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 Download: 0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와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및 개선방안

Title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와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및 개선방안
Other Title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of sunday school ministry workers and Christian preschool teachers on early childhood church faith education
Authors
황민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와 기독교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의 인식과 경험 및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2.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인식과 경험 및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교회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 10명과 기독교 배경을 가진 유아교사 9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인 면담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6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사역자 및 유아교사 한 명당 한 차례의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나 SNS를 통한 추가적인 대화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를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들의 인식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신앙교육, 관계에 기초한 신앙교육으로 나뉘었으며, 기독교인 유아교사들의 인식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예배 중심 신앙교육, 유아의 삶과 연계된 신앙교육으로 구분되었다. 사역자들과 유아교사들은 모두 신앙교육의 방향을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에 두되,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사역자들과 유아교사들의 인식에 차이도 있었는데, 유아교사들은 주로 유아를 고려한 신앙교육의 방법에 대해 강조한 반면, 사역자들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에 신앙교육의 초점을 두었다. 둘째,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대한 사역자들의 경험은 유아 발달에 적합한 신앙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신앙교육의 어려움이었고, 기독교인 유아교사들의 경험은 유아기 신앙교육의 효과 및 지속성, 유아에게 적합하지 않은 방법과 적합한 방법으로 구분되었다. 사역자들과 유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이 유아의 신앙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하였다. 차이점으로는 사역자들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신앙교육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유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유아교사들은 유치부 내에서 주도성을 가진 사역자와 교사의 역량에 따라 신앙교육이 좌우되는 것을 경험하기도 했지만, 유아교사가 주도성을 발휘하여 참여한 경우에는 신앙교육을 유아에게 보다 적합한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었다. 셋째,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의 개선방안으로 주일학교 유치부 사역자들은 사역자 및 교사를 위한 유아 이해 교육 기회 제공, 부모 모임을 통한 가정과의 연계 강화, 역량 있는 사역자 배정과 교체시기에 대한 고려를 제안하였고, 기독교인 유아교사들은 사역자 및 교사를 위한 유아 이해 교육 기회 제공, 주일학교 유치부 협력 공동체 구축, 사역자 선정 및 발령 방식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사역자와 유아교사는 공통적으로 유치부의 사역자 및 교사를 위한 유아 이해 교육 기회 제공과 역량 있는 사역자를 선정하고 유치부에 발령하기 위한 사역자 관리 시스템의 개선을 원하고 있었다. 공통적인 제안 외에, 사역자들은 가정과의 연계 강화가 유아교사들은 주일학교 유치부 협력 공동체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요한복음 21장 15절에서 예수께서는 ‘내 어린 양을 먹이라’라고 그의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유아기 신앙교육은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맡기신 일이며, 그 시기의 신앙교육은 사람의 일생에 걸쳐 신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교회는 유아기 신앙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역량 있는 유치부 사역자를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독교인 유아교육자들은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에 필요한 유아 이해 및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을 사역자와 교사에게 제공하고, 협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역자와 교사들은 유아의 신앙의 배경이자 모델이 되기에, 먼저 예배에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한마음으로 유아들을 위해 기도하며, 유아기 교회 신앙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of sunday school(preschool) ministry workers and Christian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early childhood church faith education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of sunday school(preschool) ministry workers regarding early childhood church faith education? 2. What ar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of Christian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early childhood church faith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0 sunday school(preschool) ministry workers and 9 Christian pre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pecifically interviews, were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6th to November 2nd, 2023, with each ministry worker and preschool teacher participating in one interview session, supplemented by additional conversations through phone calls or social medi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inistry work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were divided into worship-based faith education and relationship-based faith education. Preschool teachers’perceptions were divided into faith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and faith education integrated with children’s lives. Both group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worshiping God in faith education, but differences emerged in their emphasis 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Secondly, the experiences of those involved i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varied. Ministry workers made efforts to provid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faith education and faced challenges related to educating young children. Preschool teachers experienced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of both inappropriate and appropriate methods for teaching young children. Commonly, both groups recognized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on children's faith development. Thirdly, ministry workers’ suggestions for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nclude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for both ministry workers and sunday school teachers,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families through parent meetings, and considering the allocation and replacement of competent ministry workers in the church. Preschool teachers’ suggestions included offering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for both ministry workers and sunday school teachers, establishing collaborative communities within sunday schools, and improving the selection and appointment process for ministry workers. In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n churches, establishing systems for managing competent ministry workers, and providing knowledge on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and teaching methods for sunday school ministry workers and sunday school teachers.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need for prioritizing worship and praying for young children with a unified heart, and fostering a proactive attitude toward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