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 참여에 대한 인식 및 실제

Title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 참여에 대한 인식 및 실제
Other Titles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uthors
하지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 권리, 유아 참여, 유엔아동권리협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ir daily lives. In relation to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parents with children aged 3-5 regarding their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2. What are the actual perceptions of parents with children aged 3-5 regarding their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This study included 202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ged 3-5 years old living in the Busan area.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to determine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articipation.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by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whether young children are covered by the UNCRC, and found that the majority of parents believe that young children are covered by the Convention. In terms of agreement with the provisions of the UNCRC related to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the highest mean was for the provision related to non-discrimination, and the lowest mean was for the provision related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assembly. In terms of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parents were uncertain about children's capacity and experience to participate, but they also felt that children's decisions were trustworthy. Parents did not feel that their authority was diminished by their child's participation and felt that children should learn to take on their responsibilities before exercising their rights. Regarding challenges to participation, most parents did not find it difficult to include young children in their daily routines, primarily because they did not find it difficult to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Second, we looked at how parents actually engage young children in their daily routines, and found that play and learning had the highest average engagement, followed by basic living, decision-making, and leisure and socialization. This suggests that young children are most likely to be engaged in play and learning, and least likely to be engaged i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daily life beyond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include children's basic life, play and learning,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drew sugges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ety where all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ir daily lives by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children, and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parent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일상생활 속 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 참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 참여에 대한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기초로 하여 부모의 유아 참여와 관련한 인식과 실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범위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속 유아 참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다수의 부모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유아가 포함된다고 생각하였다. 유아 참여와 관련된 ‘유엔아동권리협약’조항 동의 정도에서는 ‘차별금지’와 관련된 조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결사와 집회의 자유’와 관련된 조항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 유아의 참여와 관련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의 참여 역량과 경험에 대해서는 불확실하게 여겼으나, 유아의 결정 역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부모는 유아의 참여로 인해 자신의 권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유아가 권리를 행사하기 전에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을 지는 방법을 먼저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참여에 대한 어려움 여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부모가 유아를 일상에서 참여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다고 하였으며, 가장 큰 이유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었다. 둘째, 부모가 생각하는 일상 속 유아 참여에 대한 실제를 살펴본 결과, 놀이 및 학습에서의 참여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기본생활, 의사결정, 여가 및 사회참여의 순이었다. 이는 유아의 일상에서 놀이 및 학습에서의 참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나, 여가 및 사회참여에서의 참여 실제가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 속 참여를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참여를 넘어 유아의 기본생활, 놀이 및 학습, 여가 및 사회참여로 확장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양한 유아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모든 유아들이 스스로의 일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유아의 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