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Title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AI Technology Utilization, Perception, and AI-Rel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TPACK) Capacity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Authors
강나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AI, 인공지능, 음악교육, TPACK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AI technology,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TPACK) capacity related to AI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To achieve thi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their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AI technology, their AI-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AI-related TPACK capa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ith current secondary music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a total of 106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t-tests,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examining the utilization of AI technology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the majority of music teachers were aware of AI technology related to music. Most of the technologies recognized by teachers were utilized in music classes after gaining experience. While AI technologies used in classes were mostly focused on generating interest, participating music teachers demonstrated efforts to apply their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ir teaching. The recognition of AI technology by teachers implies potential integration into various music lessons. Secondly, 77% of secondary music teachers had experience in utilizing AI technology for teaching, and among them, 67% had employed AI technology in their music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3 academic year. Secondary music teachers mainly applied AI technology in the creative aspects of music, allowing students to explore technology autonomously and engage in direct music activities. Thirdly, AI technology-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examined concerning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service participation in master's or doctoral programs,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and personal learning opportunities. Participants, with over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ly low level of exposure to AI-related education at thei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because AI related programs were rarely provided back then. However, despite the limited exposure during teacher training, 70% of secondary music teachers had AI technology-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in-service training, personal learning, or other means during their teaching careers. Teachers' 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use AI technology and their TPACK capacity related to AI. Fourthly, when examining the TPACK capacity of secondary music teachers related to AI technology, the Technological Knowledge(TK) component was generally at an average level. However, when TK was integrated with other domains, particularly with Pedagogical Knowledge(PK) in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domain, lower results were observed. This suggests that secondary music teachers may face challenges in effectively integrating AI technology into music curriculum instruction. Fifthly, the majority of secondary music teachers expressed a positive intention to use AI technology in music classes within the next yea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AI technology varied, with personal experiences in AI technology-related learning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use AI technology based on age or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identified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er's proficiency in operating AI technology' as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use AI technology.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suitable classroom environment for AI technology use and providing education to enhance teachers' proficiency. In conclusion, this study collected fundamental data by investigating the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AI technology among current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assessing their TPACK capacity related to AI technology. This data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field and teachers' perspectives as they enter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aims to assist in develop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AI technology i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본 연구는 중등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과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 및 인식, AI 테크놀로지 관련 교육 경험, AI 관련 TPACK 역량을 측정하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전국 중·고등학교에서 근무 중인 현직 중등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106명의 중등음악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선형회귀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대다수의 음악교사들이 음악과 관련된 AI 테크놀로지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교사가 인지하고 있던 테크놀로지의 대부분은 사용경험을 거쳐 음악 수업에서의 활용으로까지 이어졌다. 수업에 활용한 AI 테크놀로지는 대부분 흥미유발 위주로 활용될 수 있는 테크놀로지였으나, 연구에 참여한 음악교사들은 인공지능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것을 수업에서까지 활용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의 AI 테크놀로지 인지는 다양한 음악수업의 제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 둘째, 중등음악교사의 77%는 AI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67%는 2023학년도 1학기에 진행한 음악 수업에서 AI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음악교사들은 주로 음악의 창작 영역에서, 학생들의 주도로 테크놀로지를 탐색하며 직접 음악 활동을 하는 데 AI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였다. 셋째, AI 테크놀로지 관련 교육 경험은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 재직기간 중 참여한 석·박사 과정에서의 교육 또는 교원 연수, 개인적으로 참여한 학습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3년 이상의 교직 경력을 가짐에 따라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 경험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양성기관 재학 당시 인공지능 관련 강의가 개설되지 않아 교육기회를 가지지 못하였으며, 교원양성기관에서 AI 관련 교육의 기회가 더욱 확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반면,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경험이 매우 저조하였음에도 중등음악교사들의 70%는 재직기간 중 교육 및 연수 참여 또는 개인적인 학습 참여를 통해 AI 테크놀로지 관련 교육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가 개인적으로 학습에 참여한 경험은 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의사와 TPACK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AI 테크놀로지와 관련하여 중등음악교사의 TPACK 역량을 살펴보았을 때 TK 역량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TK 영역이 다른 영역과 통합되는 경우 대부분 낮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TK가 PK와 통합된 TPK영역에서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중등음악교사들이 음악 교과목 지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과 AI 테크놀로지 통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중등음악교사의 대부분이 향후 1년 이내 음악 수업에서 AI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해 긍정적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요인별 활용 의사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교사 개인적으로 AI 테크놀로지 관련 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향후 테크놀로지 활용 의사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예상했던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은 AI 테크놀로지 활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등음악교사들은 자신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교실 환경’과 ‘교사 자신의 AI 테크놀로지 조작 숙련도’라고 답했다. 이를 통해 AI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에 적합한 교실 환경 구축과 더불어 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이 지원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음악 교사들의 긍정적 활용 의사가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검토되어야한다. 본 연구는 현직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테크놀로지 관련 TPACK 역량을 조사하여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한 시점의 현장 실태와 음악 교사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음악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성 제고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