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아동·청소년과 부모의 동물매개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Title
아동·청소년과 부모의 동물매개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Multi-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nimal Assisted Therapy of Childr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uthors
박수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동물매개치료는 동물매개중재의 한 종류로서 치료 전문가가 치료적 목표를 세워 동물과 함께 개입하는 치료적 방법을 의미한다. 동물매개치료는 인간-동물 사이의 유대감을 바탕으로 인간과 동물 사이의 애착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우며 내담자에게 사회적 지지 역할을 한다. 동물매개치료는 인간들에게 정서영역, 인지 및 행동영역, 신체영역, 대인관계 영역에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동·청소년에게 치료동물은 사랑을 주고 의지할 수 있게 하며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어 치료적 효과를 높인다. 선행연구에서 동물매개치료를 받은 아동들은 주로 긴장 완화, 정서적 안정, 자존감 향상의 효과를 보였다. 청소년들의 경우 동물매개치료는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고 대인관계를 활성화하며 적응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동물매개치료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방법론적 측면에서 이론 및 치료적 접근을 제시하는 경우가 적었고 대개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시하는 실험연구로 국한되어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물과의 유대감 영향을 강하게 받는 아동·청소년의 동물매개치료의 치료요인과 치료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동물매개치료를 받은 아동·청소년과 그 부모들을 직접 인터뷰하여 치료요인과 치료효과를 탐색하는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동물매개치료를 받은 아동·청소년의 변화를 일으킨 치료요인은 무엇인가?’와 ‘동물매개치료를 받은 아동·청소년의 치료효과는 무엇인가?’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사례연구는 실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깊이있게 조사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다중사례연구방법은 개별 사례에 집중되어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여러 사례들을 사용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증진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지역의 위(Wee)센터에서 동물매개치료를 경험한 아동 및 청소년들 11명과 이들의 부모 12명을 대상으로 각각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총 11개의 사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동물매개치료의 치료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로 ‘심리적 교감을 통한 간접적 상호작용’ 요인이다. 이는 ‘치료견을 느끼며 심리적으로 함께 있음’, ‘치료견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감의 시도’, ‘반려동물과의 긍정적 경험 회상 및 교감 연습’, ‘치료견을 소재로 미술과 놀이를 통한 자기 표현’이라는 4가지의 세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로 ‘물리적 교감을 통한 직접적 상호작용’이다. 이는 ‘산책을 통한 긍정적 정서와 경험의 확장’, ‘치료견의 욕구를 이해하고 돌보기’, ‘핸들링을 통한 치료견과의 교감’, ‘치료견과 상호작용하며 쓰다듬기’라는 4가지 세부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 동물매개치료의 치료효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로 정서적 변화의 측면에서는 ‘긍정정서 증가’, ‘부정정서 감소’, ‘정서조절력 증진을 통한 정서의 안정화’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로 인지적 변화의 측면에서는 ‘심리적 개방성 증대’, ‘생명에 대한 관심과 존중의식의 증진’, ‘자기이해 증진을 바탕으로 진로목표를 구체화’, ‘부정적 상황에서 희망적 사고를 생성’,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자신감 향상을 통한 효능감 증진’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로 사회적 측면에서는 ‘심리적 지지와 유대감을 통한 교정적 애착관계 구축’을 시작으로 ‘부모-자녀 소통 증가 및 관계 개선’, ‘타자에 대한 배려와 양보심의 향상’, ‘또래관계 증진’, ‘학교 적응력 향상’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신경생리학적 측면으로는 ‘치료실과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편안함’, ‘불안의 감소와 편안함의 증가로 인한 숙면’, ‘치료견과의 교감을 통한 스트레스 감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본 연구는 위(Wee)센터라는 공공기관에서 동물매개치료를 진행하였으며 공공기관에서의 동물매개치료의 활용법을 모색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두 번째로 내담자인 아동·청소년 뿐만 아니라 그들의 부모가 관찰한 치료요인 및 치료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아동·청소년 내담자들의 진술의 한계를 부모의 진술을 통해 보완하여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세 번째로 다양한 사례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치료요인을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네 번째로 동물매개치료를 아동·청소년에게 적용할 때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Animal-assisted therapy is a type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n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treatment expert establishes a therapeutic goal and intervenes with animals. Animal-assisted therapy forms an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humans based on the human-animal bond and plays a social support role. Animal-assisted therapy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umans in emotional areas, cognitive and behavioral areas, body are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rapeutic animals allow them to give love and rely on, and increase therapeutic effects by lowering their resistance to treatment. In previous studies, children who received Animal-assisted therapy mainly showed the effects of relieving tension,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ing self-esteem. In the case of adolescents, Animal-assisted therapy was effective in providing comfort and stability, activa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creasing adaptive behavior. However, existing studies on Animal-assisted therapy have rarely presented theoretical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 terms of methodology and are usually limited to experimental studies presenting structured programs and presenting effectiveness. In this context,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therapeutic factors and therapeutic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re strongly affected by animal bonds. Based on this necessity,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therapeutic factors and therapeutic effects by directly interview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received Animal-assisted therapy and their parent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What are the therapeutic factors that caused the chang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received Animal-assisted therapy?” and “What is the therapeutic effec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received Animal-assisted therapy?”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 multi-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in this study. Case studies are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 in-depth phenomena occurring in real life.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were focused on individual cases, the multi-case research method has the advantage of using several cases to increase the generalization possibility. In this study, a total of 11 cas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by conduct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12 parents who experienced Animal-assisted therapy at a Wee center in area 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herapeutic factors for Animal-assisted therap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actor of Indirect interaction through psychological communication. It consisted of four detailed factors: Feeling and psychologically being together with a therapy dog, Trying to communicat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 therapy dog, Remembering positive experiences with pets and practicing communion, and self-expression through art and play based on therapy dogs. Second, it is direct interaction through physical communication. This consisted of four sub-factors: expanding positive emotions and experiences through walking,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the needs of therapy dogs, communicating with therapy dogs through handling, and interacting and stroking with therapy dog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herapeutic effect of Animal-assisted therapy wa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motional change, it consisted of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reducing negative emotions, and stabilizing emotions through enhancing emotional control. Secondly, in terms of cognitive change, it consisted of increasing psychological openness, promoting interest in life and respect, embodying career goals based on the promotion of self-understanding, creating hopeful thinking in negative situations, and promoting efficacy by improving belief and confidence in one's abilities. Third, starting with building corrective attachments through psychological support and bonds, it consisted of increas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mproving relationships, improving consideration and concession for others, promoting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ing school adaptability. Finally, the neuro-physiological aspects were identified as comfort felt in the treatment room and daily life, a good night due to decreased anxiety and increased comfort, and reducing stres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rapy do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Animal-assisted therapy in a public institution called the Wee Center and sought how to use Animal-assisted therapy in public institutions. Second, by analyzing the therapeutic factors and therapeutic effects observed by their parents as well as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re cli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atem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supplemented through statements from parents. Third, therapeutic factors that act in common in various cases were analyzed. Fourth,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identified factors that can promote effectiveness when applying Animal-assisted therapy to children and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