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 Download: 0

유네스코 등재 인류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음악수업 지도안 개발

Title
유네스코 등재 인류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음악수업 지도안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 of Free Semester Teaching Guide for a Music Class Using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centered on Talchum and Deolmi
Authors
이가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자유학기제, 지도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는 유네스코 등재 인류무형문화유산 중 탈춤과 덜미를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대상의 자유학기제 음악수업 지도안과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관련 학술지와 논문 등을 통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이론을 탐색하였고,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에 수록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해당하는 제재 곡을 성취기준 및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음악과 연계된 ‘남사당놀이 중 덜미(인형극),’‘탈춤’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활동과 포가티 모형을 참고한 교과 통합수업 등의 다양한 수업 형태를 활용하여 수업을 개발하였고, 2인의 국악 교육 전문가에게 지도안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지도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후, 수업 지도안의 현장 적합성 검토를 위해 실제 현장 교사 3인에게 현장 적합도를 검증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활성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자유학기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으로, 총 7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1차시는 역사 교과와의 통합수업으로 조선 후기의 사회와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여러 지역의 탈춤을 비교해보며 탈춤의 내용과 연계하여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시는 국어 교과와의 통합수업으로 고성오광대 탈춤의 재담을 읽어보고 분석하여 내용을 파악하고 현시대에 맞는 문장으로 새롭게 각색하여 음률과 리듬감을 넣어 표현하도록 구성하였다. 3차시에는 체육교과와의 통합수업으로 고성오광대의 기본무를 익히고 이를 토대로 굿거리장단에 어울리는 탈춤 동작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4차시에는 남사당놀이의 마당별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덜미에 사용되는 노래와 장단을 연주해보도록 하였다. 5차시에는 덜미 인형을 만들고 장단에 맞추어 재담과 함께 장면을 구상해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6차시와 7차시에는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토대로 모둠별 결과물 발표 연습과 발표로 구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지도안 개발 후 2인의 국악 교육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현직 음악 교사 3인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을 의뢰하였다. 그 결과, 본 지도안은 음악과 연계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과 관련한 내용 중 2가지의 주제를 정하여 심도 있게 다루고 있으므로 본 지도안을 활용하여 수업할 경우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 같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학습자의 수준과 집중도를 고려하여 활동 중심의 지도 활동이 추가되어야 하며, 국악 전공자가 아닌 타전공의 음악 교사를 위한 세부적인 설명과 추가 자료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아 이를 바탕으로 지도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국악 교육 전문가와 현장 교사에게 내용 타당도와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은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음악과 연계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관한 후속 연구가 다양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ee semester music class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focusing on Talchum and Deolmi, among the UNESCO-lis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to verify their suitability for the field. To develop the program, I explored the theory of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related journals and articles, and examined the sanctioned songs corresponding to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d in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focusing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ctivity areas. Then I developed lessons using various lesson forms such as learning activities using digital devices and curriculum integration lessons referring to the Fogarty model, centered on the music-related 'Namsadang play (Deolmi)', and 'Talchum (mask dance)', and ha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lesson plans verified by two exper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lesson plans based on. Afterward, the field appropriateness of the lesson plan was verified by three teachers in the field to review the field appropriateness of the lesson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ffective free semester lesson plan to revitalize and expand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Korea, and I developed seven lesson plans. The first lesson was an integrated lesson with the history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compare different regions of the country and think about them in relation to the content of Talchum. The second lesson was an integrated lesson wit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read and analyzed the script of the Goseong-ohwangdae Talchum to understand adapting them into sentences suitable for the current era, and expressing them with a sense of pitch and rhythm. In the third lesson, the students learned the basic dance of Goseong ogwangdae as an integrated lesson with physical education, and based on it they were able to create dance movements suitable for the Gutgury Jangdan. In the fourth lesson, students learned the main contents of each yard of Namsadangnori and played songs and jangdan used for Deolmi. The fifth lesson consisted of making a puppet and creating a scene with a script according to the jangdan. The sixth and seventh lessons consisted of practicing and presenting the results of each group based on the previous lessons. Seco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map in this stud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map was verified by two exper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ree in-service music teachers were asked to verify the field suitability.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that the map covers two topics related to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related to music in depth, so it is possible to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enhance their learning motivation through various activities when teaching using the map. However, it was evaluated that activity-oriented teaching activities should be add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learners, and that detailed explanations and additional materials for music teachers of other majors other than national music majors are needed, so the map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 that the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ropriateness of this study were verified by experts and field teacher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a variety of follow-up studies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related to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