따라 아동을 분류한다(Paradis, Genesse, & Cargo, 2011). 아동의 이야기 능력은 단일언어 및 이중언어 인구 모두의 문해력 및 학업 성과와 관련 있는 중요한 요소임이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Griffin, Hemphill, Camp, & Wolf, 2004; Miller et al., 2006). 내러티브 처리를 위해서는 복잡한 상위 처리 능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내러티브 능력을 이해와 산출로 분리하여 집행기능과 같은 상위 인지 기능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국내 연구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과 집행기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4-6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17명,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13명으로 총 30명이었다. 연구 절차는 아동의 집행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작업기억, 억제, 전환 과제를 실시하였고 이야기 이해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어 페파피그 이야기 이해 과제 및 영어 페파피그 이야기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Multilingual Assessment Instrument for Narrative-Revised(MAIN; Gargarina et al., 2019)의 이야기 중 2개를 선별하여 한국어와 영어로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집행기능 과제에 따른 수행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야기 이해 과제에 따른 수행 차이를 확인하고, 이야기 문법 산출 과제에 따른 수행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에서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과 집행기능 하위요소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산출하였으며, 각 집단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을 예측하는 집행기능 하위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집행기능 과제 수행력 비교에서 작업기억 과제인 비단어 따라말하기, 단어목록회상, 매트릭스에서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수행력이 이중언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억제 과제인 과일 스트룹과 전환 과제인 차원전환카드분류에서도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수행력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두 집단의 한국어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영어 이야기 이해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두 언어 모두에서 이중언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두 집단의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과 영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두 언어 모두에서 이중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수행력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넷째, 각 집단에서 집행기능 하위요소와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 일반아동 집단의 한국어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영어 이야기 이해,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영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영어 이야기 이해 수행력은 매트릭스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과 단어목록회상, 영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한국어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별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는 집행기능 하위요소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영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요인이 매트릭스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요인은 단어목록회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이야기 이해 능력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집행기능 하위요소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중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집행기능과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중언어 일반아동 집단에서 한국어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영어 이야기 이해,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영어 이야기 문법 산출 수행력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는 점에서 높은 한국어 이야기 능력을 가진 아동은 제2언어(L2)인 영어 이야기 능력도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중언어 아동의 두 언어 능력은 공존하며 발전하므로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내 및 언어 간 발달 패턴과 연관성을 확인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과 집행기능 하위요소와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추후 이중언어 아동의 문해력과 학업 성취를 위한 내러티브 교육 및 중재 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