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차연주-
dc.creator차연주-
dc.date.accessioned2024-02-14T02:50:48Z-
dc.date.available2024-02-14T02:50:48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270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270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2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하브루타를 바탕으로 자기표현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한 다음, 연구자가 직접 학교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해 보고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하브루타가 서로 간의 논쟁과 지식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말하기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공통된 영상이나 텍스트를 보고 상호 간의 경험을 말함으로써 공감을 형성하고, 더 나아가 자기표현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자아형성을 이루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한 교육 특수적인 하브루타이다. 하브루타의 본질은 상호 간의 논리성을 바탕으로 한 말하기를 통해 진리를 찾아가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본고에서는 공감과 이해, 감정을 다루는 하브루타를 계발함에 따라 본고에서는 이를 ‘공감 중심 하브루타’라고 명명하고 논의하였다. 먼저, 공감 중심 하브루타를 통한 자기표현 글쓰기를 분석하고 교육 방안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브루타와 자기표현 글쓰기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다. 하브루타는 학습자들끼리 2명씩 짝을 이루어 서로 질문을 주고받고 논쟁하는 유대인의 전통적인 토론 교육 방법을 의미한다. 대화법은 그동안 상호 간의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는 말하기로서의 성격이 지배적이었으며, 공감하며 대화하기의 경우 실제 상황에 대한 적용 학습이 미비하다는 한계점을 찾을 수 있었다. 앞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총 8차시의 공감 중심 하브루타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기존의 하브루타 모형 중 질문하기 하브루타를 재구성하여 ‘공감 중심 하브루타’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영상에 대해 학습자들 상호 간의 질문하기와 상호 경험 말하기를 하며 자아의 변화과정을 자기표현 글쓰기에 담아내고, 교사와 의견을 나누고 마무리한다. ‘매체(영상) 시청하기-짝과 질문하기-대화하기-글쓰기-마무리(쉬우르)’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영상은 청소년들과 비슷한 고민을 담은 국내 영화 <리틀 포레스트>와 사춘기 감정에 대해 묘사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선정하였다. 영상을 시청하고 영상 속 주인공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 질문을 자유롭게 작성해 보았다. 학습자는 작성한 질문을 바탕으로 하여 짝과 대화를 나누고, 상처받았던 자아나 소외를 경험한 자아 등 자신에 대한 변화에 대해 자기표현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자기표현 글쓰기로는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쉬우르를 통해 마무리하였다. 여기서 쉬우르란 하브루타의 마무리 활동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해결하지 못한 질문에 답을 주거나, 새로운 시각과 해결법을 창출해 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공감 중심 하브루타를 실시한 결과, 그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감 중심 하브루타 속 자기 경험 말하기 교육에 나타난 관계적 자아 인식에 의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발견하고, 자기 노출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형성에 효과를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서사적 정체성에 따라 바람직한 자아정체감 확립과 내면의 상처를 치유한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준 것으로 보인다. 활동의 마지막 단계인 쉬우르 단계에서는 자기성찰과 대화가 주는 의미에 대해 공유하였다. 학습자들은 공감 능력 발달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었으며, 글쓰기를 통한 감정의 객관화와 글쓰기 효능감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자들이 공감 중심 하브루타를 통해 자신을 포함한 세상을 더 이해하고, 본질적인 부분에서 생각하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치유하여 타인과 세계를 존중하고 성장하는 힘을 기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mpathy-driven Harvruta program based on Harvruta, then implement it in a school setting and analyze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results. While conventional Harvruta is a debate and competitive speech to gain knowledge, this study explored an effective way to form empathy by watching a shared video or text and talking about each other's experiences, and further to form a positive self of students through self-expressive writing. The researcher first provided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alyzing self-expressive writing through empathy-driven Harvruta and constructing a teaching pla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Harvruta and self-expressive writing. Harvruta refers to a traditional Jewish debate method in which students are paired up to ask questions and argue with each other. Discussion and dialogue method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cluding the existing Harvruta and the revised 2022 curriculum, have been dominated by the nature of speaking to share and transfer knowledge and information among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empathetic dialogue, there is a lack of learning to apply to real-life situations.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reviews, a total of 8 sessions of the empathy-focused Harvruta program were constructed.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the questioning Harvruta among the existing Harvruta models to develop the "empathy-based Harvruta" model. In this program, students ask each other questions about the video,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capture the process of self-change in self-expressive writing, share their opinions with the teacher, and conclude the program with the following sequence: watching media (video), asking questions with a partner, talking, writing, and concluding (shiur). The researcher chose movies with similar concerns of adolescents and movies that portrayed adolescent feelings through characters. After watching the movi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questions about the main character's thoughts and behavior. Based on the questions they wrote, students had a conversation with a partner and wrote a self-expressive essay about the changes in how they saw themselves, such as their wounded or isolated selves. The self-expressive writing uses an autobiographical method and concludes with a shiur. A shiur is a culminating activity in a Harvruta in which the teacher answers students' unresolved questions or generates new perspectives and solutions. The findings of the empathy-based Harvruta are as follows. The relational self-awareness that emerged from the teaching of talking about one's own experiences in an empathy-based Harvruta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positive self-formation through self-discovery and self-exposure with others. In addition, the narrative self-identity demonstrated in self-expression writing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in establishing a desirable self-identity and healing inner wounds. In the final stage of the activity, the shiur stage, students shar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dialogue. Students affirmed that writing helped them develop empathy,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reduce stress, and that writing helped them objectify their emotions and increase their sense of writing efficacy. The implications suggest that empathy-driven Harvruta empowers learners to understand the world, including themselves, to think from the essential, to self-determine and heal their lives, to respect others and the world, and to gro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의 방법 12 Ⅱ. 하브루타를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의 이론적 배경 14 A. 하브루타 14 1. 하브루타의 개념 14 2. 하브루타의 원리와 특징 16 3. 하브루타의 학습 모형 17 4. 하브루타의 공감적 발문 유형 21 B. 자기표현 글쓰기 개념과 특성 24 1. 자기표현 글쓰기의 의미 및 변화 24 2. 자기표현 글쓰기로서의 자서전적 글쓰기 28 C.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에 대한 이해 30 1. 자아정체감의 의미 31 2. 자기표현 글쓰기와 자아정체감의 관계 34 Ⅲ. 하브루타를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7 A. 연구 대상 및 방법 37 1. 연구 대상 37 2. 질적 사례 연구 방법 41 B. 연구설계 및 절차 42 1. 프로그램의 개발 42 2. 프로그램의 회기별 구성 43 C. 하브루타를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의 결과 분석 48 1. 학습자가 정의한 하브루타의 의미 50 2. 하브루타 공감적 발문 해석 51 3. 하브루타 속 자기 경험 말하기에 나타난 관계적 자아인식 56 4.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에 나타난 개인의 정체성 66 5. 의견 나누기에 나타난 자기 성찰과 대화가 주는 의미 공유 74 Ⅳ. 하브루타를 통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방안 78 A. 하브루타에 나타난 표현 교육의 목표 78 B. 하브루타를 활용한 표현 교육의 내용 81 C. 하브루타를 활용한 표현 교육의 학습 방법 84 Ⅴ. 결론 89 참고문헌 93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99 부록2. 활동지 100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7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하브루타, 자기표현 글쓰기, 매체, 자아정체감, 공감, 자아 성찰-
dc.subject.ddc400-
dc.title하브루타를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감적 대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Self-expressive Writing Using Harvruta : Focusing on Empathic Dialogues-
dc.creator.othernameCha, Yeonju-
dc.format.pagev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