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 Download: 0

피아노 전공 시각 장애인들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Title
피아노 전공 시각 장애인들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Education of Visually Disabled People in Piano Major
Authors
김윤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계명선, 이희승
Abstract
본 연구는 피아노를 전공한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대학의 학부 과정에서 경험한 교육 경험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탐구하고자 하였고, 연구 수행을 위하여 시각 장애 개념, 시각 장애인과 음악, 시각 장애 음악 교육 방법, 시각 장애 학교, 한빛 맹학교에 관한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일반 음악 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시각 장애인 3명, 시각 장애 특수학교 음악전공과 졸업생 2명, 일반 음악 대학과 시각 장애 특수학교 음악 전공과를 모두 수료한 졸업생 1명으로 구성된 총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심층 면담은 2023년 9월 24일부터 2023년 10월 31일까지 총 1회의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적용하여 대학에서 학습하는 데 어려웠던 요소, 대학 과정에서의 좋았던 점, 시각 장애인이 피아노 전공을 위해 개인과 대학에 필요한 점들을 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에 비추어 심층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살펴보고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들을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참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의견의 결과로 참여자들은 보편화되지 않은 시각 장애 지원 시스템이나 교사의 장애 인식 부족으로 인한 좌절을 경험하였다. 이와 더불어, 일반 음악 대학 졸업생과 한빛 맹학교 음악전공과 졸업생 모두 진로 및 취업 상담의 한계가 존재함을 설명하며, 교내 상담 센터가 있음에도 도움을 받기 어려웠던 경험으로 인해 스스로 해결해 나가야 했음을 언급하였다. 또한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피아노를 전공을 원하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점자 악보의 학습의 중요성 강조하며, 청각적으로 의지하는 것이 아닌 악보를 이해하며 해석하는 힘을 길러야 함을 주장하였다. 둘째, 일반 대학 졸업생과 한빛 맹학교 음악 전공과 졸업생들의 차이점을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로는 일반 음악 대학 졸업생들은 비 시각 장애인들과 대학 생활에서의 수업 활동을 통한 사회적 소속감이 증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한빛 맹학교 음악 전공과 졸업생들은 한정된 시각 장애인들과의 학습을 통한 자립심 부족 및 비 시각 장애인들과의 소통 부재에 관한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 음악 대학 졸업생들은 대학 내 점역 자료에 대한 부족으로 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고 설명한 것에 반해 한빛 맹학교 음악 전공과 졸업생들은 교과 수업 내 과제 및 평가 방법에서 높은 만족도를 경험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 일반 음악 대학 피아노과를 졸업한 시각 장애인과 시각 장애 특수 대학 피아노과를 졸업한 이들의 학교 경험을 통하여 시각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피아노를 전공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대학 내의 시각 장애 학생을 위한 피아노 교육 방법 및 환경에 관한 개선사항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피아노 교육 분야에서 시각 장애 학습자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시각 장애인 피아노 교육 시스템의 한계에 대한 부분들의 보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raduated students of the visually impaired who majored in piano.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by appl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conduct this study, I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visual impairment, blind people for music education, a school for the blind, and a Hanbit school for the blind. A total of six graduates, including three graduates who majored in piano at a college of music in the university, two graduates at a special institution for visual impairment, and one who completed both the university and a special institution for visual impairmen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for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once from September 24, 2023, to October 31, 2023. Data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t university, the good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course, and the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for their piano major in light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ce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repeatedly examined, and the context of the participants'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as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onfirmation. As a result of the opinions shared by all participants, they experienced frustration due to the non-universal visual impairment support system or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teacher's disability, and the repentance that the choice of the performance was narrow due to the lack of a Braille piano score. Both graduates of the College of Music in the university and graduates of the Music Major of Hanbit School for the blind explained the limitations of career and employment counseling. They also mentioned that there was an on-campus counseling center, but they had to solve it themselves, without any help. In addition, all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Braille scores to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want to major in piano and argued that they should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scores rather than rely on them audibly. As a significant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music college graduates and Hanbit school for the blind music majors, it was confirmed that music college graduates increased their sense of social belonging through class activities in college life with the visually impaired, but Hanbit School for the blind institution music majors showed negative perspection due to the lack of self-reliance and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non-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music college graduates explained that there were great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translation data in the university, while graduates of the music major of Hanbit School for the blind institution experienced high satisfaction in assignment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subject class. As such, it is meaningful that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ve been able to grasp the elements necessary to major in piano through the experience of those who graduated from the piano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music in the university those who graduated from the piano department of the special institution university with visual impairment, and to seek improvements in piano education methods and environment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the universit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utilized as a helpful material for research on visually impaired learners in the field of piano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e limitations mentioned above of the visually impaired piano education system will be supplem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